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폐경기 중년여성의 필라테스 효과에 관한 연구

        고민숙(Min-Sook Ko),최동훈(Dong-Hun Choi),조준용(Joon-Yong Cho)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1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필라테스 운동이 폐경기 중년여성의 신체조성, 혈중 생화학적 변인, 슬관절과 체간의 근력 및 근지구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자는 50세에서 59세 미만의 폐경기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운동집단 10명, 통제집단 10명으로 구분하였다. 필라테스 운동은 하루 50분, 주 2회, 12주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신체조성에서 체지방량에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혈중지질과 세로토닌에서는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긍정적인 경향이 나타났다. 셋째, 등속성 근력 및 근지구력에서는 체간 근력의 Flexor Peak Torque에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12주간의 필라테스 운동이 폐경기 중년여성의 신체조성의 변화, 혈액학적 변인, 등속성 근력 및 골밀도에 미치는 효과는 부분적으로 유의하지 않지만 전체적인 효과는 긍정적인 경향이 나타났다. 따라서, 필라테스 운동은 폐경기 중년여성에게 신체적, 심리적으로 적절한 운동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pilates exercise on the body composition, blood biochemical factor, isokinetic knee and trunk muscle function in menopause middle-aged women. In order to carry out this study, Twenty menopause middle-aged wome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pilates exercise group (PEG; n=10) and control group (CG; n=10). PEG group performed pilates exercise for 50 min per day, 2days/week for 12 weeks. As a result, first,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on body fat mass in body composition.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result in blood lipid and serotonin, but there was a positive trend. Third, in the isokinetic knee and trunk muscle function, the interaction effect was found in the flexor peak torque of trunk strength. The effect of the 12-week Pilates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bone density, blood biochemical factor, and isokinetic muscular strength of menopause middle-aged women is partially insignificant, but the overall effect tends to be positive. In conclusion, the Pilates exercise conducted in this study is appropriate for menopause middle-aged women.

      • KCI등재후보

        유아 스마트 기기 사용 현황의 변화: 2015-2016년과 2017년의 연구 결과 비교

        소혜진,임성민,조상연,고민숙,문진화 대한소아신경학회 2018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26 No.4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changes in smart device usage trends of young children using two studies conducted in 2015-2016 and 2017 respectively. Methods: We compared the data of the previous study of 130 children (Group A) and the new study of 162 children (Group B). The children and parents were recruited from kindergartens in Seoul and Guri/Namyangju cities. We used the “Parental questionnaire for smart device usage status.” Results: There were some changes in the smart device usage in young children and parental perception. In the 2017 study, smart device usage time increased during weekends (P<0.05) and the usage with siblings decreased (P<0.05). In 2017, the smart device was mostly used when children had to be quiet without disturbing others (36.8%). No significant difference existed in the main purpose of use: watching video clips (79.3% vs 76.6%). Overall control of the usage was still largely exercised by mothers; however, when using applications, mothers still only helped the children on request (51.8% vs 49.7%). Regarding the effect of smart device on children, responses of “not knowing” decreased and “will be negative” and “will be positive” increased (P<0.05). Additionally, most mothers thought that “Although the smart device is currently unnecessary, it will be needed in future” in 2017 (46.3%). Conclusion: Limiting the smart device usage time during the weekends and increasing parental involvements are recommended. Guidelines for smart devices usage in young children are also necessary considering the changes in parental attitudes in recognizing the smart device usage as unavoidable.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 스마트 기기 사용 현황에 대한 2015– 2016년에 시행한 연구결과와 2017년도에 시행한 연구결과를 비교해보고 두 기간 사이의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방법: 본 연구는 2015년 11월–2016년 4월까지 130명을 대상으로시행한 선행연구 결과와(Group A) 2017년 3월–12월까지 162명을대상으로 시행한 후속 연구의 결과(Group B)를 비교 분석하였다. 경기도 구리/남양주시 및 서울지역의 유아기관에 등원하는 3–5세의유아들과 부모들이 연구에 참여 하였으며 ‘유아 스마트 기기 사용 현황에 대한 부모설문지’를 이용하였다. 결과: 두 기간 사이에 유아들의 스마트폰 사용현황과 부모의 인식은 일부 변화가 있었다. 2017년도 연구에서 스마트 기기 사용 시간은특히 주말 시간대에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며(P<0.05), 형제와 같이 사용하는 것은 줄어들고 있다(P<0.05). 또 어머니들은 유아들이 다른 사람을 방해하지 않고 조용히 있어야 하는 상황에서 스마트 기기를 가장 많이 이용한다고 하였다(36.8%). 주요 이용 콘텐츠는 두 기간 동안에 큰 차이가 없었고 모두 동영상 시청이 가장 많았다(79.3 % vs 76.6 %). 사용 시작과 종료에 대한 주도권은 여전히 어머니에게 있었고,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시 유아 혼자 선택하기보다는 어머니 또는다른 도움을 받아 선택하는 것이 늘어나(P<0.05), 전반적인 사용에 대한 통제는 대체로 여전히 어머니가 하고 있었다. 그러나 자녀가 애플리케이션 사용 시 요청할 때만 도움을 주는 경우와 전혀 도움을 주지 않는 경우가 여전히 높았고 큰 변화가 없었다. 스마트 기기의 사용이유아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잘 모르겠다는 응답이 줄고, 긍정적또는 부정적일 것이라는 응답이 증가하였다(P<0.05). 또 스마트 기기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이전에 비하여 잘 모르겠다는 응답이 줄었으며(P<0.05), 현재는 필요하지 않으나 앞으로는 필요할 것이라는 응답이다수를 차지하였다(46.3%). 결론: 2017년도의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들의 주말의 사용 시간을적절히 제한하고 스마트 기기 사용시 부모 개입을 늘리도록 권고한다. 또 유아 스마트 기기 사용이 피할 수 없는 환경임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입장을 결정해 가고 있는 부모 태도의 변화를 고려할 때 유아 스마트 기기 사용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조속히 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유아 스마트기기 사용 및 이용수준 현황

