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English Plural Suffix in Optimality Theory

        고연희 이화영어학회 1999 영어학 연구 Vol.- No.4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ain the three allomorphs of English plural suffix by the notions of constraint ranking and violability provided by Optimality Theory (OT). Though the analysis based on rule ordering in the classical model of generative phonology derives correct outputs of three allomorphs, rule ordering is so controversial that it is hardly accepted. The analysis in OT explains the allomorphs by several constraints and their violations according to constraint hierarchy without rule ordering problem.

      • KCI등재

        波濤그림과 活水이론이 엮은 회화사

        고연희 한국한문학회 2019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73

        There was a history of billow painting in the pre-modern China and Korea based on the aesthetic theory for living water. Water theme in the traditional images of China and Korea was understood in the three kinds of thought; symbolic image, metaphorical image and scenery image. Billow painting was developed as one of the scenery water image and by the viewer’s demand of touching sensory nerves. It was decorative for the interior of palaces and temples during the Tang and Song China, and loved by literati. Shu Shi’s essay about water painting focuses on living water and feeling chills, which became the most important theory for billow painting. In doing so, the representative water painting by Ma Yuan was produced and it was influential on the paintings of Ming China including literati of Wu School. In Korea the living water theory was accepted by scholars. Billow painting was loved especially in the nineteenth century. 이 글은 중국의 ‘波濤그림’ 전개와 이를 뒷받침했던 ‘活水’의 표현에 대한 감상의 내용을 역사적으로 정리했다. 또한 조선시대 문인들이 중국 파도그림의 역사와 감각적 감상의 요체를 수용하고 나아가 파도그림을 향유하였던 양상을 살펴보았다. 한국과 중국의 전통에서 물 그림으로 추구하는 의미화는 크게 象(상징), 德(인격과 도덕의 비유), 景(감각적 경치)의 세 갈래로 나눌 수 있다. 이 가운데 파도그림은 景의 영역에서 그려진 대표적 주제의 하나였다. 파도그림은 宋,元代의 사찰벽화 및 송,원,명대 황실 내부의 거대한 병풍으로 공간을 장식하고 감동을 주는 역할을 하면서 문인들의 애호를 누렸고, 중국 실내 공간을 장식하는 대표적 이미지로 자리잡게 되었다. 물그림 전개와 향유의 역사 속에서 蘇軾의 活水論이 척도가 되었다. 중국의 물 그림으로 가장 널리 알려진 남송황실화가 馬遠의 ≪水圖≫에 대하여는, 북송대 발달한 파도그림을 회화사와 회화론을 배경으로 그려진 것이며 또한 이 그림이 명대 吳派화가에게도 영향을 주었다는 점을 새롭게 논할 수 있었다. 조선전중기 문인들은 중국의 활수론과 파도그림의 역사를 이해하고 있었고, 조선후기에는 중국황실을 표현하고자 파도그림 삽병을 그려넣었고, 또한 문인들 자신의 개인적, 감각적 취향으로 海(波)圖를 애호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朝鮮時代 白鷺圖, 그 表象의 변천

        고연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한국문학연구소 2003 民族文化硏究 Vol.38 No.-

