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물류산업 내 블록체인 기술 도입 가능성 연구

        계동민,허성호 한국ITS학회 2022 한국ITS학회논문지 Vol.21 No.2

        최근 4차 산업혁명의 진행과 함께 물류 산업계도 스마트물류 전환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선행 조건인 물류정보화 확산을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블록체인 기술 은 정보화 확산에 이바지할 기술로 여겨지며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 내 물류산업에 블록체인 기술 적용 가능성을 논하기 위해 블록체인 기술의 특성을 정의하고 관련 사례들을 검토하였으며 산업계를 대상으로 활용 가능성에 대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블록체인 기술은 업무 효율성 측면의 경제성, 신속성, 투명성과 부가가치 창출 측면의 확장성, 탈중개성, 신뢰성의 특징이 있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물류산업과 연관이 있는 운송, 유통, 금융, 개인정보관리, 공공서비스 등의 분야에 대한 도입이 시도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국 내 물류 산업계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정보화 수준은 정보활용 단계에 진입한 것으로 파악되지만, 정보유출 우려로 정보의 공유와 활용에는 소극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럼 에도 불구하고 정보화 필요성에 대한 인식과 기대가 높아 향후 블록체인 기술의 도입을 계기 로 물류산업 정보화 및 이에 기반한 스마트화가 한단계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With the recent progres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logistics industry is also making efforts to introduce smart logistics, and various attempts are being made to spread logistics informatization, which is the core of smart logistics. Among these, blockchain technology is considered as a technology that will contribute to the spread of logistics informatization and is being applied to various fields. Accordingly, in this study, to discuss the applicability of blockchain technology to the logistics industry, the characteristics of blockchain technology were defined, related cases were review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in the industry. Blockchain technology can be defined as having the characteristics of economic feasibility, speed, transparency in terms of work efficiency, and scalability, decentralization (decentralization), reliability (security) in terms of added value creation. It was confirmed that many are being introduced in the fields of distribution, finance, personal information, and public services. As a result of the survey on the logistics industry, it was confirmed that the level of informatization of the logistics industry had entered the stage of generating profits by using information, but the industry was passive in sharing and utilizing information due to concerns about information leakage. Nevertheless, the awareness and expectation of the need for informatization is high, and it is expected that the informatization of the logistics industry and realizing smart logistics based on it will advance one step further with the introduction of blockchain technology in the future.

      • 위험물질 운송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한 실태분석 및 관리 체계 구축 연구

        계동민(KYE, Dong Min),노홍승(ROH, Hong Seung),신승진(SHIN, Seung Jin) 대한교통학회 2017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76 No.-

        지속적인 국제 경기불황과 기업간 경쟁 심화에 의해 정부와 기업은 물류비 절감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물류비의 70%이상을 차지하는 수송비 절감에 대한 많은 관심과 연구가 지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운송대상이 폭발물 및 독극물, 유해화학물질 등 위험물질일 경우 사고시 발생할 수 있는 인적·물적·환경적 피해가 막대하고 추가적이고 지속적인 피해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무분별한 비용의 절감은 지양해야 한다. 이처럼 위험물 운송사고는 사고빈도가 낮다고 해서 정책 우선순위를 낮게 평가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국내 위험물 운송관리는 국토교통부, 환경부 등 다양한 정부부처들이 각 담당분야와 역할을 달리하여 11개(부령, 고시 포함 23개)에 달하는 복잡한 법령체계에 얽혀 체계적이고 신속한 대응이 어려운 현실이다. 본 연구는 국내 위험물질 운송·관리실태 및 법·제도 현황을 조사하고 국내 실정에 맞는 위험물질 운송관리 체계 및 관리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각 위험물 운송 단계별 주요 추진 과제를 설정하고 시급성과 중요도가 높은 과제 순으로 우선순위를 평가하여 제시하였다.

