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활나물 부위별 추출물의 유지에 대한 항산화 효과 및 항균성에 관한 연구

        우나리야(NaRiYah Woo),김태수(TaeSoo Kim),박춘근(Chun Geon Park),성하정(Ha Jeong Seong),고상범(Sang Beam Ko),강명화(Myung Hwa Ka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4 No.7

        본 연구는 활나물의 항산화제와 항균제로의 이용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수행되었다. 활나물의 용매 추출수율은 줄기, 잎, 뿌리 순이었고 줄기추출수율이 4.47%로 가장 높았다. 총 페놀성화합물 함량은 잎, 뿌리, 줄기의 순이었고, 잎 추출물이 2.98 ㎎/mL로 가장 높았으며, 줄기 추출물에서 가장 낮았다. 활나물 부위별 추출물의 유지에 대한 항산화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옥수수유에 추출물과 항산화제를 각 농도별로 첨가하여 60±2℃에 저장하면서 3일간격으로 POV를 측정한 결과, 활나물의 잎, 줄기, 뿌리 추출물은 대조군에 비하여 저장기간 동안 높은 항산화성을 나타내었고, 0.05%의 추출물을 첨가한 군의 항산화 활성이 높았다. 또한 저장기간에 따른 CDV 측정 결과 POV와 유사한 경향이었다. 산화 유도기간은 잎, 줄기 0.05% 추출물이 대조군에 비해 연장되었다. 활나물 추출물의 항균성을 측정한 결과 잎 추출물이 모든 균종에서 강한 항균력을 나타내었고, 줄기, 뿌리 추출물 순으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Pseudomonas florescens에 대해서는 강한 항균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활나물 추출물의 항산화효과와 항균성을 측정한 결과 모든 부위에서 강한 활성을 나타내어 천연 첨가물로의 개발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The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properties of the solvent extracts of 3 parts (leaf, stem, root) of Crotalaria sessiflora L.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find out new natural food additives.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the extracts were determined by peroxide value (POV) and the conjugated diene value (CDV) of corn oil stored for 30 days at 60±2℃. Each part of the extracts were added as 0.02, 0.05% and then compared with BHT.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were as follows in decreasing order: BHT > LeafEX > StemEX > RootEX > control. The induction period showed that the part of the Crotalaria sessifloria L. group added with solvent extract showed a longer induction period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part of Crotalaria sessiflora L. solvent extract were shown to have antimicrobial effects on the microorganism such as Bacillus subtilis, Sta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Salmonella Enteritidis, Pseudomonas flrourescens and Esch - erichia coli. Especially the effect on the Pseudomonas flrourescens was remarka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