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오아시스>의 타자의 공간과 재생산

        계운경(Woon-Gyoung Ghe)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10

        본 연구는 영화 <오아시스>를 통해 장애여성이 겪는 일상공간에서의 구조화된 폭력과 재생산의 관계를 짚어낸다. ‘집’, ‘홍종두의 세계’, ‘환상’ 공간을 통해서 가시적 폭력뿐 아니라 상징폭력이 작동되는 방식을 살펴보고, 그것이 재생산으로 이어지도록 작용하는 연결고리로서 ‘강간’, ‘사랑’, 그리고 ‘홍종두의 편지’에 초점을 두고 분석을 시도한다. 위의 세 요소들은 한공주와 홍종두는 물론이고 이 영화를 보는 관객들까지 도오인의 메커니즘을 통해 상징폭력의 생산자로서 공모하게 하고, 결국 지배이데올로기의 재생산으로 이어지도록 이끈다. Oasis shows a phenomenon of structured violence in the daily life of female with heavy disability. However, even victims of the violence dont think they are victims. Through this mechanism of misconception we are all conspired as producer of violence and after all it is connected to the reproduction of dominant ideology. Therefore, it is the task of diagnosing accurately about the mechanism of symbolic violence which is constantly being reproduced in particular spaces through a present of methodology which interpret the perspective of the most fundamental about social pathology.

      • KCI등재

        <도가니>의 참여적인 관객성을 위한 재현전략

        계운경(Woon-Gyoung Ghe)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8

        본 논문은 <도가니>가 어떠한 재현전략으로 대중성을 확보하는지에 관하여 짚어낸다. <도가니>의 ‘집단적 기억의 환기’, ‘고전적인 내러티브’, ‘영화의 자기반영성"은 관객을 분노하게 하여 사이버 공론장으로 모이게 했으며, 더 나아가 ’참여적인 관객성‘을 가능하게 했던 중요한 요인들이다. 그런데 관객의 분노를 극대화시킬 수 있었던 이 영화의 장치들은 윤리적 논란을 불러일으킨다. 본 논문은 <도가니>가 다양한 재현전략을 통해 ’참여적인 관객성‘을 이끌어 낼 수 있었던 원인분석을 목표로 한다. This study analyzes what kind of representation strategies make popularity in Silence. As audiences come together in cyber public sphere, ‘participatory spectatorship’ is made. Its sources are classical narrative mode and collective memories which are the devices to goad audience to anger. Silence reveals self-reflexivity because fact-based film has effect on allowing the audience to be aware of the reality constantly. However, the devices which maximize audience"s anger aroused ethical controversy. Silence"s unethical expression is the strategy for representing the popularity and the methodology for social ethics.

      • KCI등재

        다큐멘터리와 멜로드라마의 조우(遭遇)-<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를 중심으로-

        계운경 ( Ghe Woon Gyoung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6 현대영화연구 Vol.12 No.3

        본 논문은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가 멜로드라마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어떻게 다큐멘터리가 낭만성을 기반으로 하는 멜로드라마로 재탄생될 수 있는지, 그 과정을 분석한다. 다큐멘터리와 멜로드라마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첫째, `사랑`과 `이별`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이 영화의 서사전개를 살펴본다. 이 영화는 `행복한 일상시퀀스`, `갈등시퀀스`, `죽음시퀀스`, 이 세 단계로 연결되어 있으며, 그 과정에서 `로맨틱 코미디`와 `한국 최루성 멜로드라마`의 특징들이 나타난다. 둘째, 멜로드라마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인 낭만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활용하고 있는 `극미학적 장치`들을 짚어 본다. <님아>는 편집, 인서트, 사운드 등을 이용하여 `사랑`, `자연`, `향수`와 같은 낭만적 정서를 강조하고 있다. 셋째, 한국 최루성 멜로드라마의 중요한 구성요소인 `죽음`과 `눈물`의 효과가 이 영화에서는 어떤 방식으로 드러나고 있는지 살펴본다. 특히 자연의 풍경과 소리, 그리고 음악은 이 영화가 죽음과 눈물을 기반으로 한 최루성 멜로드라마로 변모하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님아>가 멜로드라마를 따름으로써 대중성을 확보하는 데에 도움을 받지만, 반면 멜로드라마가 가진 `내적인 정치성`까지 계승할 수밖에 없는 한계에 관해서도 짚어낸다. Documentary based on reality is at odds with melodrama on the basis of an illusion-image notionally. However, My Love, Don`t Cross that River as a piece of documentary has narrative and structural elements of melodrama, which can make the documentary a piece of melodrama by dramatic-aesthetic devices. The devices in documentary are mostly directed by director`s intention, being utilized for enriching an artistry possibly excluded from the reproduction of reality and drawing audience`s attention like that of commercial movies. My Love, Don`t Cross That River also tries to achieve the two effects, the enriched artistry and the audience`s attention, by utilizing various dramatic-aesthetic devices such as narrative focused on pure love of parting Gae-Yul Kang from Bung-Man Jo because of his death, sound and landscape of nature, nostalgia with romantic emotion, her and her family`s sorrow with tears on his deathbed and so on. The documentary finally obtain popularity by combining documentary with melodrama which is more likely to be inconsistent with documentary, letting the audience empathize with the characters and assimilate into the drama to contribute to the popularity. This study consists of ambivalence followed by the dramatic-aesthetic devices such as narrative with love, conflict and death, romantic emotion through `love`, `nature`, `nostalgia` and the effect of death and tears, which underlies the documentary, starting from various discourses of melodrama in general. The study is to analyse a process of defining how documentary can be a melodrama based on romanticism with My Love, Don`t Cross That River.

