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상분지 남단 고성지역의 백악기 유천층군에 대한 고자기 연구

        강희철,김인수,Kang, Hee-Cheol,Kim, In-Soo 한국지구과학회 2000 한국지구과학회지 Vol.21 No.6

        경상분지내 밀양소분지의 남단인 경남 고성지역에 분포하는 백악기 유천층군의 19개 장소로부터 총 165개의 독립정향시료를 채취하여 단계적 교류 잔기세척과 열 자기세척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14개 장소 95개의 시료로부터 정자화와 역자화가 서로 반평행을 이루는 특성잔류자기(ChRM)를 구하였다. 이들의 평균방향은 지층경사 보정전에는 d=26.0$^{\circ}$, i=49.4$^{\circ}$ (${\alpha}_{95}$=8.2$^{\circ}$, k=24.5, n=14)이며 지층경사 보정후에는 d=28.1$^{\circ}$, i=54.2$^{\circ}$ (${\alpha}_{95}$=4.8$^{\circ}$ , k=70.6, n= 14)이었다. 지층경사 보정을 통하여 군집지수 k값이 2.88배 증가하는 사실은 이 특성잔류자기가 99%,의 신뢰도로서 지층의 습곡이나 경동 이전에 획득된 잔류자기임을 지시하는 것이다. 이 평균 잔류자기 방향으로부터 계산된 고자기학적 자북의 위치(palaeomagnetic pole)는 67.0$^{\circ}$N, 210.6$^{\circ}$ E (dp=4.7$^{\circ}$, dm=6.7$^{\circ}$)인 바, 이는 경상분지내 다른 지역이나 남, 북중국 및 유라시아의 백악기 고자기학적 자북의 위치와 거의 일치한다. 따라서 본 연구지역을 포함하는 한반도가 백악기 이후 유라시아 대륙의 한 부분으로서 현재의 상대적 위치를 크게 벗어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한편, 고성층에서 최소 3번의 극성변화가 나타나며 그 상위의 안산암류와 용결응회암에서도 정자화와 역자화가 함께 나타나는 사실을 범세계적 자기층서표와 비교하여 볼 때, 연구대상 유천층군의 연령은 하양층군과 유천층군의 경계인 후기 Albian 에서부터 polarity chron 32r 내지 31r anomaly가 나타나는 초기 Maastrichtian에 이르는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대상 고성층과 그 상위의 안산암에서 여러차례의 역자화가 관찰되는 반면에, 부산지역의 다대포층에서는 하부의 2개 층준에서만 짧은 역자화가 관찰되고 그 상위의 안산암에서는 정자화만 나타난다. 따라서 고성층과 다대포층이 시간층서적으로 상호 대비될 가능성은 거의 없는 것이다. A total of 165 independently oriented cor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19 Cretaceous Yuchon Group sites in Kosong area, the southernmost part of the Miryang subbasin of the Kyongsang Basin in southern Korea. Stepwise AF and thermal cleaning revealed antipodal ChRM from 95 samples from 14 sites. Mean ChRM direction is d=26.0$^{\circ}$, i=49.4$^{\circ}$ (${\alpha}_{95}$=8.2$^{\circ}$, k=24.5, n= 14) before bedding correction and d=28.1$^{\circ}$, i=54.2$^{\circ}$ (${\alpha}_{95}$=4.8$^{\circ}$, k=70.6, n= 14) after bedding correction. A 2.88-fold increase of the precession parameter k by bedding correction indicates pre-folding age of the ChRM with 99% confidence level. Palaeomagnetic pole position calculated from the mean ChRM is 67.0$^{\circ}$N, 210.6$^{\circ}$E (dp=4.7$^{\circ}$, dm=6.7$^{\circ}$), which is significantly different neither from the poles of other part of the Kyongsang Basin nor those of Eurasia including SCB and NCB. This suggests stable relative position of the study area with regard to other parts of the Kyongsang Basin as well as to Eurasia continent since Cretaceous. Three ploarity reversals in the Kosong Formation in addition to the coexistence of normal and reversed polarities in the overlying Andesites and Welded Tuff suggest, in reference to the worldwide geomagnetic polarity time scale, an Albian to Maastrichtian (polarity chron 32r-31r) age of the Yuchon Group of the study area. An alleged hypothesis of stratigraphical correspondence between the Kosong Formation in the study area and the Tadaepo Formation in Pusan area is, however, not tenable: Not only because the latter shows a short reverse polarity only in its lowest part of the sequence but also because the Andesites overlying it is wholly normally magnetized, in contrast to the frequent reverals in the case of both the Kosong Formation and Andesites above it.

