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수증운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체력, 신체구성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고미자 ( Mi Ja Ko ),임은숙 ( Eun Suk 1m ),한유정 ( Yu Jeong Han ),강관순 ( Gwanq Soorr Kang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09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5 No.1

        체력은 인간이 활동하는데 있어서 발휘할 수 있는 신체적 능력이다, 노화에 따른 체력요소의 저하경을 보면 최고수준을 나타내는 20대 이후 연령대의 변회에 다른 체력요소는 연령대 별로 약 10% 정도 자연적인 감소경향을 나타내면서 30대에서 는 평형성 감소,40대에서는 유연성,50대에서는 순발력이 그 밖의 제력요소보다 급격한 감소경향을 나타내고 60대에서는 대부분의 체력요소가 크게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상체 유연성은 운동 전보다 운동 후 다소 좋아졌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하체 유연성은 운동 전보다 운동 후에 증가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빈첩성은 운똥 전보다 운동 후에 유 의하게 증가하였다. 이것은 Lee (2006)의 노인운동의 연구결과 와 일치하였다. 민첩성은 평형성과동적 평형성이 결합된 수행력이 보행속도, 일상생활 활동지수와 관련이 있으며 낙상의 재발을 예측해주는 인자이다 이상의 연구 결과와 선행논문을 비교해본 결과 수중운동은 노인들의 기초체력을 향상시키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상시카고자 하는 항목에 따라 운동기간 및 방법의 적절한 고려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사료된다. 2. 신체구성 체중은 운동 전과 운동 후에 있어서 체중이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Ka (2000)의 연구에 의하면 중넌비만여성의 경우 수중운동에 참가 결과 체중이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상자가 중년여성과 노인 이라는 차이가 있음으로 노인의 경우에는 체중감소가 많이 나타나지 않음을 불 수 있었다. 체지방량의 변화는 운동 전보다 운동 후에 있어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노인의 체지방축적의 가장 큰 원인은 연령의 증가에 따른 습관적인 신체활동의 감소와 성별에 따라 다르다. Park 등 (2001)의 연구에 의하면 여성은 엉덩이와 허벅지에 지방이 축적되는 반면 남성은 복부에 지방축적이 더 잘된다. 남성의 평균 체지방이 55세가 되기 전에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반면 여성에 서는 주로 55세 이후에 지방축적이 일어났다 Ka (2000)의 연구결과와 비교해 봤을 때 체지방량은 중년비만여성의 경우와 같이 노인의 경우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그러므로 노인의 체지방량 감소에 수중운동 프로그램이 효과적임을 볼 수 있었다. 복부지벙률은 운동 전보다 운동 후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Ka (2000)의 연구결과와 같이 복부지방률 에 유의한 차이가 있어 수증운동 프로그램이 복부비만에 효과 적인 운동임을 알 수 있다. 3. 대상자의 삶의 질 본 연구의 결과 삶의 질은 운동 전보다 운동 후에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p=.153)가 없었다. 노인의 삶의 질과 관계되는 변인은 다양한데 그 중 특히 건강증진 행위가 삶의 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Oh. 1993). 노인을 대상으로 한 건강증진행위로 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한 연구결과들을 보면 Kim (1994),Kim (1995)의 연구에서 근력 강화운동을 실시한 후 삶이 질이 유의하게 증진되었고,유산소 리듬운동 프로그램을 노인에게 실시한 후 삶의 질을 측정한 Kim (2000)의 연구결과와 율동적 운동프로그램을 노인에게 실시한 후 삶의 질을 측정한 Lee (2000)의 연구결과와도 일치 하였다. 이러한 운동프로그램은 대부분 12주간 주 2회 1시간의 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였다. 삶의 질에 대한 운동프로그램의 실시 기간에 있어서 운동기간이 6개월 이상의 경우 삶의 칠에 변화를 유도하였으나 4개 월 이하의 경우 유의한 차이가 없는 잣이 많은 연구 결과에서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운동의 경우 선치1적 변수, 우 울 및 정서적 변화는 쉽게 나타나지만 삶의 질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장시간이 지나야 그 효과를 나타냄을 많은 연구 결과에 서 볼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볼 때, 본 연구의 수중운동 프로그램을 8주 적용한 결과 삶의 질이 통제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기간을 좀 더 길게 운영한다면 삶의 질이 향상되는 노인운동프로그램으로 적정하다고 보여진다. 본 연구에서 기억과 인지적 측면의 변화는 운동 전보다 운동 후에 기억과 인지능력이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 이는 없었다. 노화로 인해 신체적 기능이 저하되면서 기억력‘ 판단력이 약 해져 시간적 변화에 대한 적응 능력이 감소되고, 주의력과 집중력이 부족해져서 나타나는 증상으로 정신적인 둔마상태로 인해 자극에 대한 반응이 느려져 의욕이 없어지는 경향이 있다. 활기찬 운동은 정신적인 행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규칙적인 운동은 불안과 우울증의 감소뿐만 아니라 자아개념향 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결과는 8주간 노인을 대상으로 점볼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기억과 인지력이좀 더 증가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를보이지는 않은 Lee (2006) 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노인에 대한 운동프로그램이 기억과 인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기억 과 인지능력을 증진시켜주는데 영향을 미침으로 노회를 예방 할 수 있는 적절한 중재방법이라고 파악된다. The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n aquatic exercise program on physical fitness, body composition and quality of life in 25 elderly women. Methods: Subjects participated in an 8-week aquatic exercise program. Sessions ran three times weekly for 60 min. The 60 min consisted of a l0-min warm-up, 40-min exercise and l0-min cool-down. Change of physic-cal fitness, body composition and quality of life were measur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before and after the aquatic exercise program. Results: Flexibil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p=.000), body fat rat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p=.04l), body mass index was significantly decreased (p=.003), and abdominal fat rat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p=.025). Conclu-sions: Aquatic exercise has health benefits for elderly women.

