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말쥐치 내장유의 정제 및 이용에 관한 연구 - 2. 말쥐치 내장유의 이용

        강훈이(Hoon-I Kang),大島敏明(Toshiaki Ohshima),小泉千秋(Chiaki Koizumi),김동연(Dong-Yeon Kim),이응호(Eung-Ho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1 No.2

        EPA 및 DHA 함량이 높으면서 폐기되고 있는 말쥐치 내장유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하여 정제한 말쥐치 말쥐치내장유를 정어리 및 명태고기풀에 각각 첨가하여 어묵의 품질개선을 시도하였고 아울러 저장중 품질안정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고도불포화지방산을 다량함유하고 있는 말쥐치내장유의 첨가로 인해 어묵의 품질개선을 시도하였고 아울러 저장중 품질안정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고도불포하지방산을 다량함유하고 있는 말쥐치내장유의 첨가로 인해 어묵의 지질은 고기풀의 지질에 비하여 5~6% 증가하여 지질산패가 우려되나, 대두단백, 물 및 말쥐치내장유로 유화커어드 (emulsion curd)를 만들어 고기풀에 첨가함으로 인해 산소와의 접촉 기회를 줄이면서 항산화제인 sodium erythorbate를 첨가하고 저온으로 저장하기 때문에 대두유로 만든 어묵과 비교하여 지질산패도는 높지 않았다. 뿐만아니라 말쥐치내장유를 첨가한 어묵의 조직감은 첨가하지 않은 어묵에 비하여 개선되었고 또한 저장중에도 안정하였다.<br/> 이상의 결과로 볼 때 고도불포화지방산이 다량 함유되어 영양학 및 생리학적 기능이 우수하면서 튀김유등으로 소비가 곤란한 정제 말쥐치내장유를 저온저장 식품인 어묵, 어육소시지 등에 일정량 첨가하여 제조한 후 일상식으로 섭취한다면 폐기되는 말쥐치내장의 효율적인 이용과 동시에 국민보건 향상에도 기여하리라 판단된다. For the effective utilizing of refined filefish viscera oil, it was added to fish meat paste based products as a dietary supplement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s. The storage stability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product(kamaboko) was tested. lipid oxidation of kamaboko could be retarded and texture expressed as jelly strength could be enhanced by adding of emulsion curd prepared from water, refined filefish viscera oil and soybean protein and sodium erythorbate during the storage at 5℃. These results suggested the possibility that the refined filefish viscera oil containing highly polyunsaturated fatty acid, especially EPA and DHA could be used as a food ingredient for dietary supply of the lipids.

      • 양식산 염장미역 및 건조미역의 최적 가공조건

        강훈이(Hoon I KANG),강동수(Dong Soo KAKG),김성우(Seong Woo KIM),김명희(Myung Hee KIM),손정호(Jeong Ho SOHN),정길수(Kil Soo CHUNG) 전남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1997 수산과학연구소논문집 Vol.6 No.-

        This study on the stability of chlorophyll in sea mustard, Undaria pinnatifida, during blanching, salting and air drying was carried out. Raw sea mustard was blanched for 30 seconds in the various temperature. The blanched product was salted with table salt after centrifuged after 48 hours for dewatering. In addition, sea mustard was dried in a drier to make clear the dehydration mechanism during the forced air drying. The drier was designed to controll the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velocity of air. The most effective blanching temperature and time for maximal residual amount of chlorophyll was 90℃ and 30 seconds. The soaking in 1% chemical solution for 20 minutes showed more desirable results than blanching in 1% chemical solution. Oyster shell powder, reed ash and 0.5% Ca(CH₃CO₂)₂with 0.5% MgCO₃solutions were more effective than the 1% solution of other chemicals. The most reasonable ratio of added salt to dewater the product for 48 hours was 25% in w/w. The amount of total organic acid and volatile acids revealed no correlation with the amount of added salt. The optimal condition during drying at 80℃ and 90℃ with different relative humidities was effective at 80℃ with 30% relative humidity.