      • KCI등재

        양산단층지역에 분포하는 퇴적암 및 화성암류에 대한 고자기 연구

        강희철,김인수,손문,정현정,Kang, Hee-Cheol,Kim, In-Soo,Son, Moon,Jung, Hyun-Jung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1996 자원환경지질 Vol.29 No.6

        It is a well known fact that the remanent magnetization direction of the Tertiary rocks is deflected significantly clockwise (about $50^{\circ}$) in the Tertiary basins of the southeastern part of Korean peninsula. This fact has been interpreted as an evidence of north-south spreading of the East Sea (Sea of Japan) and dextral strike-slip motion of the Yangsan fault. As deflection (rotation) of remanent magnetizations is frequently reported from various regions of the world in the vicinities of strike-slip fault, such phenomena are to be expected in the Yangsan fault region also. It was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clarify whether such premise is right or not. A total of 445 independently oriented cor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Cretaceous rocks of various lithology (sedimentary rocks, andesites and I-type granites) in the Yangsan fault area. In spite of through AF and thermal demagnetization experiments, no sign of remanent magnetization deflection was found. Instead, palaeomagnetic poles calculated from formation-mean ChRM directions are very similar to those of contemporary (Barremian, and late Cretaceous-Tertiary) sedimentary and plutonic rocks in the other parts of $Ky{\check{o}}ngsang$ basin as well as those of China. Therefore, possibility of tilting of granite plutons and horizontal block rotation of study area is excluded. It is also concluded that the Yangsan fault did not take any significant role in the Cenozoic tectonic evolution of southeast Korea and the East Sea region. The boundary between rotated and unrotated region of remanent magnetization is not the Yangsan fault line, but must lie further east of it.

      • SCOPUSKCI등재
      • KCI우수등재

        경북 영덕군 동부 일원의 지질과 U-Pb 연령

        강희철(Hee-Cheol Kang),천영범(Youngbeom Cheon),하상민(Sangmin Ha),서경한(Kyunghan Seo),김종선(Jong-Sun Kim),신현조(Hyeon Cho Shin),손문(Moon Son) 한국암석학회 2018 암석학회지 Vol.27 No.3

        영덕군 동부 지역의 지질 분포와 층서의 재정립 그리고 양산단층과 가지단층들의 발달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라이다 영상분석, 정밀야외 조사를 통한 지층분대 및 지질구조선 파악, 암상별 현미경 관찰, 연대측정(SHRIMP 및 LA-MC-ICPMS 저어콘 U-Pb 연대)을 수행하고 새로운 지질도를 작성하였다. 연구지역은 하부로부터 퇴적기원의 호상편마암 및 화산기원의 편암류(1841.5±9.6Ma)로 구성된 고원생대의 변성암류, 중생대 트라이아스기 영덕심성암체(249.1±2.3Ma)와 홍색화강암(242.4±2.4Ma), 쥐라기 창포심성암체(193.2±1.9Ma~188.8±2.0Ma)와 세립질화강암(192.9±1.7Ma), 상기 지층들을 부정합으로 덮고 있는 전기 백악기의 경상누층군의 지층들[경정동층, 울련산층(~108Ma), 동화치층], 후기 백악기에 관입 및 분출한 산성 화산암류와 맥암류, 신생대 전기 마이오세에 관입 및 분출한 유문암질 응회암(23.1±0.2 Ma~22.97±0.13Ma)과 중기 마이오세 영해분지의 충전물, 그리고 신생대 제4기층으로 구성된다. 트라이아스기의 홍색화강암과 쥐라기의 창포심성암체 및 세립질화강암은 본 연구에서 새롭게 명명된 심성암체들이다. 또한 포항 이북에서 처음으로 발견된 신생대 마이오세의 유문암질 응회암은 관입상의 산상과 함께 단층에 규제되어 분포하는 화산암체로 한반도 신생대 마이오세 화산활동과 지각변형사의 이해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연구지역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북북동 내지 남북 주향의 대규모 주향이동단층인 양산단층과 수조의 가지단층(영덕단층, F1단층, F2 단층)은 우수향 주향이동운동이 절대적으로 우세하며 제4기 지층을 제외한 상술한 모든 지층을 절단하고 있음이 확인된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investigation of geologic distribution and stratigraphy in the eastern part of Yeongdeok-gun, based on Lidar imaging, detailed field survey, microscopic observations, SHRIMP and LA-MC-ICPMS U-Pb age dating, and a new geological map has been created. The stratigraphy of the study area is composed of the Paleoproterozoic metamorphic rocks consisting of banded gneisses of sedimentary origin and schists (1841.5±9.6Ma) of volcanic origin, Triassic Yeongdeok plutonic rocks (249.1±2.3 Ma) and Pinkish granites (242.4±2.4 Ma), Jurassic Changpo plutonic rocks (193.2±1.9 Ma~188.8±2.0 Ma) and Fine-grained granites (192.9±1.7 Ma), Formations [Gyeongjeongdong Fm, Ullyeonsan Fm. (~108 Ma), Donghwachi Fm.] of the Early Cretaceous Gyeongsang Supergroup and acidic volcanic rocks and dykes erupted and intruded in the Late Cretaceous, Miocene intrusive rhyolitic tuffs (23.1±0.2Ma~22.97±0.13Ma) and sedimentary rocks of the Yeonghae basin, and the Quaternary sediments. The Triassic Pinkish granites, Jurassic Changpo plutonic rocks and Fine-grained granites are newly defined plutonic rocks in this study. Miocene intrusive rhyolitic tuffs bounded by the Yangsan Fault, which was first discovered in the north of Pohang city, are believ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understanding of the Miocene volcanic activity and the crustal deformation history on the Korean Peninsula. It is confirmed that The NNE–SSW-striking Yangsan Fault penetrating the central part of the study area and branch faults are predominant in the dextral movement and cutting all strata except the Quaternary sediments.

