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용전공 남학생의 특성비교 연구

        고성연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8

        In this study, in order to understand the soci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llege male students majoring in beauty, PAI tests were conducted on 163 university students located in Gyeonggi-do and Chungnambuk area in 2020. First, when comparing the average scales of men who majored in beauty and men who majored in general, the major male students of beauty showed an overall high clinically recognized type compared to students who majored in beauty, and a negative impression on a valid scale (NIM) considered treatment for physical complaints (SOM), depression (DEP) and drinking problems (ALC) on a clinical scale,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on a suicide idea (SUI) scale. Secondly, in order to navigate the PAI scale that significantly predicts beauty major male students, a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15 significant scales as search factors in comparison between beauty major male and general major male students. As a result, physical complaints (SOM) and depression (DEP) scales were extracted, which became a factor that can predict male students in beauty major. Therefore,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male students in the beauty major have behavior patterns that are more obsessed with and more impulsive to physical problems than the male majors. These results will provide a lot of suggestions for the selection of future male students in beauty major, selection, management, education, consultation materials, and selection of occupations after graduation. 본 연구는 미용전공 남학생들의 사회심리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경기도 및 충남북지역에 위치한 대학의 남학생 163명을 대상으로 PAI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용전공 남학생들과 일반전공 남학생들의 평균척도를 비교하였을 때 미용전공 남학생들은 일반전공 남학생에 비해 전체적으로 높은 프로파일 유형을 보였으며 타당도척도는 부정적인상(NIM)이, 임상척도에서는 신체적 호소(SOM), 우울(DEP)과 음주문제(ALC)에서 치료고려척도에서는 자살관념(SUI)의 척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PAI검사에서 미용전공 남학생들을 유의미하게 예측해 줄 수 있는 척도를 탐색하기 위해 미용전공 남학생들과 일반전공 남학생들의 비교에서 유의미했던 15개 척도를 탐색요인으로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미용전공 남학생들을 예측해 줄 수 있는 변인으로서 신체적 호소(SOM)와 우울(DEP) 척도가 추출되었다. 따라서 미용전공 남학생들이 일반전공 남학생들보다 신체적 문제에 더 집착하는 감정 양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미용전공 남학생들을 선발하거나, 교육 및 상담에서 기초자료로서의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 비음화와 유음화의 선택적 교체 현상

        고성연 서울대학교 언어연구회 2002 언어연구 Vol.22 No.-

        이 논문에서는 최적성이론을 중심으로 국어의 비음화와 유음화 현상의 특수한 예외적 현상, 즉 화자에 따라 비음화와 유음화가 선택적으로 적용되는‘비음화와 유음화의 선택적 교체’현상을 다룬다. 선행 연구들은 이를 제약순 조정이나 유추, 음절 두음 조건, 출력형 대출력형의 대응관계 등으로 해결하려 하였으나, 이 논문에서는 김태경(2000)의 제안을 따라‘형태론적 구성에 대한 화자 인식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파악하고, 공명도 변화에 대한 단어 충실성 제약을 제안하여 설명한다. ‘음운론’은 음운론적인 조건만으로는 [으물론]으로 실현되지만, 형태소 경계를 인식하는 화자의 경우 선행 단어 ‘음운’ 을 보다 분명히 발음하려하기 때문에 [으문논]으로 실현될 수 있으며, 이 때 IDWD(pre)[son] 제약에 의해 선행 단어 ‘음운’의 공명도가 변하지 않은 후보형이 최적형으로 선택되는 것이라고 설명하였다. ‘디귿리을’과 ‘옷로비’와 같은 예들도 SYLLCON 제약과 유음화 제약에 의해 음운론적인 조건으로는 [ㄹ ㄹ]로 실현되는 경우이지만, 형태론적 구성에 대한 화자의 인식에 따라 IDWD(pre)[son] 제약이 개입하게 될 때는 SYLLCON 제약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선행 단어의 공명도 변화를 최소화하는 절충적인 표현형이 최적형으로 선택된다고 봄으로써, 국어의 비음화와 유음화의 선택적 교체 현상을 효과적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 KCI등재

        A Study on In-wheel Motor Control to Improve Vehicle Stability Using Human-in-the-Loop Simulation

        고성연,고지원,이상문,천재승,김현수 전력전자학회 2013 JOURNAL OF POWER ELECTRONICS Vol.13 No.4

        In this study, an integrated motor control algorithm for an in-wheel electric vehicle is suggested. It consists of slip control that controls the in-wheel motor torque using the road friction coefficient and slip ratio; yaw rate control that controls the in-wheel motor torque according to the road friction coefficient and the yaw rate error; and velocity control that controls the vehicle velocity by a weight factor based on the road friction coefficient and the yaw rate error. A co-simulator was developed, which combined the vehicle performance simulator based on MATLAB/Simulink and the vehicle model of CarSim. Based on the co-simulator, a human-in-the-loop simulation environment was constructed, in which a driver can directly control the steering wheel, the accelerator pedal, and the brake pedal in real time. The performance of the integrated motor control algorithm for the in-wheel electric vehicle was evaluated through human-in-the-loop simulations.