        白鷺는 물가에 내려앉아 물고기를 잡아 먹는 새로, 그 모습이 희고 크며 머리에 흰 장식털이 솟아나 깨끗하고 고결한 이미지로 인식되는 새이다. 백로를 그린 백로도는 고려시대부터 감상화로 그려지기 시작하여 조선시대에 지속적으로 그려졌다. 백로도는 매, 학, 기러기 다음으로 많이 그려진 새그림이며, 대개는 기러기 혹은 학그림과 함께 畵帖이나 屛風으로 그려졌다. 조선시대 백로도는 크게 세 가지의 유형으로 전개되었으며, 화면상의 유형전개에 따라 그림의 뜻이나 기능도 달리 전개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첫 단계는 조선조에서 17세기 부렵까지 정착된 雙笠型 백로도이다. 두 마리의 백로가 가을 연못가 시든 연잎 앞에 서 있는 古典的 화면으로, 섬세한 수묵법으로 표현되었다. 문인들은 이 그림을 보면서 속세에서 벗어난 한적한 정취 혹은 물고기를 잡느라 물가에 서 있는 백로에 대한 자연이해로 흥겨운 감상을 펼쳐냈다. 그 다음으로 17세기 중반기무렵부터 ‘立型’ 백로도가 나타났다. 시든 연과 연밥의 배경이 점차 사라지고 갈대만 있는 쓸쓸한 배경에 한 마리 백로가 서있는 장면이다. 이 유형의 백로도는 거친 필묵법의 소략한 표현으로 자연의 백로보다는 필묵의 멋을 살려낸 그림이다. 또한 그려진 한 마리의 백로는 지극히 정신적인 존재로 보인다. 조선후기에 인기를 누렸던 그림이다. 19세기 이래로 근대로 들기까지 새로 등장한 민화류 그림에서는 쌍립형 백로도도 많이 그려졌지만, 한 마리가 날아오고 한 마리를 서서 보는 一飛一笠型의 새로운 백로도가 또한 큰 병풍도에 잘 그려졌다. 민화류 백로도들은 연꽃을 크고 밝게 백로는 하얗게 채색하여 한적하거나 정신적인 느낌은 사라지고 풍요롭고 화려한 분위기가 넘친다. 대개 화목하기를 바라는 민화적 소망을 담아낸 것으로 보인다. 이 세 단계의 백로도 유형은 중국의 백로도 화풍과 관련을 보여주지만, 문인들의 감상을 누리며 쌍립형이 지속된 점이나 소박한 바람을 담아 간결한 구도의 일비일립형이 유행한 점은 한국 백로도의 특징적 면모들이다. Thank to the all-white and tall appearance, snowy egret has been regarded as a bird of lofty character and choosen as a good object of paintings in East Asia. Egret was painted continuely through Koryo and Choson periods in Korea, too. Most of the painting of Egret was worked in the form of an album or a fooding screen with paintings of wild goose and crane. There seem to be three types in the egret painting of Korea. The first type is the type of ‘two standing’ by the pond of lotus all wilted in late autumn. It was painted with delicate skill of bruch and ink, having a charm of desolate seene. The literati enjoyed the flavour of the scene, the mood of renouncing the world, and the nature of the egret that looks like standing aloft, but setting its eyes on a fish in the other sense. The second type is ‘one standing’. The only one egret is standing in a field of reeds. It was painted with simple bruch work, evoking spiritual mood. The other type is ‘one flying and one standing’. It belongs to folk painting (Minhua) of which function is to express folk’s wishes. The paintings of third type was worked not in ink-washing but in colour like the most of folk painting. As they accedtuate the colour of snowy egret and flowers of lotus, the egrets in the paintings of the third type look like wonderful lovers. So the meaning of the third type seem to be the desire of living in harmony. Although it’s true that the three types show some influence from Chinese paintings, there are features in Korean painting of egret in that the two standing type continued long under the literati’s taste and the one flying one standing type was in vogue in popular simple desire.

