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발관 실패의 위험 인자 및 발관 후 천음과 재삽관의 예측에 있어 Cuff Leak Test의 유용성과 의미 분석

        임성용 ( Seong Yong Lim ),서지영 ( Gee Young Suh ),경선영 ( Sun Yong Kyung ),안창혁 ( Chang Hyeok An ),박정웅 ( Jung Woong Park ),이상표 ( Sang Pyo Lee ),정성환 ( Sung Hwan Jeong ),함형석 ( Hyoung Suk Ham ),안영미 ( Young Mee A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06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61 No.1

        연구배경: 발관 실패와 관련된 위험 인자를 살펴보고, 기관내 삽관의 합병증으로 인한 후두부 폐쇄와 PES로 인한 재삽관의 위험성을 발관 전에 미리 예측하기 위한 CLT 검사의 의의 및 제한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4시간 이상 삽관과 인공 호흡기 치료 후 발관을 시도한 34명의 연속적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발관 실패군에서 성공군과 차이를 보이는 인자를 살펴보고 CLT를 시행해서 PES와 재삽관을 예측하는 CLV, CLP의 기준값을 구하였다. 결과: 총 34명중 발관 실패는 6명(17.6%), PES는 3명(8.8%) 이었고 PES가 있던 3명은 모두 재삽관을 받았다. 발관 실패 환자에서 삽관 기간이 길었고, SAPS II score가 컸으며, 삽관 기간은 CLV, CLP와 역상관관계를 보였다. PES 양성 환자의 평균 CLV은 22.5±23.8㎖로 음성 환자의 233.3±147.1㎖보다 낮았고, CLP도 양성군에서 6.2±7.3%로 음성군의 44.3±24.7%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가장 신뢰성 있는 CLV, CLP의 기준값은 50㎖, 14.7%였고 CLV의 민감도는 100%, 특이도 93.5%, 양성예측도 60%, 음성예측도 100%였고, CLP의 민감도는 100%, 특이도 87.1%, 양성예측도 42.9%, 음성예측도 100%였다. 결론: 삽관 기간이 길고 중증 질환 환자에서 발관 실패의 가능성이 높다. CLV, CLP가 감소되어 있을 경우 PES로 인한 재삽관 위험이 높아지므로 발관 시 주의가 필요하지만 발관의 불필요한 연기나 시도 자체에 대한 기준은 아닐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Extubation failure was associated with poor prognosis and high hospital mortality. Cuff leak test (CLT) has been proposed as a relatively simple method for detecting laryngeal obstruction that predispose toward postextubation stridor (PES) and reintubation. We examined the risk factors of extubation failure and evaluated the usefulness and limitation of CLT for predicting PES and reintubation. Methods: Thirty-four consecutive patients intubated more than 24 hours were examined. The subjects were evaluated daily for extubation readiness, and CLT was performed prior to extubation. Several parameters in the extubation success and failure group were compared. The accuracy and limitation of CLT were evaluated after choosing the thresholds values of the cuff leak volume (CLV) and percentage (CLP). Results: Of the 34 patients studied, 6 (17.6%) developed extubation failure and 3 (8.8%) were accompanied by PES. The patients who had extubation failure were more likely to have a longer duration of intubation and more severe illness. The patients who developed PES had a smaller cuff leak than the others: according to the CLV (22.5±23.8 vs 233.3±147.1㎖, p=0.020) or CLP (6.2±7.3 vs 44.3±24.7%, p=0.013). The best cut off values for the CLV and CLP were 50㎖ and 14.7%, respectively. The sensitivity, negative predictive value, and specificity of CLT were relatively high, but the positive predictive value was low. Conclusion: The likelihood of developing extubation failure increases with increasing severity of illness and duration of intubation. A low CLV or CLP (<50㎖ or 14.7%) is useful in identifying patients at risk of PES, but the CLT is not an absolute predictor and should not be used an indicator for delaying extubation. (Tuberc Respir Dis 2006; 61: 34-40)

