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154kV 트리플렉스 케이블 인정시험 및 현장적용

        강희창(Hui-Chang Kang),박종명(Jong-myung Park),김진(Jin Kim),곽황연(Hwang-yeon Kwak) 대한전기학회 2021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7

        관로는 지중송전케이블을 외부로부터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해주기 위하여 설치한 관으로써 인입방식에 따라 1공1조 및 1공3조 관로로 나누어진다. 과거에 설치된 1공3조 소구경 관로(Hume : 콘크리트 원형관, 이하 흄관)는 그 내부에 154kV OF지중송전 케이블을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는 중이며, 소구경관로 내 설치되어 있는 노후화된 OF케이블은 고장 및 화재발생위험으로 인해 非油入형 XLPE 케이블로 교체를 추진하고 있다.하지만 기존 1공3조 소구경 관로에 시설되어 있는 154kV OF600, 1200㎟ 케이블을 XLPE 1200㎟ (일반형 : 외경 113㎜×3가닥) 케이블로 대체 시공하는 것은 불가능한 실정이다. 이에 한전 남서울본부에서는 1공3조 소구경 관로 내에 설치되어 있는OF케이블 적기 대체 및 송전선로 용량증대를 위하여 非油入형트리플렉스(Triplex) 케이블을 개발하였고, 현재 케이블의 신뢰성검증을 위해 인정시험을 진행중에 있다. 인정시험 결과를 토대로 1공3조 소구경 관로 내 OF케이블을 대상으로 현장 시범적용을 추진할 예정이다.

      • KCI등재후보

        봄철 마라도의 조류상

        김영호(Young-Ho Kim),강희만(Hui-Man Kang),강창완(Chang-Wan Kang),김은미(Eun-Mi Kim),김화정(Hwa-Jeong Kim),지남준(Nam-Jun Ji),장용(Yong-Chang Jang),오홍식(Hong-Shik Oh) 한국조류학회II 2010 한국조류학회지 Vol.17 No.1

        본 연구는 2008년 4~6월 마라도를 통과하는 조류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조사 결과, 관찰된 조류는 총 12목 32과 114종 2,621개체였다. 우점종은 슴새 Calonectris leucomelas 1,006개체(38.38%), 칼새 Apus pacificus 435개체(16.60%), 제비 Hirundo rustica 112개체(4.27%), 황로 Bubulcus ibis 96개체(3.66%) 등으로 나타났다. 이동형별 조류현황을 살펴보면, 통과조류가 37종(32%)으로 가장 많았으며, 여름철새 33종(29%), 텃새 22종(19%), 겨울철새 11종(10%), 길잃은새 11종(10%)이었다. 멸종위기종은 물수리 Pandion haliaetus, 조롱이 Accipiter gularis, 벌매 Pernis apivorus, 매 Falco peregrinus, 흑비둘기 Golumba janthina, 삼광조 Tersipone atrocaudata 6종, CITES종은 물수리, 조롱이, 붉은배새매 Accipiter soloensis, 매, 황조롱이, 솔부엉이 6종이 관찰되었다. 과별로는 지빠귀과 13종(166개체), 휘파람새과 13종(183개체), 백로과(128개체)와 멧새과(102개체)가 10종, 도요과 9종(57개체), 할미새과 8종(29개체), 딱새과 6종(75개체) 등이었다. 이처럼 마라도는 조류들의 이동루트 및 서식처로 이용되는 것으로 나타나 마라도를 통과하는 조류상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가 이루어진다면 이동경로와 지구온난화로 인한 조류상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자료가 될 것이라 여겨진다. This study aimed at researching the birds passing by Marado Island, South Korea from April to June, 2008. Total 2,621 individuals of birds from 114 species, 32 families, 12 orders were observed. Dominant species were Streaked Shearwater Calonectris leucomelas (1006 individuals, 38.38%), White-rumped Swift Apus pacificus (435 individuals, 16.60%), House Swallow Hirundo rustica, (112 individuals, 4.27%), and Cattle Egret Bubulcus ibis (96 individuals, 3.66%). Among the observed birds, passage migrants were 37 species (32%), summer visitors were 33 species (29%), residents were 22 species (19%), winter visitors were 11 species (10%), and vagrants were 11 species (10%). Six species of Endangered species under Korean Law were found: Osprey Pandion haliaetus, Lesser Sparrow-hawk Accipiter gularis, Oriental Honey Buzzard Pernis apivorus, Peregrine Falcon Falco peregrinus, Japanese Wood Pigeon Columba janthina, and Black Paradise Flycatcher Tersiphone atrocaudata. Six species of Endangered species under CITES (Convention on International Trade in Endangered Species of Wild Fauna and Flora) were found: Osprey Pandion haliaetus, Lesser Sparrow-hawk Accipiter gularis, Chinese Sparrow-hawk Accipiter soloensis, Peregrine Falcon Falco peregrinus, Common Kestrel Falco tinnunculus and Brown Hawk Owl Ninox scutulata. Dominant families were Turdidae (13 species, 166 individuals), Acrocephalidae (13 species 183 individuals), Ardeidae (10 species, 128 individuals), Emberizidae (10 species, 102 individuals). Scolopacidae (9 species, 57 individuals), Motacillidae (8 species, 29 individuals), and Muscicapidae (6 species, 75 individuals). According to this study, it was proven that Marado Island is used by lots of birds as a resting spot on their migration route, and as a habitat. If the birds in Marado Island are systematically researched, the migration route of birds and change of bird distribution due to climate change may be explain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