      • KCI등재

        자율주행차량 선박 자동하역지원시스템(AVAS) 도입을 고려한 자동차 선적시간 및 비용 시뮬레이션 분석 연구

        장선희,계동민,신승진,노홍승 한국교통연구원 2023 交通硏究 Vol.30 No.3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 기법을 이용하여 자율주행차량 선박 자동 하역지원시스템의 도입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빈 선박에 자율주행차가 자율주행하여 선적되는 다양한 가상상황을 시나리오로 설정하고, 기존의 인력으로 수행되는 자동차 수동선적방식과 시나리오별 선적작업 소요시간, 비용 절감액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자동선적 시 수동선적 시에 비해 선적 소요 시간이 최대 67% 감소하였으며, 이를 통해 소요비용을 최대 26.7백만 원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작업방식 결정은 선적작업 소요시간 감소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최대작업속도 변화에 따른 효과는 상대적으로 크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교통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VISSIM 시뮬레이션 기법을 해상물류 분야에 적용하여 자율주행차량 자동하역지원시스템의 도입 환경을 구현하였으며 이를 통해 개발기술의 도입 효과를 분석하였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productivity before and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Autonomous Vehicle Auto Shipment (AVAS) system using VISSIM simulation tool. Various hypothetical situations in which autonomous vehicles(AV) are unmanned loaded onto empty ships are set as scenarios, and the time required for loading work for each scenario are analyzed with the manual ship loading of vehicles performed by existing human resourc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time required for shipment was reduced by up to 67% in the case of automatic shipment compared to the case of manual shipment. and that costs could be reduced by up to 26.7 million won based on the cost reduction effect. Meanwhile, while the work method had a direct effect on reducing the time required for shipping work,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of changing the maximum work speed was relatively small. This study has the significance of applying the VISSIM simulation technique, which is widely used in the transportation field, to the maritime logistics field for the first time, assuming the introduction of an AVAS system. In addition, through the analysis results, the effectiveness of developing AVAS system technology

      • KCI등재

        수출입 자율주행차 선박하역 지원시스템 도입을 위한 사회적 편익 분석

        신승진,노홍승,계동민 한국교통연구원 2022 交通硏究 Vol.29 No.3

        This study i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the feasibility of AVAS(Automated Ship Loading and Discharging Support System for Exported and imported Autonomous Vehicles), which is currently being conducted as part of the R&D project of Korean government (MOMAF). This study predicts the size of future domestic ex/imported autonomous vehicles market from the Korea perspective and selects and estimates social benefits of AVAS, among the benefit items using for the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PFS) of the port construction project, such as reduction of port charges, port waiting cost, cargo handling cost, and ship operation cost a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when the AVAS is introduced, 119.7 million won/year to 19.4 million won/year in 2025, 1,864.8 million won/year to 150.4 million won/year in 2030, 8,702.2 million won/year to 701.8 million won after 2035 of the total benefits was calculated. In more detail, it was analyzed that the effect of reducing the loading/unloading cost was the largest, and reducing the operating cost of the vessel was relatively low. It is certain that global im/exports will begin in earnest after the commercialization of autonomous vehicles. Therefore, academic significance can be found in that it preemptively performed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AVAS, the estimation of the target cargo volume, and the benefits through the AVAS technology development. 본 연구는 수출입 완전자율주행차량의 자동하역지원시스템(AVAS)을 도입하는 것이 경제적 관점에서 과연 타당한 것인지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관점에서 장래 수출입 자율주행차량 규모를 예측하고, 자율주행차 선박하역지원 시스템 도입에 따른 사회적 편익을 추정하였다. 또한 정부가 실시하는 예비타당성조사의 항만건설사업 편익 항목 중에서 자율주행차량 선박하역지원 시스템 도입으로 비용 절감 효과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는 선박 대기비용, 재항비용, 하역비용, 선박 운항비용에 대해 편익을 추정하였다. 연구 결과, 선박하역 자동화 시스템 도입시 2025년 기준 119.7백만 원/년~19.4백만 원/년, 2030년 기준 1,864.8백만 원/년~150.4백만 원/년, 2035년 이후 8,702.2백만 원/년~701.8백만 원/년의 편익이 각각 산정되었다. 편익 항목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대적으로 하역 비용 절감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선박 운항비용 절감 편익 효과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향후 자율주행차 상용화 이후 글로벌 수출입이 본격화됨에 따라 수출입 자율주행차의 선박하역 지원시스템 도입에 필요한 대상 물동량의 추정과 사업 편익 추정을 선제적으로 수행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대형차대 동력계를 이용한 경량 평판트레일러 연료소비량 및 배출가스 저감효과 분석

        신승진,노홍승,허성호,계동민 한국교통연구원 2017 交通硏究 Vol.24 No.1

        본 연구는 고강도 강판을 이용하고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평판트레일러의 무게를 10% 가량 가볍게 하면 연료소비를 얼마나 저감할 수 있는지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기존 평판트레일러와 새롭게 개발된 경량 평판트레일러 사이의 연비와 배출가스를 비교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WHVC 모드를 사용한 대형 차대 동력계 시험을 수행하였다. 검증결과 경량 평판트레일러는 기존 트레일러와 비교하여 평균적으로 공차 시 3.14%, 영차 시 2.18% 연비 향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차일 때 질소산화물(NOx)을 제외한 모든 배출가스의 배출량이 저감되었고, 영차일 때 모든 종류의 배출가스의 배출량이 저감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verify how much fuel consumption and vehicle exhaust could be reduced by improving the structure and reducing 10% of trailer weight using high-strength steel sheets. To compare fuel consumption and exhaust of existing flatbed trailers with those of the newly developed lightweight trailer, this study adopted a heavy duty chassis dynamometer and World Harmonized Vehicle Cycle (WHVC) driving mode for the test. Compared with a traditional flatbed trailer, validation results of a lightweight flatbed trailer showed an improvement in fuel economy of 3.14% when empty and 2.18% when fully loaded. In addition, when the lightweight trailer was empty the quantity of all exhaust emissions were reduced except NOx. On the other hand, when the trailer is fully loaded all gas emissions were reduced.