        노주형(Joo Hyung Roh),이진(Jin Lee),고민숙(Min Suk Koh),김용주(Yong Joo Kim),설인준(In Joon Seol),문진화(Jin Hwa Moon) 대한소아신경학회 2016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24 No.3

        목적: 스마트기기의 보편적인 사용으로 많은 영유아들이 이를 손쉽게 접하게 되었다. 그러나 영유아기 아동들의 스마트기기 사용 현황과 그 영향에 대해서는 아직 체계적인 연구결과가 많지 않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들의 스마트기기 사용현황과 이용수준을 재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방법: 연구대상은 구리시와 남양주, 서울의 어린이집 4곳에 등원 중인 만 3-5세 유아 130명(남:여=71:59) 이었으며, 질문도구지에 대한 부모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질문도구는 앞선 연구들에서 사용되었던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 현황에 대한 질문지’와 ‘부모용 유아 스마트기기 이용수준 척도’를 이용하였다. 결과: 최초의 스마트기기 사용시기는 만 1-2세가 가장 많았으며 (37.7%), 사용빈도는 주 1-2 회가 가장 많았고(35.4%), 하루 중 총 사용시간은 주중(57.6%) 또는 주말(53.8%) 모두 1시간 미만인 경우가 많았다. 주 사용목적은 동영상 시청이었다(73.9%). 대부분의 어머니들이 스마트기기의 사용자제를 위한 노력을 시도하고 있으며(66.1%), 유아에게 미치는 영향은 부정적으로 평가하였다(53.0%). 미디어이용수준척도의 평균점수는 3.34점으로(1-5점 척도) 보통 정도의 이용수준을 보였다. 추가적으로 사용빈도(F), 최대사용시간(Tmax)을 이용하여 이 두 값의 곱인 FxTmax 값을 구하고 이를 인구학적 변수에 따라 비교하였다. 형제가 있는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Tmax 가 의미 있게 더 높았으며, 5세 유아 군이 3세 또는 4세 유아군에 비하여 Tmax 또는 FxTmax 값이 의미 있게 더 높았다. 결론: 유아의 성장에 따라 스마트기기 사용시간의 조절과 바람직한 이용수준에 대한 지도가 더 필요하며, 스마트기기 사용이 유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Purpose: With the widespread use of the smartphone, many preschool children have gained easy access to the smartphone or tablet PC (Personal computer). However, there are not much studies about the current status of smartphones usage or in-flu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evaluate the current state of the smart-phone usage and utilization levels in preschool children. Methods: Total 130 preschool children between 3-5 years old were enrolled from four daycare centers at Guri, Namyangju and Seoul (M:F=71:59). We used 1) the questionnaires for usage of smartphones and 2) the scales for use of smartphones by parents, which developed by preceding publications. Results: The most common age at first use of smartphones was between 1 and 2 years old (37.7%) and the most common frequency of using smartphones was 1-2 times a week (35.4%). Most children used smart devices less than an hour both in weekday (57.6%) and weekend (53.8%). The main purpose of usage was watching videos (73.9%). Average score of smart device utilization level was 3.34 (1-5 points scale), which showing moderate level. In addition, we analyzed the frequency of usage (F), maximal usage time (Tmax), and the product of F and Tmax (FxTmax) score by demographic data. The children having sibling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max. 5 years old group showed higher Tmax and FxTmax than 3 or 4 year old group. Conclusion: As preschool children grow up, more guidance for the smartphone usage time and desirable usage level will be needed. The effects of smartphone usage and diverse developmental outcome should be further investigated.

      • KCI등재후보

        유아 스마트 기기 사용 관련 요인들과 자기조절 능력 발달과의 상관관계

        조상연(Sang Yeun Cho),소혜진(Hye Jin So),임성민(Sung Min Lim),고민숙(Min Sook Koh),송길연(Kil Yun Song),문진화(Jin-Hwa Moon) 대한소아신경학회 2018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26 No.3

        Purpos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mart devices usage-related factors and self-regulation ability development in early childhood. Methods: Parental questionnaires of 187 children aged 3–6 years were analyzed. The metrics included smart device usage frequency (times/week, scored as uFreq), smart device usage time (hours/day, scored as uTime), parental scale for appropriate smart device usage level (scored as uLevel), the Korean-developmental screening test (K-DST), and the scale for self-regulation ability in young children (scored as SRS, and including four sub-categories: self-appraisal, self-determination, behavior inhibition, and emotionality). The correlations were analyzed by total age group and by each age. Results: In the total age group analysis, uFreq and uTime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mean SRS (rs= -0.366, -0.330; P<0.001) and sub-category SRS (rs= -0.186 to -0.370; P<0.05). Mean uLevel scor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mean SRS (rs=0.406; P<0.001) and most of the mean sub-category SRS (rs=0.174 to 0.362; P<0.05). In 3-year-old children, the mean SRS was strong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uFreq (rs=-0.751; P<0.001), negatively correlated with uTime (rs=-0.518; P<0.001),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mean uLevel score (rs= 0.533; P=0.013). Such correlations seemed to decrease at the age of 4–6 years. Conclusion: Self-regulation ability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mart device-related factors and was the highest in the 3-year-old children. Encouraging appropriate smart device usage will be helpful for self-regulation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