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특집 : 한국한문학연구의 문화적 지평-콘텐츠화를 통한 현실과의 소통 ; 문화원형의 의의와 삼국유사

        고운기 ( Woon Kee Ko ) 우리한문학회 2011 漢文學報 Vol.24 No.-

        문화콘텐츠학에서 문화원형은 그 저변이자 창작소재로서의 의의를 지닌다. 더불어 콘텐츠의 창작소재를 찾아나갈 때에 우리 것의 순도(純度)와 정도(精度)를 가늠하는 잣대이다. 그러나 학계와 관련 단체에서는 창작소재를 문화원형이라 불러버렸다. 창작소재는 문화원형의 의의를 가진 데서 찾는자료이다. 창작소재가 곧 문화원형은 아닌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먼저 이같은 관행을 바로 잡고자 하였다. 나아가 창작소재로서 전통문화가 어떤 문화원형의 의의를 가지는지 밝혔다. 창작소재의 문화원형으로서 성격을 다루는 것은 콘텐츠 개발의 방향을 잡을 수 있다는 데서 무척 중요하다. 그러자면 문화원형의 개념 규정을 보다 실제적인 차원에서 다시 시도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여러 소재의 검토에 입각한 귀납적 방법이 필요하다. 소재는 삼국유사를 중심으로 찾았다. 이 논문에서 자료의 검토를 통해 제시하는 문화원형의 유형은 심성원형(心性原形)과 행위원형(行爲原形)이다. 심성은 마음으로, 행위는 몸으로 현현(顯現)하는 공통적인 양태이다. 심성원형과 행위원형은 불가분의 관계 속에 하나가 되는 경우가 많다. 하나의 이야기 속에 내적으로 심성원형이 바탕을 이룬다면 행위원형은 외적으로 나타난다. 안과 밖은 결국 하나로 긴밀히 연관되는 까닭이다. Archetype implies significance since it provides the very foundation of culture contents academic area and it also possess values as sources for contents creation. In addition, it becomes a proper assessment standard of the degree of purity and precision of traditional culture. Nevertheless, the academia and the related organizations have been regarding sources for creation themselves as cultural archetypes despite of the fact that those sources actually are the materials extracted from the significance of cultural archetypes. So from the standpoint that cultural sources for creation is not exactly in accordance with cultural archetype, this study aims for straighten out those customary misconceptions Futhermore, the archetypal importance of traditional culture as source for creation is clarified in the study. That is, dealing with the character of sources for creation as cultural archetype is so significant that it is able to guide the right direction to further contents development. For that reason, the practical-level attempt on the definition of cultural archetype should be inevitable by priority, then inductive method based on the examination of various materials are necessary simultaneously. And the study primarily deals with the materials from Samkukyusa. The deducted categories of cultural archetype from the consideration of related documents in this study are mind-originated archetype and action-originated one, then both types have a concomitant feature under the circumstances that the former appears in mind and the latter in action. Both of them are mostly in an inseparable relation, and in case of a single narrative, mind-originated type formulates the internal basis, the other externally emerges. It is because that inside and outside have close correlation.

      • KCI등재
      • KCI등재

        <원가(怨歌)>의 재구성 -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에 따른 문학적 해석 -