      • KCI등재

        화장품 소재로서 빈랑자의 항산화 및 미백활성에 관한 효과

        강희철 ( Hee Cheol Kang ),차미연 ( Mi Yeon Cha ),김재영 ( Jae Young Kim ) 대한화장품학회 2015 대한화장품학회지 Vol.41 No.3

        항산화 활성과 미백활성을 갖는 새로운 화장품 소재를 찾기 위하여 한방 소재로 사용되는 빈랑자[Areca semen (A. semen)]를 유기용매 추출을 통하여 활성분획을 분리하였다. 추출된 활성 분획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 피부 상재균에 대한 항균 활성, 세포독성 및 세포 내 멜라닌 합성 저해능 및 멜라닌 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저해 활성을 확인함으로써 미백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빈랑자는 에틸아세테이트 용매의 분획을 동결 건조하여 분말형태로 제조하였으며 이를 이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빈랑자 추출물에서 페놀성 물질은 301.35 ± 0.88 μ g/mg으로 측정되었다. 항산화 효과는 DPPH assay와 FRAP assa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대조군으로 사용된 ascorbic acid와 비슷하게 측정되었다. 피부상재균에 대한 항균활성은 Staphylococcus aureus (S. aureus), Staphylococcus epidermidis (S. epidermidis)에서 모두 80 μ g/mL의 농도에서 항균활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Escherichia coli (E. coli)에서는 항균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미백소재로서의 활성을 확인하여 B16/F1 mouse melanoma cell을 이용하였으며 최대 처리농도인 80 μ g/mL 에서는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세포 내 멜라닌 합성 저해능은 80 μ g/mL에서 29.44 ± 0.71%로 측정되었다. 또한 멜라닌 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발현량은 mRNA expression assay를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 tyrosinase와 MITF 유전자는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빈랑자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은 항산화와 미백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화장품 소재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Herbal plant extracts are good resources to find functional compounds for cosmetic ingredient. In this study, the extract of Areca semen (A. semen) was studied for melanogenesis inhib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The results showed that ethyl acetate fraction of A. semen contained phenolic contents, 301.35 ± 0.88 μg/mg, and exhibited potent antioxidant activity with IC50 value of 1.02 ± 0.07 μg/mL. Further, FRAP value exhibited potent antioxidant activity with 9.07 ± 0.36 mM. Disk diffusion assay was performed for antibacterial activity. Ethyl acetate fraction of A. semen showed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S. aureus) and Staphylococcus epidermidis (S. epidermidis) at 80 μg/mL, whereas it showed no significant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Escherichia coli (E. coli). The results of cell viability indicated that ethyl acetate fraction did not show cytotoxicity to B16/F1 cells at 80 μg/mL and showed significant cytotoxicity at 100 μg/mL of concentration and showed inhibition of melanin synthesis inhibitory, 29.78 ± 0.31% at 80 μg/mL. Furthermore, mRNA expressions of tyrosinase and MITF were decreased after treatment with ethyl acetate frac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As a result,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A. semen could be considered as potential as whitening agents.