      • 새우젓 품질향상을 위한 제조방법의 개선

        강훈이(Hoon I KANG),강태중(Tae Joong KANG),김현주(Hyeon Ju KIM),최옥수(Ok Sao CHOI) 전남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1994 수산과학연구소논문집 Vol.3 No.-

        Changes of chemical components and compositions of fatty acid in fermented shrimp added additives such as ethyl alcohol and sorbitol to improve the quality were discussed. The ranges of moisture, lipid and protein contents in products during fermentation at 15℃ for 120 days were 60.3-64.8%, 1.4-2.0% and 10.3-12.3%, respectively and the remarkable change of those contents in fermentation period was not observed. Lipid oxidation in the fermented shrimp with 5% of ethyl alcohol and 5% of sorbitol decreased slightly as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during fermentation period. The major fatty acids were 16:0, 22:6, 20:5, 18:1, 16:1, and 18:0 in raw sample and products. In the changes of fatty acid compositions, saturates were increased while polyenes were decreased slightly during fermentation period.

      • KCI등재후보

        난치성 소아 간질 환자에서 Topiramate 효과와 안전성

        강훈철(Hoon Chul Kang),고창준(Chang Jun Coe) 대한소아신경학회 2001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9 No.2

        목 적 : Topiramate는 개발 당시 성인의 난치성 부분 간질에 효과가 있는 보조 약물로 알려졌지만 소아에 있어서 부분 간질에서 뿐 아니라 다양한 간질 형태와 간질 증후군에서 약물의 효과가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topiarmate가 임상에서 사용된 지난 2년간의 임상 경험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난치성 소아 간질에서의 효과와 부작용에 관하여 확인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 법: 본 연구는 1999년도 2월부터 2001년 2월까지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소아신경과를 내원한 환자 중, 기존의 항간질제를 두가지 이상 최고용량으로 투여하여도 간질이 조절되지 않는 환자로서 topiramate를 6개월 이상 투약한 11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환아의 나이 2-18세였고, 간질 유병 기간은 2년 이상으로, 기존 약물에 난치성을 보이는 모든 간질 형태와 간질 증후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와 보호자와의 상담과 전화설문 그리고 의무 기록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통계처리는 기술적 방법과 qui-square의 선형대 선형분석(linear to linear association)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1) 환아 114명 중 남자는 74명, 여자는 40명이였으며 평균 연령이 11.0세였다. 간질 형태 및 간질 증후군은 복합 부분 간질 46명, 이차성 전신 간질을 동반하는 부분간질 24명, 전신 강직 간대성 간질 26명, 탈력 간질 6명, 근간대성 간질 4명, Lennox-Gastaut 증후군 8명으로 부분 간질이 70명(61.4%), 전신 간질이 44(38.6%)명이었다. 평균 간질 유병 기간은 6년 8개월이었으며, 투약 전 한달 간 평균 간질 발생 횟수는 67.8회였고, 최빈값은 16회였다. Topiramate 평균 투약 기간은 14개월이었고, topiramate 초기 투여 용량은 1 ㎎/㎏/day였으며, 환아의 반응에 따라 2주 간격으로 1-3 ㎎/㎏/day 속도로 증량하였다. 최대 투여 용량은 5-9 ㎎/㎏/day로 유지하였다. 2) 대상 환아 114명 중 투약 전 한달에 비해 투약 시작 후 최근 4개월간 간질 발작 횟수가 50% 이상 감소한 경우는 60명으로 52.6%였으며, 12명(10.5%)에서는 100% 간질 발작이 소실되었다. 간질 형태 및 간질 증후군별로 복합 부분 간질과 이차성 전신 간질을 동반하는 부분 간질, 전신 강직 간대성 간질, 탈력 간질의 경우는 효과가 높은 경향을 확인하였다. 이에 비해 Lennox-Gastaut 증후군에서는 효과가 낮은 경향이었으며 근간대성 간질 4명은 의미 있는 간질 발생 횟수의 감소가 없었다. 병인에 따른 topiramate의 효과는 부분 간질과 전신 강직 간대성 간질에서 특발성과 잠재성 또는 증후성이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효과의 차이는 없었다. 114명의 환아 중 48명 42.1%에서 약물 부작용으로 졸리움, 보챔과 식욕 감소를 호소하였는데 약물 투여를 중단할 정도로 심각한 경우는 없었다. 