        고운기 ( Ko Woon-kee ) 한국시가학회 2021 韓國 詩歌硏究 Vol.53 No.-

        역사서 기술의 大綱을 『삼국유사』에 보수적으로 적용하는 狹量은 경계해야 한다. <怨歌> 읽기 또한 그렇다. 信忠의 일은 一然으로부터 무려 600여 년 전이다. 부실한 기록과 오랜 口傳 사이에서 어떤 변이가 일어났는지 측정하기란 참으로 어렵다. 일연은 일정한 의도를 가지고 신충과 단속사를 이어보고 싶었을 것이다. 그 의도란 避隱 편에 맞는 아름다운 삶의 주인공 찾기였고, 그래서 이야기는 설화적 원리의 작동 아래 증식되어 간다. 두 가지 점을 새로 해석하였다. 첫째, <원가>의 끝에 붙인 ‘後句亡’이다. 사라진 후구의 두 줄은 어떤 내용이었을까? ‘원망하여 노래를 지었다’고 하나, 노래가 원망만을 표현했을 리는 없다. 일연은 신충이 만년에 아름다운 은거의 길로 들어섰다는 기사를 읽게 되었다. 그것이 『삼국사기』의 誤讀이라도 어쩔 수 없다. 오독이라면 분명 흠이 되지만, 오독하지 않았다면 避隱 편의 꽃이라 할 ‘신충괘관’은 성립하지 못했을 것이다. 贊을 붙이는 次第에 장년에서 만년까지 신충의 생애를 縱觀하되, 사라진 후구에 대신할 역할까지 부여해 보고 싶었다. 실제 잃어버린 두 줄은 회한의 영탄 정도였겠지만 말이다 둘째, 贊에서 ‘吾皇’이다. 번역하여 ‘우리 임’이라 하고, 뜻으로는 ‘부처님’으로 본다. 벼슬을 놓고 절로 들어간 신충이 임금을 위해 복을 빌겠다고 했다. 그렇다면 부처님에게 비는 것이 당연하다. ‘祝吾皇’은 ‘오황의 (복을) 빈다’가 아니라 ‘오황에게 (복을) 빈다’로 볼 수 있다. 좀 더 부연해 번역하면, “우리 부처님에게 나라와 임금과 백성의 강녕을 빌리.”가 된다. 일연이 생각한 신충의 바른 은거는 이렇다. 그런 신충의 모습이 드러나도록 <원가>의 잃어버린 두 구절을 贊으로 대신해 본 것은 아닐까. 앞에 <원가> 여덟 줄을 놓고 贊의 마지막 두 줄을 “저 편(隔岸), 산 구비는 꿈에 자주 어리니/ 이제부터 길이 향불 피워 부처님께 복 빌리.”와 같이 번역해 이어 보면 자연스럽게 어울린다. 隔岸은 隔句처럼 들린다. 굳이 ‘後句亡’이라 밝히면서 두 줄이 사라진 사실을 환기시킨 저변에는 이렇게 補入해 보려는 뜻이 도사려 있는 듯하다. 이것이 ‘<원가>의 재구성’이다. Sin-chung(信忠)’s story was over 600 years ago from Il-yon(一然). It is very difficult to measure what variation has occurred between poor records and long-standing transmission. Il-yeon would have wanted to continue Sin-chung and Dansoksa(斷俗寺) with certain intentions. The intention was to find the beautiful protagonist of life on the side of Piun(避隱), so the story multiplied under the operations of the narrative principle. Two points were interpreted anew. First, it is the ‘Lost the back phrase(後句亡)’ attached to the end of ‘The song of resentment(怨歌)’. What were the two lines of the missing epigram? The song cannot have expressed the only resentment. Il-yeon read an article that Shin-chung entered the beautiful hidden path later in life. Even if it misread The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三國遺事). Misreading is flawed, but the story wouldn’t have been made without it. Second, in Chan(贊), it is the ‘Our Emperor(吾皇)’. Translated into ‘Our Lover’, meaning ‘Budda’. Shinchung, who entered the temple after leaving his government post, said he would bless the king. Then it is natural to pray to Buddha. Here’s what Il-yeon thought of Shin-chung’s right secret. Perhaps he replaced the two lost verses of ‘The song of resentment’.

      • KCI등재

        공존의 알고리즘

        고운기(Ko, Woon-Kee) 우리문학회 2018 우리文學硏究 Vol.0 No.58

        알고리즘(algorithm)은 문제를 풀기 위한 세부적이고도 단계적인 방법이다. 작은 점 하나에서 변형 가능성의 원뿔로 나타나는 다양성이다. 스펙트럼이다. 알고리즘의 스펙트럼이 얼마나 놀라운 결과로 나타나는지 하나의 예를 들자면 한글이 적절하다. 세종(世宗)은 글자로 표시되는 소리를 셋으로 나누었다. 초성에 쓰이는 소리는 자음, 중성에 쓰이는 소리는 모음이며, 종성은 초성을 가져다 다시 쓴다고 했다. 3분법이다. 세종은 소리를 글자로 적는 알고리즘을 생각한 것이다. 그러나 오늘날에 와서 한글은 소리만 아니라 문장을 적거나 만드는 원뿔이다. 문화원형(창작소재)-원천콘텐츠-거점콘텐츠는 이제 새로운 한국문학 연구의 알고리즘이다. 최근 원천콘텐츠에서 새로운 강자가 등장했다. 웹툰이다. 웹툰은 독자의 다양한 참여와 적극적인 체험에서 대중성 검증이 뛰어나다. 문학연구자가 주목해야 할 분야이다. 예를 들어 신과 함께는 우화 기법으로 만들어진 웹툰이다. 한국적인 소재의 극화가 대중에게 극적으로 침투했고, 무속의 학문적 성취가 무난히 대중에게 전달되었다. 이와 함께 디지털의 상호작용성, 네트워크성, 정보의 통합성 등을 무기로 작품성과 흥행성에서 모두 성공하였다. 이 일련의 과정을 고전문학 연구자는 분석해야 한다. 연구자는 학문을 통해 교묘하게 연결된 원칙에서 발생하는 다양성을 인식해 내는 일에 몰두한다. 그런데 구체적인 방법 앞에서 지금 주저하고 있다. 믿었던 여러 원칙과 이론이 자꾸 무너지기 때문이다. 알고리즘은 변화와 발전에 즉응력(卽應力)이 뛰어나다. 더불어, 공존의 원리를 터득하게 한다. 이런 공존의 교육과 체험이 예측 불가능한 미래 때문에 생기는 두려움을 이기게 할 것이다. An algorithm is a detailed, step-by-step method by which to solve a problem. It is the variety that a small point changes to the cone figure. The Hangeul is an example used to explain how an algorithmic spectrum can lead to surprising results. King Sejong divided sound into three parts to write a letter. A consonant is used for the initial sound, a vowel for the middle sound, and a consonant for the final sound, thus forming a trichotomy. He considers of the algorithm to write down sound as a character. Recently, Hangeul is considered as a cone to write a sentence as well as sound.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archetypes (creative material), original contents, and hub contents is an algorithm we can use to study Korean literature. Webtoons, a new form of literature particularly strong in terms of original content, have recently surfaced. It is good to verify the popularity as readers participate in a variety way and experience actively. Researchers should pay attention to this new literary genre. “Along with the Gods,” for example, is an allegorical webtoon. Its dramatic Korean content effectively attracts viewers,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hamanism is delivered to the viewers properly. It was also successful with the strong points, such as digital interaction, network, and information integrity. Researchers should analyze all these processes in their study of classical literature. The researchers focus on recognizing the variety happened within the principles connected with each other skillfully. But they hesitate in front of the detailed method. This is why the principles and theories that researchers believe in often collapse. Surely, education and experience with the principle of co-existence will help them overcome their fear of an unpredictable future.