      • KCI등재
      • KCI등재

        司馬光에 대한 視覺的 기억의 전개와 의미

        고연희 동양고전학회 2015 東洋古典硏究 Vol.0 No.60

        北宋의 司馬光(1019~1086)은 新法에 반대하고 舊法을 주창한 정치인 이며 『資治通鑑』, 『家範』등의 저자이다. 한반도의 문사들에게 사마광은 지혜롭고 덕이 높은 정치인으로, 禮와 正名을 중시한 유학자로, 주자학 의 기틀을 세우고 朱熹의 추앙을 받았던 성현으로, 탁월한 문장력의 문 인으로 높이 평가되었고 꾸준히 그림으로 표현되었다. ‘擊瓮圖’는 사마 광의 어린 시절 용기와 지략을 그린 것으로 고려로부터 조선말기까지 감상된 그림이다. 다만 현전작이 없어 조선시대 입수되었던 중국의 『新增圖像小學日記故事大全』,에 실린 삽도로 이미지를 확인하였다. 사마광의 정원을 그린 ‘獨樂園圖’는 사마광의 「獨樂園記」와 「獨樂園七詠」을 반 영한다. 조선중기 李滉의 고사인물병풍의 한 주제에서 비롯하여 金錫冑 가 본 明代仇英(1494-1552)의 <獨樂園障子>, 兪漢雋이 감상한 宋朝六 賢의 한 사람으로 독락원의 사마광이 그려졌다. 조선후기작으로 현전하 는 <독락원도>들(국립중앙박물관, 야마또분가칸)이 구영의 <독락원 도>들(클리블랜드 뮤지엄, 화정박물관)과 연관성이 높으며 이들은 화려 하고 이상적인 정원경을 주제로 한다. 사마광의 肖像은 深衣와 복건의 복식 예법을 주제로 하여 수백 년의 담론이 이루어진 것을 살펴 현재 鄭敾이 화첩류 속 사마광이 심의와 복건으로 그려지지 않은 점에서 그 진작여부나 주제파악의 재고를 제안하였다. 사마광의 이미지화는 보편 적 교육의 지속, 학문적 경향이나 예법의 문제, 물질문화의 반영 등 역 사적 특성이 반영되어 유행하는 이미지가 형성되었다. 이를 통해서 역 사적 실존 인물에 대한 관심과 표현 속에는 당대의 현실적 요구에 상응 하는 이미지가 만들어지고 그것이 역사 속 인물에 대한 기억으로 정착 되었던 흥미로운 양상을 살필 수 있었다. Sima Guang司馬光(1019~1086) has been visualized for a long time in various ways on paintings Korean scholars appreciated. Sima was a renowned historian who wrote Zizhitongjian資治通鑑, a leading conservative politician at that time, one of most famous scholars who found the base of New-Confucianism, and a man of good character. Korean scholars had great regards to his thought and achievement. Breaking a Urn or Jiwengtu擊瓮圖, showing a resourceful child who saved his friend from a big urn full of water, was an well-known paining continuously produced from Goryeo to late Joseon. Garden of Solitary Enjoyment or dulewentu獨樂園圖, describing Sima’s garden recorded in detail by Sima himself, was popular after middle Joseon, reflecting scholar’s desire for owning wonderful garden. Two extant Joseon paintings of the garden-theme are similar to Ming painting by Qiu Ying 仇英(1494-1552) which was introduced to Korea according to literal document written by Joseon scholar. Lastly, figure paintings or portraits showing Sima Guang were appreciated, usually evoking a specific discourse about proper clothes for scholars out of government work. This discourse was important to Joseon scholars in the middle and late Joseon. In conclusion, visualizing Sima Guang and meaning of the images historically show what scholars of Joseon wanted to see and to show through a well-known person.

      • [Consonantal] 자질의 잉여성

        고연희 이화여자대학교 영미학연구소 1998 영어학 연구 Vol.- No.3

        This paper examines the superfluity of [consonantal] Since McCarthy's (1988) proposal that [sonorant] and [consonantal] are included inside the root node because they do not assimilate nor dissimilate, there have been various arguments by Black(1991), Kaisse(1992), and Cho and Inkelas (1993) against this proposal, with examples where the feature [consonantal] spreads or delinks Hume and Odden (1995) challenge these arguments, reanalyzing the cases of [consonantal] spreading and insist on superfluity of this feature I will argue for their suggestion Furthermore, I will propose a model of feature geometry using aperture positions in which the root node is able to classify a segment without containing the feature [consonantal] (University of Maryland Asian Divi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