      • KCI등재

        유닛로드시스템 구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상호관계 분석

        이강대 ( Kang Dae Lee ),계동민 ( Dong Min Kye ) 한국로지스틱스학회 2012 로지스틱스연구 Vol.20 No.1

        우리는 본 연구를 통해 유닛로드시스템 구축에 영향을 미치는 구성요인 간의 상호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조사를 통한 포장물류활동을 각각 박스 모듈러리티, 팔레타이제이션, 리턴어블시스템으로 정의하고 효율적인 유닛로드시스템 구축 방안으로 제시하는 연구모형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연구모형을 검정하기 위해 182개의 설문조사자료와 AMOS 18.0을 통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는 다음의 두 가지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첫째, 화물 운송의 효율성 개선을 통한 효율적인 유닛로드시스템 구축에 미치는 포장 물류의 영향을 명확히 할 수 있다. 둘째, 포장물류활동 내의 직 · 간접적인 영향을 탐색하여 포장과 물류시스템 간의 관계 및 상호작용을 명확히 함으로써, 유닛로드시스템 구축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분석결과, 효율적인 유닛로드시스템 구축을 위해서는 팔레타이제이션의 도입을 재고해야하며, 이를 위해서는 박스 모듈러리티에 대한 충분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효율적인 유닛로드시스템구축을 통해 경쟁력을 재고하려는 국가 및 기업들에 대해 정책적 측면에서 유닛로드시스템 구성요인 간 구조적 상호연관성의 중요성을 환기시킬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sition factors which have on a construct of Unit Load system. we first define the packaging logistics based on previous literatures that has explored efficient construct of the Unit load system as three activities; box modularity, palletization, returnable system. And then, it used to build the research framework with these hypotheses. And then, we test the research framework with 182 questionnaire data and AMOS 18.0. The result of this paper includes the two-kind meaning of the following. First, we clear up effect of the packaging logistics on the efficient construct of the unit load system. Second, we develop the model describing effects between activities that represent packaging logistics, and clarify their directivity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And, it use to provide foundation of the unit load system. In this result, we reconsideration to adopt a palletization for efficient construct of the Unit load system. And, be required prior to research for box modularity to do that. This study can expect to arouse the government and corporations which enhance its competitiveness by efficient construct of the Unit load system with provide the importance of structural interconnections between the factors which composit the unit load system.

      • 유라시아 교통물류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국가 간 수출입 물동량 분석

        신승진(SHIN, Seungjin),노홍승(ROH, Hong-Seung),계동민(GYE, Dong-Min),박세범(PARK, Sebeom) 대한교통학회 2017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76 No.-

        본 연구는 한진해운 사태, 미국의 보호무역 정책 등의 영향으로 수출입 차질이 불가피하여 신규 유라시아 운송로 확보가 필요하다. 이처럼 급변하는 국제 물류 정책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유라시아 지역의 수출입 물동량 및 교역패턴 변화에 대한 반드시 주시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글로벌 무역 노선 재편과 세계 각국의 유라시아 정책에 대응하기 위해 유라시아 국가 간 수단별, 품목별 수출입 물동량 변화 추이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IHS Markit의 WTS(World Trade Service)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 중국, 러시아, CIS국가, 기타 북동부 아시아 등 5개 지역, 13개 대분류 품목, 육상, 해상, 항공 등 3개 수단에 대해 유라시아 역내 국가 간 수출입 물동량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국가 간 교역에서 한국과 중국은 수입이 수출보다 높으며, 그 외 국가들은 수출이 수입보다 화물물동량이 크게 분석되었다. 수출물동량 비중이 가장 큰 국가는 러시아, 수입 물동량 비중이 가장 큰 국가는 중국으로 나타났다. 품목 측면에서는 석유정제품 및 비금속 광물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그 뒤를 이어 귀금속 및 금속제품, 화학제품 및 플라스틱 제품 순으로 나타났다. 수송 수단별 수출입 물동량 비중을 살펴보면, 해상수송이 56.72%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그 뒤로 육상수송이 43.04%, 항공수송이 0.24%로 분석되었다. 특히, 한국과 대상국가간 수출입 물동량 수단분담율은 해상수송이 99.01%(수출입 기준)로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