      • KCI등재

        특집논문 : 정체성 확립을 위한 다큐멘터리의 재현전략 -로스 맥켈위와 마이클 무어의 비교를 중심으로

        계운경 ( Woon Gyoung Ghe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5 현대영화연구 Vol.11 No.3

        본 논문은 동시대 감독인 로스 맥켈위(Ross McElwee)와 마이클 무어(Michael Moor)의 비교를 통해 다큐멘터리 감독이 어떻게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는지 그 과정을 분석한다. 맥켈위와 무어의 작품은 많은 유사점을 가지고 있다. 반영적 양식, 사적·자전적 요소, 내러티브전략으로서 ‘1인칭내레이션’, ‘대화식 인터뷰’, ‘웃음코드’, 그리고 분열되는 주체의 양상 등이 특히 그러하다. 이러한 내러티브구성 요소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모두 미학·정치·대중적 관심을 이끌어내기 위해 활용되며, 동시에 맥켈위와 무어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데 효과적인 전략으로 작용한다는 사실이다. 영화 속에서 이들의 정체성은 개인사를 통해서도 나타나지만, 주류담론과의 거리를 통해 더 확실하게 드러난다. 무어가 주류담론을 비판하고 대항담론을 제시함으로써 자신의 정체성을 구축한다면, 맥켈위는 정치적 문제를 다루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적 관점으로 통제함으로써 부드럽게 자신의 정치적 정체성을 구축한다. 이러한 정체성은 ‘영화작가’인 맥켈위와 무어가 ‘사회적 배우’로서의 자기 자신을 취사선택하여 관객에게 제시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영화작가’가 선택한 자신의 정체성은 반영적 양식과 사적·자전적 요소를 비롯하여 1인칭내레이션, 대화식 인터뷰, 웃음코드 등의 재현전략을 통해 관객에게 전달된다. 관객이 영화를 통해 맥켈위와 무어의 구성된 정체성을 받아들이면서 마침내 그들의 정체성은 확립된다. This study analyzes a process how identities of documentary filmmakers are established, comparing Ross McElwee with Michael Moor, contemporary documentary filmmakers. Their documentaries have profuse similarities such as reflexive mode, personal documentary, autobiographical documentary, the first person narration, interview, laughter code, splitting of subject, ets. These similarities work effective strategies for constructing identities of these directors, catching audiences` attention aesthetically, politically, and popularly. McElwee and Moor`s identities are revealed through their personal history, much more clearly being exposed through the distance from the main stream discourse. While Moor builds his identity, criticizing the main stream discourse and presenting opposition discourse, McElwee constructs his identity with depoliticization, even though he is involved in political subject. Selecting them among a variety of their identities as a social actor performing in their films, McElwee and Moor as a filmmaker show audience their own identities. The identities chosen by them are acknowledged audience through representation strategies such as reflexive mode, personal documentary, autobiographical documentary, the first person narration, interview, laughter code, splitting of subject ets. Finally, McElwee and Moor`s identities are established as audience accept the formed identities.