결 론 : 이상의 결과를 볼 때 topiramate는 다양한 간질 형태와 간질 증후군에 효과가 있었으며 특별성 간질 뿐 아니라 잠재성 혹은 증후성 간질에서도 효과를 보였으나, Lennox-Gastaut 증후군과 근간대성 간질은 부분 간질이나 전신 강직 간대성 간질에 비해 효과가 낮은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약물의 안전성은 기존의 보고와 유사한 신경계 부작용과 식욕 감퇴가 관찰되었으나 약물 중간을 요할 만큼 심각한 부작용은 없었다. Purpose : This is a clinical study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safety profiles of topiramate up to 9 ㎎/㎏/day as adjunctive therapy in various refractory childhood epilepsies including Lennox-Gastaut syndrome in Korea. Methods : Subjects were selected accort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in various childhood epileptic children, refractory seizure even the patients had been on maximal doses of more than at least 2 other anticonvulants, any type of seizure or epileptic syndrome of childhood, those who had been on topiramate more than 6 months. This is a clinical retrospective study performed for 2 years from Feb. 1999 to Feb. 2001 at the Severance hospital pediatric neurological clinic. The topiramate was given the patients as add-on therapy and we observed the seizure frequency, type of seizure, development of any adverse effects, and the difference of result between the idiopathic and symptomatic or cryptogenic group. Of the 238 patients at our clinic on topiramate for 2 years, 114 patients with refractory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ose data were analysed with descriptive methods and qui-squares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safety profiles of topiramate. Results: 60 patients out of 114(52.6%) manifested reduction of seizure occurrence more than 50%, while 12 patients(10.5%) were seizure free. 39 patients(55.7%) out of 70 with partial seizure reduced seizure occurrence more than 50% by add-on therapy and 7 patients(10.0%) had no further seizures. In the group of generalized tonic clonic seizure, 15 patients(57.7%) reduced seizure over 50% and 5(19.2%) had no seizures with add-on therapy. Of patients with Lennox-Gastaut syndrome, 25.0% showed a greater than 50% reduction but no patient proved to be seizure-free. 4 patients with myoclonic seizure did not respond to add-on therapy. There was no difference of seizure frequency both idiopathic and symptomatic or cryptogenic group of partial and generalized tonic clonic seizure. The number of patients manifesting adverse reactions was 48(42.1%) patients in order of frequency, the reactions were somnolence in 26, irritability in 16 and anorexia in 6 patients. Conclusion : Topiramate is believed to be an effectsive, safe anticonvulsant when used as adjunctive therapy for various refractory childhood epilepsies. However, patients with Lennox-Gastaut syndrome and myoclonic seizures were reacted less favorably to topiramate.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줄기세포 기본과 소아신경 질환에서의 전망

        강훈철(Hoon-Chul Kang),은백린(Baik Lin Eun) 대한소아신경학회 2006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4 No.1

        Stem cells are a special kind of cells that have a unique capacity to renew themselves and to give rise to specialized cell types. Researchers have for years looked for ways to use stem cells in order to replace cells and tissues that are damaged or diseased. In 1998, for the first time, it became possible to derive this kind of pluripotent stem cells from early human embryos and grow them in culture. Nearly at the same time scientists were beginning to explore human pluripotent stem cells from fetal and adult tissues, socalled adult stem cells. This promising area of science is also leading neurologist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cell-based therapies to repair damaged brain cells. Among the pediatric neurologic diseases, infarcted brain, leukodystrophy, inherited metabolic diseases and neurotransmitter diseases are the immediate candidates of the stem cell therapy. This document covers a basic information about stem cells and a potential use of the stem cell therapy for pediatric neurologic diseases.