      • SCOPUSKCI등재

        PM(10)이 A549 Cells에서 전염증성 Cytokine발현에 미치는 영향

        김정호 ( Jung Ho Kim ),전효근 ( Hyo Keun Jeon ),김미 ( Mi Kyeong Kim ),경선영 ( Sun Yong Kyung ),안창혁 ( Chang Hyeok An ),이상표 ( Sang Pyo Lee ),박정웅 ( Jung Woong Park ),정성환 ( Sung Hwan Jeong )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06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60 No.6

        연구배경: 미세먼지는 여러 가지 유기물과 무기물의 복합체로 그 구성 성분이 시간과 장소에 따라 다르고 모양과 크기도 일정하지 않으며, 특히 지름 10㎛이하의 미세먼지 (particulate matter 10; PM(10))는 흡입이 가능한 입자의 크기여서 하부기관지 및 폐의 가스-교환부분까지 침착하여 호흡기계에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황사에 포함된 PM(10)과 비황사 시기에 포집된 PM(10)이 폐상피세포주에 작용하여 전염증성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 및 cytokine messenger RNA(mRNA)의 발현에 어떤 영향이 있는지를 관찰하여 기관지 천식과 만성 폐쇄성 폐질환등 호흡기 질환의 증상 악화기전에 미치는 역할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공기 포집기(HV 500F, sibata model)를 이용하여 황사와 비황사 기간에 하루 6시간씩 실외의 장소에서 대기분진을 membrane filter에 포집한 다음, PM(10)입자를 추출하고 폐암 상피세포주인 A549 cells(한국세포은행주)에 PM(10)을 농도에 맞게(10㎍/㎖, 100㎍/㎖, 500㎍/㎖) 노출시켰다. 각각의 노출된 세포로부터 interleukin(IL)-1α, IL-1β, IL-8, granulocyte 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GM-CSF)의 mRNA를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결과: 황사 및 비황사 기간 중 포집된 PM10을 가했을 시 가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IL-1α, IL-1β, IL-8, granulocyte 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 (GM-CSF)의 m`RNA와 cytokine의 발현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황사 기간의 고농도의 PM(10)에 노출된 세포의 IL-1α mRNA는 비황사 기간의 PM(10)에 노출된 세포의 mRNA보다 증가되어 있었다. 결론: PM(10)은 A549 cells에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비황사 기간보다 황사 기간 중 대기 중에서 채취한 PM(10)에 노출된 A549 cells에서 일부의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mRNA발현을 더욱 증가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황사 기간의 PM(10)에 의한 일부의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 증가가 만성 호흡기 질환의 증상 악화기전에 연관되어 있을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Background: PM(10)(Particulate matter with a diameter < 10㎛), which is characterized by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is a complex mixture of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The Asian dust event caused by meteorological phenomena can also produce unique particulate matter in affected area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ytokine produced by A549 epithelial cells exposed to particles collected during both the Asian dust pfenomenon and ambient air particles in a non-dusty period. Method: Air samples were collected using a high volume air sampler(Sibata Model HV500F) with an air flow at 500ℓ/min for at least 6 hours. The cytokine messenger RNA(mRNA) was measured using a 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RT-PCR). The A549 cells were exposed to 10 to 500㎍/㎖ of a suspension containing PM(10) for 24 hours. Each was compared with those in the non-exposed control cells. Result: The mRNA levels of interleukin(IL)-1α, IL-Iβ , IL-8, and the granulocyte 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GM-CSF) increased after veing exposed to PM(10) in the ambient air particles, compared with those in the non-exposed control cells. The increase in IL-1α and IL-8 were dose dependent at a PM(10) concentration between 100㎍/㎖ and 500㎍/㎖. The mRNA level of IL-8 in the A549 epithelial cells was higher during the in the Asian dust period(500㎍/㎖) than during the non dust period. Conclusion: A549 cells exposed to the PM(10) collected during the Asian dust period produce more proinflammatory cytokine than during non-dusty period. This cytokine enhances the local inflammatory response in the airways and can also contribute to the systemic component of this inflammatory process. (Tuberc Respir Dis 2006; 60: 663-672)