      • KCI등재

        <도가니>의 참여적인 관객성을 위한 재현전략

        계운경(Woon-Gyoung Ghe)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9

        본 논문은 <도가니>가 어떠한 재현전략으로 대중성을 확보하는지에 관하여 짚어낸다. <도가니>의 ‘집단적 기억의 환기’, ‘고전적인 내러티브’, ‘영화의 자기반영성은 관객을 분노하게 하여 사이버 공론장으로 모이게 했으며, 더 나아가 ’참여적인 관객성‘을 가능하게 했던 중요한 요인들이다. 그런데 관객의 분노를 극대화시킬 수 있었던 이 영화의 장치들은 윤리적 논란을 불러일으킨다. 본 논문은 <도가니>가 다양한 재현전략을 통해 ’참여적인 관객성‘을 이끌어 낼 수 있었던 원인분석을 목표로 한다. This study analyzes what kind of representation strategies make popularity in Silence. As audiences come together in cyber public sphere, ‘participatory spectatorship’ is made. Its sources are classical narrative mode and collective memories which are the devices to goad audience to anger. Silence reveals self-reflexivity because fact-based film has effect on allowing the audience to be aware of the reality constantly. However, the devices which maximize audiences anger aroused ethical controversy. Silences unethical expression is the strategy for representing the popularity and the methodology for social ethics.

      • KCI등재

        공론장으로서의 다큐멘터리 영화와 그 구조변동으로서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

        계운경 ( Ghe Woon-gyoung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2019 아시아영화연구 Vol.12 No.1

        이 논문은 공론장으로서의 다큐멘터리 영화에서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에 이르는 전개양상을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과 기능에 대해 논의한다. 논의는 여섯 단계로 나눈다. 첫째, 하버마스의 공론장과 대중매체로의 전화(轉化), 둘째, 대중(mass)과 공중(public) 사이의 영화관객, 셋째, 공론장으로서 다큐멘터리 영화의 계보, 넷째, 정체성의 정치학과 사적 다큐멘터리, 다섯째, 인터넷 공론장, 여섯째, 공론장의 구조변동으로서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다. 다큐멘터리 영화를 공론장과 연결시키고자 하는 것은, 다큐멘터리 영화가 공적영역의 문제를 제시하여 관객의 참여를 독려함으로써 정치ㆍ사회적 변화를 이끌어내고자 하는 공론장의 목표에 부합하기 때문이다. 다큐멘터리 영화에 이어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는 21세기 디지털 테크놀로지 시대의 정치적 행위가 수행되는 공적영역으로서 공론장의 역할을 계승한다. 지금까지 발표되고 있는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를 보더라도 오락성이나 미학성보다는 공공재로서 기능이 강화되어 있다. 이것은 공론장으로서 다큐멘터리 영화의 연장선상에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가 위치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developmental aspect from the documentary to the interactive documentary as the public sphere, and discusses the features and functions that appear in the process. The discussion is divided into six stages as follows: first, Habermas's public sphere and changes, second, audiences between the general public and the public, third, a genealogy of documentary as the public sphere, forth, politics of identity and personal documentary, fifth, the internet public sphere, sixth, the interactive documentary as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the public sphere. It is because the documentary corresponds with a goal of the public sphere inducing political and social changes by encouraging involvement, presenting problem in the public domain that the documentary is combined with the public sphere. To combine the documentary with the public sphere is because the documentary corresponds the goal of the public sphere, which aims to bring political and social change through encouraging participation by presenting problems in a public domain. The interactive documentary following the documentary plays a key role to the public sphere as a public domain, which performs political activities of the 21st century digital technology era. The interactive documentaries, which have been released so far, have enhanced their function as public goods rather than entertainment and aesthetics. This means that the interactive documentary is located on the extension of the documentary as the public sphere.