      • KCI등재
      • SSCI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소아에서 상하악골의 위치에 따른 상기도의 시상평면상 계측값의 연관성

        김숙희,고미자,남옥형,김미선,이효설,김광철,최성철,Kim, Sookhee,Ko, Mija,Nam, Okhyung,Kim, Misun,Lee, Hyoseol,Kim, Kwangchul,Choi, Sungchul 대한소아치과학회 2018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5 No.3

        The respiratory function is relevant to the craniofacial growth and orthodontic diagnosis. The size of the pharyngeal airway was measured in lateral cephalometric view in children visited Kyung Hee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2015 to August 2017. A total of 74 healthy children (36 boys and 38 girls) aged 7 - 11 years (mean, 8.5 years) with a normodivergent facial pattern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anteroposterior jaw relation measuring A point-Nasion-B point (ANB) angle. Lateral cephalometric data were used to measure the airway dimensions. The dimensions of the middle airway were significantly lower, reducing the upper airway space, in large ANB angle group than in other children, suggesting that children with large ANB angle have narrower airway space than others. 본 연구는 소아에서 상하악의 전후방적인 골격적 위치 관계에 따른 기도의 너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2015년부터 2017년 8월31일까지 경희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하여 측모두부방사선사진을 촬영한 소아 중 정상적인 안면골격의 수직적 성장 양상을 보이는 7세부터 11세(평균연령 8.5세) 어린이 74명(남아 36명, 여아 38명)을 A point-Nasion-B point (ANB) 각도에 따라 세 군으로 나누어 측모두부방사선사진 계측을 통해 기도 너비를 비교평가하였다. 중기도너비, 하기도너비 및 기능적교합평면상에서의 기도너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큰 ANB각도를 지니는 군이 다른 군보다 기도너비가 더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골격성 2급 부정교합을 지닌 소아들이 1급이나 3급 부정교합을 지닌 소아보다 기도너비가 더 작은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