      • WIPI 플랫폼을 이용한 홈네트웍 어플리케이션 개발

        강훈철(Kang hoon-chul),좌정우(Jwa jeong-woo) 한국콘텐츠학회 2004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2 No.1

        다기능 단말기 보급이 확산됨에 따라 무선인터넷 사업에서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사업모델이 개발되고 있다. 다기능 단말기는 VOD, AOD 등의 멀티미디어 서비스와 블루투스, 무선랜을 이용한 근거리 무선인터넷 서비스를 가능하게하고 있다. 새로운 사업모델로 다기능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킹 서비스가 개발되고 있다. 본 논문은 홈 네트워크 제어기와 연동하는 WIPI 기반 홈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다. 개발된 홈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은 댁내 장비를 제어하고 웹 카메라와 연동하여 댁내의 보안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GigBee, RFID 등의 PAN 장치를 내장한 다기능 단말기가 개발됨에 따라 PAN을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가 개발될 것이다. New business model for mobile internet has beem developed using multifunction mobile terminal. Multifunction terminal provides mobile multimedia service such as VOD and AOD and personal area network(PAN) service using bluetooth and W-LAN. In this paper, we develop home network WIPI application interworking with home network gateway. This application controls home appliances and provides still image for home secuirt using the web camera. We further develop the home networking PAN services using multifunction terminal having GigBee and RFID.

      • KCI등재
      • KCI등재후보

        Landau-Kleffner 증후군의 임상적 고찰

        강훈철 (Hoon Chul Kang),임인숙(In Suk Lim),황용순(Yong Soon Hwang),박상근(Sang Keun Park),김흥동(Heung Dong Kim) 대한소아신경학회 2003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1 No.2

        목 적 : LK 증후군의 특징적인 발병 원인, 임상경과와 더불어 다양한 치료 방법에 따른 성적을 분석하여, 향후 LK 증후군의 치료 및 관리에 저자들의 경험이 도움이 되고자 한다. 방 법 : 1996년부터 최근까지 2년 이상 추적 관찰이 가능했던 LK 증후군 환아 5명을 대상으로 의무 기록을 분석하였다. 관련된 원인 질환들을 찾고, 치료에 도움을 얻고자 뇌MRI, SPECT, FDGPET을 필요에 따라 시행하였으며, 일부 환아에서 대사 이상 질환에 대한 평가도 병행하였다. 항경련제를 비롯한 스테로이드 호르몬 치료, 정맥용 면역 글로불린, 케톤생성식이요법, 다발성 연막하 절개술의 치료 성적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다섯명의 대상 환아 중 남자 환아 2명, 여자 환아 3명으로, 간질 발작과 실조증 발생 나이는 1년 10개월에서 8년 6개월로 다양하였다. 1명 환아에서 발병 원인으로 추정되는 사립체 전자 전달체 이상이 발견되었다. 스테로이드 호르몬 치료제 실조증 증상의 호전을 보였던 환아가 2명이었으며, 이 중 1명은 호르몬 치료 종료와 함께 실조증이 다시 악화되는 소견을 보였다. 케톤생성식이요법을 시행했던 3명의 환아 중 사립체 전자 전달체 이상을 보였던 1명에서 사립체 질환에 대한 보조 약물 투여와 함께 획기적인 임상적 호전을 보였다. 나머지 두명에서는 다발성 연막하 절개술을 시행했으나, 1명에서만 부족하나마 호전된 임상 경과를 볼 수 있었다. 결 론 : LK 증후군은 다양한 임상 경과와 관련된 원인 질환을 보일 수 있다. 더불어 치료에 있어 실조증을 포함한 인지 행동 장애의 호전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스테로이드 호르몬, 케톤생성식이요법이 적용될 수 있고, 다발성 연막하 절개술은 내과적인 치료가 실패했을 때 고려해 볼 수 있다 하겠다. Purpose : We intended to describe the clinical features including characteristic etiologies, therapeutic approaches and outcomes for Landau-Kleffner syndrome(LKS). Methods : A retrospective chart reviews were done to reveal the clinical and electrophysiological features in 5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LKS and undergone extensive diagnostic work-up and various therapeutic interventions. Results : Among five LKS patients, 2 patients were males and 3 were females. All patients showed well controlled seizure outcomes but cognitive function including auditory and/or expressive aphasia were not improved in spite of using various anticonvulsants. Only two patients responded to steroid therapy but one patient showed repeated deterioration after discontinuation of the durg. Among 3 patients who were on ketogenic diet(KD), one patient showed a dramatic improvement in liguistic and cognitive functions in spite of underlying mitochondrial complex I deficiency. Multiple subpial transections (MST) were done in the other two patients because of incomplete recovery from ketogenic diet, and only one patient showed fairly successful improvement. Conclusion : Cognitive regression induced by LKS could be successfully improved by various therapeutic modalities including steroid, KD and palliative MST in most patients.