      • SCOPUSKCI등재

        IPF와 NSIP에서 MMPs와 TIMPs의 발현

        김유진 ( Yu Jin Kim ),김정호 ( Jung Ho Kim ),전효근 ( Hyo Keun Jeon ),김미 ( Mi Kyeong Kim ),조용찬 ( Young Chan Jo ),경선영 ( Sun Yong Kyung ),안창혁 ( Chang Hyeok An ),이상표 ( Sang Pyo Lee ),박정웅 ( Jung Woong Park ),하승연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06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61 No.5

        연구배경: 특발성 폐섬유화증/통상형 간질성 폐렴은 특발성 간질성 폐렴 중 하나로 세포외 기질의 과도한 침착과 기저막 파괴를 통해 섬유모세포/근섬유모세포가 폐포 내로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fibroblast foci가 대표적인 병리학적 현상이며, 결국 비가역적인 섬유화로 진행하는 질환이다. 이에 대하여 기질 분해 효소인 MMPs와 그 길항체인 TIMPs의 과발현이 이러한 병태생리의 한 요인으로 설명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특발성 폐섬유화증/통상형 간질성 폐렴을 비롯, 비특이성 간질성 폐렴에서 MMPs와 TIMPs의 발현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특발성 폐섬유화증/통상형 간질성 폐렴, 비특이성 간질성 폐렴의 폐 조직을 이용하여 MMP-1,-2,-9, TIMP-1, -2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 검사와 MMP-2, MMP-9에 대한 gelatin zymography를 시행하였다. 면역조직화학염색 검사는 통상형 간질성 폐렴 22, 비특이성 간질성 폐렴 13례 였으며, gelatin zymography는 통상형 간질성 폐렴9, 비특이성 간질성 폐렴 4례, 정상 대조군5례였다. 연구결과: 면역조직화학 염색 검사 결과 섬유모세포/근섬유모세포 부위에서 TIMP-1, -2, MMP-2,9이 관찰 되었고, 특히 통상형 간질성 폐렴에서 비특이성 간질성 폐렴보다 TIMP-2가 강하게 발현되었다. Gelatin zymography 결과는 MMP-2, MMP-9 모두 통상형 간질성 폐렴에서 비특이성 간질성 폐렴보다 유의하게 높은 소견을 보여 주었다. 결론: 통상형 간질성 폐렴에서 비특이성 간질성 폐렴보다 TIMP-2, MMP-2, MMP-9의 과발현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이는 통상형 간질성 폐렴의 비가역적인 섬유화 진행에 관여할 가능성이 있음을 추측해 볼 수 있다. Background: MMPs and TIMPs are important factors for abnormal remodeling the pulmonary parenchyme in idiopathic interstitial pneumonia(IIP) This study evaluated the expression of MMPs and TIMPs in the tissue of IPF, NSIP and normal control subjects. Method: The MMP-2 and -9 activity in the lung tissue was studied by gelatin zymography, and the expression of MMP-1, -2 ,-9, TIMP-1 and -2 in the lung tissue was measured by immunohistochemistry. Thirty five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IIP (UIP ; 22, NSIP ; 13), were enrolled in the immunohistochemical study. Thirteen patients with IIP (UIP ; 9, NSIP ; 4) and five patients with lung cancer were enrolled in the zymographic assay. Results: (1) The immunohistochemistry for MMP-1,-2,-9, TIMP-1 and-2 ; MMP-1,-9 and TIMP-2 were stained stronger in the UIP subjects than NSIP and the normal control. TIMP-2 was strongly stained in the UIP tissue. Particularly the fibroblasts in the fibroblastic foci. (2) Zymography for MMP-2 and MMP-9 revealed MMP-2 to have prominent expression in the UIP tissue than in the NSIP tissue.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overexpression of the TIMPs and gelatinases in UIP might be important factors in the irreversible fibrosis of the lung parenchyme (Tuberc Respir Dis 2006; 61: 447-45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