      • KCI등재
      • KCI등재

        향가(鄕歌)의 근대·2 - 소창진평(小倉進平)가 『향가급(鄕歌及)び이두(吏讀)の연구(硏究)』에 붙인 자필(自筆) 메모 -

        고운기 ( Woon Kee Ko ) 한국시가학회 2014 韓國 詩歌硏究 Vol.37 No.-

        이 글은 小倉進平와 梁柱東을 두 축으로 1930년 전후 향가 연구의 원풍경을 재구성해본 것이다. ‘帝大 출신’의 이점을 가진 小倉는 대학에서 습득한 학풍대로 철저히 과학적이고 역사적인 연구를 견지하고자 노력하였다. 학창시절에 접한 『삼국유사 』에서 ‘고유 신라어’ (향찰)로 적힌 향가를 발견하고, 이를 일본 고대어의 풀이 방법을 원용하여 해석해 냈다. 그러나 한자 용법상의 착오, 의미 불통의 해독, 어법과 어휘상의 착오 등이 많이 나타났는데, 梁柱東은 이 같은 小倉의 단점을 재빨리 극복한 연구자였다. 특히 末音添記의 개념을 세워 임한 해독은 향가의 시가성을 살리는 데 크게 기여하였고, 우리말 구조의 핵심에까지 근접하였다. 이런 성과에 대한 小倉의 구체적인 언급은 끝내 없었다. 필자가 小倉의 기증 도서 가운데서 발견한 自筆 메모는 이 같은 사실을 보다 분명히 입증해 준다. 小倉는 본인 소장의 『鄕歌及び吏讀の硏究 』에 30여 종의 책과 자료에서 인용하여 모두 69군데에 메모를 붙여 놓았다. 이는 원저의 미비한 점을 보완하려는 목적으로 작성하였을 것이다. 1934년에 간행된 『雜考 』 (鮎貝)가 인용 자료로 포함되어 있으므로, 작성은 그 이후의 일이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小倉의 메모를 소개하면서 그것이 지닌 성격과 의의를 정리한 바, 이를 이용한 정치한 小倉 연구 분석은 관련 연구자의 몫으로 미룬다. 다만 이 글의 논지와 관련하여 메모 안에 梁柱東의 언급 유무를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없었는데, 小倉 해독의 문제점을 정면에서 조준한 양주동의 연구 성과를 그는 어쩐지 피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 그러나 이 자료는 향후 연구에서 小倉의 학문적 궤적을 다시 고찰하는데 크게기여하리라 본다. I reconstituted the original scenery of Hyang-ga study before and after 1930, and watched Judong Yang with Shinpei Ogura. It was scientific, and Ogura with the advantage of ``from Teikoku University`` made historic efforts according to the study that he learned at a university thoroughly to do it. I found Hyang-ga written by language of Silla in Samkukyusa where he contacted with for school days and quoted the interpretation method of the language of in the Japan ancient times and have begun to interpret this. However, slip-ups in the vocabulary appeared in the slip-up in the kanji use, decoding of the meaning interruption, usage a lot, but Yang was the researcher who it was the best, and got over a bad point of such Ogura. There was not the concrete reference of Ogura for such a result after all. The handwriting memo which the writer found in a donation book of Ogura surely proves such a fact. Ogura quoted it with a book and the document of the more than 30 class and touched a memo to in total 69 places. I should have made this for the purpose that was going to make up for the imperfect point of the original work. I postponed the analysis of the detailed Ogura study using this memo in the share of the associated researcher and confirmed it whether I was concerned with the point of argument of at first this sentence, and there was a reference about Yang. As a result, there was not it, but received a feeling that he avoided an article of Yang which collimated problems of the Ogura decoding in the front somehow.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