      • KCI등재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의 구성요소와 의미작용

        계운경 ( Ghe Woon Gyoung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9 현대영화연구 Vol.15 No.1

        이 논문은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의 구성요소를 밝히고, 그 의미작용에 관해 짚어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21세기 뉴미디어와 의미화 과정에 대한 총체적 해석을 제시하는 볼터(Jay David Bolter)와 그루신(Richard Grusin) 및 마노비치(Lev Manovich)의 이론을 참고로 하여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에 적용한다. 이것은 뉴미디어 시대 다큐멘터리의 위치와 더불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진단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함이다.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는 현재 트랜스미디어 콘텐츠로서 세계적 주목을 받고 있다. 그리고 지금까지의 평가는 두 가지로 나뉘는 양상을 보인다. 하나는,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발전 가능성을 통해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를 전통적인 다큐멘터리의 대안으로 보는 긍정적 입장이다. 다른 하나는,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가 다큐멘터리의 범주에 포함되는지 의문을 제기하는 부정적 입장이다. 하지만 이 논문은 기술결정론을 경계하면서도 이러한 이분법적 논의에서 벗어나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를 구성하는 요소들과 더불어 각각의 의미를 짚어본다. 먼저,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의 제작 및 연구 현황을 살펴보고,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의 구성요소를 큰 틀에서 세 가지로 나눈다. 첫째,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의 ‘리얼리티’와 ‘재매개의 이중 논리’, 둘째,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의 인터랙티비티로서 ‘선택’과 ‘신체적 행위’, 셋째,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의 인터랙티브 서사를 구성하는 요소로서 데이터베이스,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이 논문은 이러한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의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각각이 함축하는 의미를 밝힌다. To do this, the theories of Jay David Bolter & Richard Grusin and Lev Manovich, presenting a comprehensive interpretation of the 21st century new media and its signification, are applied to the interactive documentary. This process to examine will help to diagnose the current position of the documentary as well as the direction to go forward in the new media age. The interactive documentary is now receiving worldwide attention as a trans-media content, its view divided into two simple aspects: one is a positive position as an alternative to the traditional documentary, which praises the infinite possibilities of digital technology. The other is a negative stance that questions whether the interactive documentary is not included in the category of documentary. However, this paper attempts to deviate from dichotomous discussion by examining the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meanings of the interactive documentary as cautious with technical determinism. This paper is divided into three parts as follows in order to identify the elements and meanings of the interactive documentary: first, ‘choice’ and ‘physical action’ as the interactivity, second, reality of the interactive documentary and the double logic of remediation, third, database, internet, user, and interface as the elements of the interactive narrative.

      • KCI등재

        <고령가 소년 살인사건>의 공간성 연구

        계운경(Woon-Gyoung Ghe)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12

        본 연구는 <고령가 소년 살인사건>의 공간성에 관해 분석하는 연구이다. 그런데 공간성의 의미를 영화내부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영화외부까지 확대하여 논의한다. 영화내부에는 샤오쓰의 살인사건이 발생하도록 이끈 폭력공간으로서의 사회, 집, 학교가 있다. 그리고 영화의 외부공간에는 내용과 형식을 통해 사회의 지배시스템에 저항하는 감독의 태도와 의지가 있고, 그것을 해석하는 관객의 공간이 있다. 관객은 감독의 의도가 있는 영화의 외부공간에서 합류하여 이 영화를 적극적으로 해석하고 스스로를 성찰하면서 사회참여의 기회를 가진다. This study analyzes the space in A Brighter Summer Day, covering the meaning of space from inside to outside of the film extended. A violent spaces in the inside causes Xiao Sir’s homicide, including society, house, and school. In the external space, the films form presents directors attitude and will resisting against dominant system of society with an audiences space. The audience join the space being the directors intention, actively interpreting this film, doing self-reflection and taking an opportunity for social participation.

      • KCI등재

        한국 독립다큐멘터리 <언니>의 성매매문제와 사회적 영향력

        계운경(Woon-Gyoung Ghe)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4

        본 논문은 우리사회의 성매매문제를 다루고 있는 한국 독립다큐멘터리 <언니>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언니>를 둘러싸고 이루어질 수 있는 다양한 담론 중 ‘영화의 정치성’, ‘투쟁의 도구로서 한국 독립다큐멘터리’, ‘영화의 사회적 영향력’, ‘성매매문제와 성매매여성인권’, ‘반성매매와 성노동 진영의 논쟁’, ‘<언니>의 반성매매를 위한 내러티브 구성’ 등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대학생 20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언니>를 통한 ‘관객의 인식변화’와 ‘참여적인 관객성의 가능성에 관해 진단한다. This study focuses on Korean independent documentary Unnie dealing with prostitution in Korean society. Not only does it discuss profuse discourse about Unnie such as politics of the film, Korean independent documentary as a tool of struggle, an organized narrative for anti-prostitution and social power of the film but also it deals with prostitution matters related with the film such as prostitute rights, anti-prostitution and pro-prostitution. And it diagnoses possibilities of modifying audiences recognition and participatory spectatorship with Unnie, conducting a survey of 202 undergraduates.