      • KCI등재

        OROCH VOWEL HARMONY REVISITED

        고성연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2012 언어학 Vol.0 No.63

        This paper revisits Oroch vowel harmony previously analyzed in Tolskaya (2008) and propose a new analysis within the framework of modified contrastive specification (Dresher, 2009). In particular, I show that the vowel patterns in Oroch are better explained under a contrastive hierarchy [low] > [coronal] > [Retracted Tongue Root (RTR)] > [labial] than under Tolskaya’s Stratal OT approach. The proposed hierarchy not just assigns proper feature specifications to each vowel in Oroch but also provides a simple, unified solution to the transparency and opacity in Oroch vowel harmony: The transparency of /i/ to RTR harmony is due to the lack of contrastive [-RTR] specification while the opacity of /i, ʊ/ is due to its contrastive height feature specification ([-low]). In addition, the putative simple vowel /æ/ receives a better treatment as a diphthong /ia/ and its peculiar behavior resembling /i/ is ascribed to its high front vowel portion /i/.

      • KCI등재

        1950년대이후 한국메이크업 이미지 변천에 관한 연구

        고성연 국제보건미용학회 2023 국제보건미용학회지 Vol.17 No.2

        In order to study the changes in Korean makeup image since the 1950s, the research method tried to look at the changes in characteristics from the 1950s to the present through the content analysis of the literature. In the 1950s, due to the influence of color makeup, makeup that emphasized contours changed in the 1960s to more gorgeous and experimental makeup. In the 1970s, the natural look became popular again, and women used earth colors in their makeup. In the 1980s, makeup became dramatic again with thick contours and bright, bold colors. With the popularization of HD televisions in the 1990s, makeup that pursued lighter and more natural makeup was formed, and in the 2000s, natural makeup that maximized the natural skin tone was introduced instead of exaggerated effects. and freedom of choice in its own style I was able to confirm that it was directed in this reflected style. As mentioned above, the transition of make-up has an overall clear characteristic depending on the era, and it is thought that this result can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of research as well as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change in the beauty style called make-up.

      • KCI등재

        한국어 모음추이설에 대한 비판적·종합적 고찰

        고성연(Ko Seongyeon) 한글학회 2020 한글 Vol.- No.329

        이 글은 한국어 모음추이 가설의 지난 50년사를 충실히 돌아보기 위해 쓰인 글이다. 이를 위해 그간 국내외 학계에서 제기된 비판적 논점들을 자세히 살핌으로써 모음추이 가설이 지닌 이론적, 경험적 한계를 종합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한국어 모음추이설의 거의 유일한 문헌학적 증거인 몽골어 차용어 자료를 재검토하고 그 이면에 전제된 중세 몽골어에 대한 구개적 조화 이론에 대한 대안으로서, 중세 몽골어 모음체계를 혀뿌리 조화 체계로 보아야 한다는 수정주의적 해석(Ko 2013, 2018)을 소개하였다. 이러한 논의는 몽골어 모음추이설의 기각, 그리고 그에 따른 한국어 모음추이설의 기각으로 귀결된다. 마지막으로 수정주의적 해석에 대한 바레레·얀후넨(Barrere & Janhunen 2019)의 반박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이들이 제시한 전통적 해석의 여섯 가지 논거가 몽골어 모음추이설을 끝내 구해내지 못한다는 점을 보였다. This article presents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history, issues, and current status of the Korean vowel shift hypothesis(KVS) (Lee 1972). A thorough reevaluation of the plausibility and adequacy of the KVS, combined with various counterexamples and contradictory evidence put forward in the literature, shows that the KVS is simply untenable. One major argument against the hypothesis comes from Ko’s (2013 & 2018) rejection of the Mongolic vowel shift hypothesis (MVS) (Svantesson et al. 2005). Ko’s revisionist view that Middle Mongolian had a tongue root harmony system poses a critical challenge to the proponents of the KVS who took it for granted that Middle Mongolian had a palatal harmony system when comparing the vowel qualities of Middle Korean and Middle Mongolian. This article also critically reviews the most recent arguments presented in favor of the conventional view by Barrere and Janhunen (2019).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