      • SCOPUSKCI등재
      • KCI등재

        화장품 소재로서 후박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미백활성에 관한 효과

        강희철 ( Hee Cheol Kang ),주광식 ( Kwang Sik Joo ),주세진 ( Se Jin Joo ),하영애 ( Young Ae Ha ),김학수 ( Hack Soo Kim ),차미연 ( Mi Yeon Cha ) 대한화장품학회 2017 대한화장품학회지 Vol.43 No.1

        천연물인 후박(Magnolia obovata Bark, M. obovata Bark)을 에탄올 추출 및 농축하여 에틸아세테이트 층으로 분획한 분획물이 피부에 안전하고 효과적인 미백 활성을 확인함으로써 미백 화장품 원료 소재로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후박의 에탄올 농축물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하여 유효물질 honokiol을 HPLC로 정량하였다. 후박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 대한 in vitro 미백활성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외 멜라닌 분비를 감소시켜 IC50 = 11.05 μ g/mL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세포에 독성을 가지지 않는 최대농도인 12.5 μ g/mL 처리 시 최대 약 60%의 멜라닌 분비 억제로 세포 외로 분비되는 멜라닌의 양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α-MSH (50 nM) 처리한 그룹과 비교하여 IC<sub>50</sub> = 10.85 μ g/mL로 우수한 세포 내 멜라닌 생성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세포에 자극이 되지 않는 최대농도인 12.5 μ g/mL 처리 시 최대 약 59%의 멜라닌 생성 억제를 확인하여 세포 외 멜라닌 분비 뿐만 아니라 세포 내에 존재하는 멜라닌의 양 또한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양성대조군으로 사용된 α-arbutin의 경우, IC<sub>50</sub> = 59.99 μ g/mL로 후박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양성대 조군 α-arbutin과 비교하여 우수한 세포 내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임상연구의 경우, 후박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적용한 화장품 크림은 (주)대한피부과학연구소(KDRI) 윤리위원회의 IRB 승인(KDRI-IRB-1536) 후 반복 첩포를 통한 인체 누적첩포시험을 진행하여 무감작 물질로 확인하였다. 또한 후박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적용한 화장품 크림은 대조군 대비 국소적 미백효과와 신뢰성 있는 피부 안전성을 보여주었다. 최종적으로 후박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안전하고 효과적인 미백효과를 가지는 화장품 소재로 충분한 이용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EtOAc fractions of Magnolia obovata (M. obovata) Bark extracts were studied for the potential ingredient as a safe and effective whitening cosmetic material. The concentration of active substances honokiol was determined by HPLC. In vitro, the fractions reduced the extracellular and intracellular melanin contents in B16F10 cells in dose dependently and inhibited extracellular melanin secretion (IC<sub>50</sub> = 11.05 μg/mL). The 12.5 μg/mL treatment of maximum concentration effectively inhibited up to about 60% to the amount of extracullular melanin. Also, the 12.5 μg/mL treatment of maximum concentration effectively inhibited up to about 59% to the amount of intracullular melanin (IC<sub>50</sub> = 10.85 μg/mL). The IC<sub>50</sub> value of α-arbutin used as a positive control was 59.99 μg/mL. So, EtOAc fractions of M. obovata Bark extracts showed whitening effect when compared with the non-treatment group. In case of in vivo study, Cosmetic cream with EtOAc fractions of M. obovata Bark extracts was approved by Ethics committee of KDRI (IRB number: KDRI-IRB-1537). As a result in progress for skin sensitization as well as assessment of skin irritation through repeated patch test, skin allergens was identified as non sensitizing agents. Also, cosmetic cream with EtOAc fractions of M. obovata Bark extracts showed significant topical whitening effect and reliable skin safety when compared with the non-treatment group. In conclusion, EtOAc fractions of M. obovata Bark extracts may be a useful cosmetic ingredient for effective skin whitening.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