      • KCI등재후보

        Outcomes of Therapeutic Modalities for Intractable Childhood Epilepsy

        Hoon Chul Kang(강훈철),Ji Won Kwon(권지원),Yong Soon Hwang(황용순),Heung Dong Kim(김흥동),Sang Keun Park(박상근) 대한소아신경학회 2005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3 No.2

        목 적 : 난치성 소아 간질 치료를 위해, 최근 개발된 항간질 약물, 프레드니솔론, 케톤생성식이요법, 간질수술, 미주신경자극술의 임상적 결과를 평가하였다. 방 법 : 1995년 7월부터 2003년 4월까지 상계백병원 간질센터에서 치료한 난치성 간질 환아 297명의 임상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최근 개발된 항간질 약물이 투여된 290명 환아에서 20명(6.9%)에서만 추적 관찰기간 중 간질 완해물 유지하였다. 프레드니솔돈을 투여한 138명 환아에서 58명(42.0%)에서 약물 투여 중 간질 완해를 보였으나, 41명 환아에서 약물 중단 후 재발되었다. 케톤생성 식이요법은 162명에서 시도되어 74명(45.7%)에서 12개월 이상 식이요법을 유지하였으며, 간질 완해를 보인 37명(22.8%)을 포함하여 68명(42.0%)에서 50% 이상의 간질 횟수의 감소를 보였다. 간질 수술은 38명에서 시행되었으면 25명(65.8%)에서 Engel 구분 Ⅰ을 보였다. 미주신경자극술은 5명 환아에서 시행되어 2명에서만 50% 이상의 간질 횟수 감소를 보였다. 결 론 : 케톤생성 식이요법과 간질수술은 난치성 소아 간질 치료에 상당히 효과적인 치료였으나 프레드니솔론은 잦은 재발을 보였고 새로 개발된 항간질 약물은 난치성 간질의 완해를 유지함에 있어 한계가 있었다. Purpose : This study sought to evaluate the clinical outcomes of various therapeutic modalities, including newly-developed anti-epileptic drugs (AEDs), prednisolone, ketogenic diet (KD) epilepsy surgery, and vagus nerve stimulation (VNS), in treating intractable childhood epilepsy. Methods : Data of refractory epilepsy patients (n=297) treated from July 1995 through April 2003 at the epilepsy center of Sanggye Paik Hospital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Results : Newly-developed AEDs were primarily prescribed to 290 patients, although only 20 patients (6.9%) maintained a seizure- free state. Of 138 patients for whom prednisolone was prescribed, 58 patients (42.0%) showed complete seizure controls while 41 patients experienced relapse. KD was attempted and evaluated at 12 months in 162 patients, at which time 74 (45.7%) remained on the diet and 68 (42.0%) showed seizure reduction of greater than 50%, including 37 (22.8%) who were completely seizure free. Epilepsy surgery was undergone in 38 patients, and Engel class I was identified in 25 (65.8%) patients. VNS was administered to five patients, only two of whom obtained a seizure reduction of more than 50%. Result : Taken togethe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onsiderable controls over intractable childhood epilepsy can be gained through KD and epilepsy surgery, whereas prednisolone treatment leads to somewhat more frequent relapses, and newly-developed AEDs are comparatively limited in their controls of refractory epileps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