      • KCI등재

        2. 일반논문 : < 외박 >과 < 카트 >의 여성노동운동과 공간

        계운경 ( Woon Gyoung Ghe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6 현대영화연구 Vol.12 No.1

        본 논문은 홈에버 해고 여성노동자들의 파업투쟁을 담고 있는 김미례의 다큐멘터리 < 외박 >(2009)과 부지영의 극영화 < 카트 >(2014)를 통해 ‘여성노동운동과 공간의 상호구성적 관계’를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는 공간이 어떻게 여성의 사회적 정체성을 구성하고 재생산하며, 사회적 정체성은 또어떻게 공간을 재구조화하는가에 주목하여 여성노동자들의 삶을 공간성의 담론으로 풀어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남성지배 사회가 여성노동을 이용하는 방식을 살펴본다. 여성노동의 변천과정, 사회가 정의하는 여성노동, 새로운 여성노동의 통제방식이자 마케팅 전략인 감정노동 등을 분석하여 가부장적 이데올로기의 생산물로서의 여성노동을 짚어낸다. 둘째, 남성지배 사회가 생산하는 여성에 대한 억압과 폭력의 메커니즘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르페브르(Henri Lefebvre)와 푸코(Michel Foucault)의 공간사상, 부르디외(Pierre Bourdieu)의 상징폭력(symbolic violence)이론을 부분적으로 원용한다. 이는 < 외박 >과 < 카트 >의 마트가 가시적ㆍ비가시적 폭력을 재생산하는 공간이라는 것을 증명하기 위한 것이다. 셋째, 저항공간으로서의 헤테로토피아(heterotopia)를 여성노동자들의 파업투쟁 현장인 마트에 적용하여 기존의 억압과 폭력에 저항하는 타자의 공간이 어떻게 남성지배를 교란시키는 잠재성으로 기능하는가에 관하여 논의한다. 이를 통해 < 외박 >과 < 카트 >의 공간은 모두 여성에게 부여된 노동이 결국 성별의 차이를 기반으로 한 남성지배체제의 산물이라는 것, 여성에게 체화된 구조로 사고ㆍ습성ㆍ태도에 스며들어 여성을 억압하는 기제로 기능한다는 것, 남성지배의 억압과 폭력으로부터의 탈주이자 저항공간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다큐멘터리 < 외박 >과 극영화 < 카트 >의 차이를 통해 여성공간에서 폭력이 유지될 수밖에 없는 현실에 관하여 진단한다. 이는 장르차이가 만드는 가치의 차이와 관련이 있으며, 결국 영화를 넘어서서 현실의 여성노동과 공간에서 작동하는 폭력의 재생산과도 연관된다. Documentary Waebak directed by Mire Kim and fiction film Cart directed by Ji-Young Boo both show a real story based on the fired Homever female worker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mutually constructive relationship between women’s labor movement and space in the two films. It explores female workers’ life by the space’s discourse, considering how the space composes and reproduces women’s social identity and vice versa. For that, first, it examines methods of exploiting female labor in male-dominated society. Second, it analyses a mechanism of suppression and violence towards women in the society. Third, it discusses heterotopia as a resistance place, which applies to a supermarket, a space of female workers strike. By this analysis process, it may find out that women’s fighting place can be carrying out a function of the resistance place and escapes from the suppression and violence. Women places of Waebak and Cart are both presenting that a labor given to women results from a product of male-dominated system based on gender difference, proving that the space functions a mechanism oppressing women which permeates into women’s thought, habitude, and demeanor with a structure embodied in women. These identical results are found by examining Waebak and Cart. the two films have genre difference, documentary and fiction. The documentary, Waebak unfolds its story with women workers’ interview and director’s narration, and the fiction, Cart consists of narratives centering on Sun-Hee Han and Hae-Mi Lee’s life. This paper not only focuses on expression method by genre but also pays attention to relation between reproduction place and women labor. Lastly, it diagnoses value variance for which documentary and fiction film seek to analyse double face and effects of these two different genr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onnection of violence’s reproduction working in a real women’s labor place transcending the fil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