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소이온 전달 특성에 미치는 바인더로 활용 가능한 나피온Ⓡ의 주쇄 길이의 영향

        강호성,박치훈 한국막학회 2020 멤브레인 Vol.30 No.1

        본 연구에서는 고분자 전해질막을 구성하고 있는 고분자 주쇄의 반복단위 개수를 변경해 가며 수화채널 모폴로지 와 이온전도도의 변화를 비교하였고, 최종적으로 분자동역학 전산모사 수행 시에 적정한 고분자 모델을 선정하기 위한 기준 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고분자 주쇄의 길이가 가장 짧은 모델에서 주쇄 및 술폰산기의 움직임이 커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 지만, 수화채널 모폴로지는 특별한 상관관계를 발견할 수 없었다. 또한, 수화채널 모폴로지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수소이온 전달 능력의 특성 상, 수소이온 전도도에서도 고분자 주쇄의 길이와 큰 상관관계를 보이지는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특히 바 인더용 이오노머 제조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바인더용 이오노머의 경우 고분자 전해질막 소재를 저분 자량으로 합성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주쇄/술폰산기의 움직임이 향상되므로 촉매층을 잘 둘러싸는 역할을 할 수 있는 반면에, 수소이온 전달 능력 자체에 있어서는 특별한 변화가 없을 것을 예상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바인더용 이오노머 제조 시에는 수소이온 전달 성능보다는 물성에 좀 더 초점을 맞추어 분자량 및 구조 설계가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water channel morphology and the proton conductivity by changing the number of repeating units of the polymer backbone of PEMs, and to present a criterion for selecting an appropriate polymer model for MD simulation. In the model with the shortest polymer main chain, the movement of the main chain and the sulfonic acid group was observed to be large, but no change in the water channel morphology was found. In addition, due to the nature of the proton transport ability that is most affected by the water channel morphology, the proton conductivity did not show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length of the polymer backbone. These results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particularly for the preparation of ionomers for binders. In general, a low molecular weight polymer electrolyte material is used for a binder ionomer. Since the movement of the main chain/sulfonic acid group is improved, it can play a role of enclosing the catalyst layer well. However, there is no change in its proton conducting performance. In conclusion, the preparation of ionomers for binders will require molecular weight and structure design with a focus on physical properties rather than proton transfer performance.

      • KCI등재후보

        전자발찌 도입 2년의 성과와 확대발전 방향

        강호성,문희갑 한국보호관찰학회 2010 보호관찰 Vol.10 No.2

        본 연구는 전자감독제도 시행 후 2년이 경과한 현 시점에서 그 동안의 집행 성과 및 제도의 효과성을 평가하고 향후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자감독 제도의 시행과정과 집행 현황, 재범율 등을 살펴보았으며, 전자발찌를 착용하고 있는 현재원 215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와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전화 면접 조사를 통한 국민 인식 조사가 이루어졌다. 조사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전자발찌 운영체계의 정확성과 전자발찌 피부착자의 긍정적인 태도 변화로 전자감독제도의 범죄 억제력 효과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민인식조사에서도 전자감독제도의 재범방지 효과성, 범죄로부터 보호 효과 및 제도 확대 시행의 필요성에 대하여 높은 인식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전자감독 활용범위의 확대, 집행방식의 다양화 등 향후 과제에 대해 논의하고 교정사회복지적 관점에서 전자감독제도가 보다 효과적인 범죄인 관리수단으로 자리 잡고 피부착자들의 심리적 부담감을 개선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몇 가지 개선점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효율적 수강명령집행을 위한 수강집행센터 모델 연구

        강호성,이혜화 한국보호관찰학회 2017 보호관찰 Vol.17 No.1

        수강명령을 효과적으로 집행하기 위해 설립된 광역수강집행센터가 설립된 지 어느 덧 5년이 되었다. 설립 초기의 목적과 목표에 부합된 집행을 하고 있는지를 점검해보고 적절한 변화와 개선을 모색할 시기인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수강집행센터의 초기 목적과 목표를 재점검 해보고, 5년 간의 질적․양적인 변화와 성과를 정리하며, 프로그램을 집행하는데 필요한 지원과 제도적 개선이 무엇인가를 문헌자료와 현장에서 수강업무에 종사하는 직원들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분석을 통해 효율적인 수강집행을 위한 수강집행센터의 모델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나타난 유의미한 내용을 바탕으로 정책적 제안을 하면, 먼저, 수강명령의 성격과 개념에 대한 명확한 법적 근거가 마련되어 안정적이고 독립적인 수강명령제도를 집행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수강집행센터가 개설되어야 한다. 그리고 프로그램을 직접 집행하는 우수하고 열정적인 전문인력이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지속적으로 충원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수강집행 전문인력의 보직관리, 소진예방프로그램 도입, 외부강사 인증제 및 사내강사 자격인증제도 등의 체계를 기획하고 이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진행하면서 아쉬웠던 점은, 수강관련 선행연구들이 적고 연구결과물들이 다양하지 않아 본 연구와 비교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는 점이다. 다만, 본 연구를 진행하면서 고무적인 내용은 수강명령을 담당하고 있는 직원들의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상황에서도 직무 만족도는 오히려 높게 나타났다는 것이다. 추후 후속 연구를 진행한다면, 연구 주제를 세분화하여 수강프로그램의 매뉴얼 개발 및 개선작업을 통한 방향성 제시, 전문성 강화를 위한 교육 및 연수 방안, 그리고 수강 프로그램별 효과성 분석 등이 이루어졌으면 한다. Five years have passed since program order enforcement centers were established in five metropolitan cities for effective enforcement of program order. It is time to seek appropriate change and improvement measures after checking on whether the centers are conducting treatment programs coincident with initial goals and objectives. This study re-examined initial goals and objectives of program order enforcement center, and described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changes and outcomes during past five years. This study also intends to suggest the model of program order enforcement center for effective enforcement of program order by analyzing literatures and surveys to responsible officers for program order. I would like to suggest policy proposals according to meaningful outcomes of the study as follows. First, a clear legal basis for the nature and the concept of program order should be prepared. Second, program order enforcement center should be established to enforce and develop stable and independent program order. Finally, capable and passionate professional staffs should be managed stably and supplemented continually. For this, it needs to plan and implement the assignment management system of program order professionals, the exhaustion prevention programs, the certification system for outside instructors and the certificate authentication system for internal instructors. It was sorry not to be able to conduct a comparative research with this study because there were few precedent studies and diverse research outcomes of program order. Nevertheless, it is encouraging that the level of assignment satisfaction with program order officers found high in the spite of high level of assignment stress. It should be implemented to develop the operation manual of program order, to propose policy direction through improvement process, to prepare the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for specialty reinforcement, and to conduct effectiveness analysis on each treatment program.

      • KCI등재

        분자동역학을 이용한 고분자 주쇄의 길이 변화에 따른 기체 투과 성능 연구

        강호성,박치훈 한국막학회 2018 멤브레인 Vol.28 No.1

        고분자 분리막의 분자동역학 연구에서는 구성 원자 개수가 많고 투과 거동 계산시 긴 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적절한 고분자 주쇄의 길이를 선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고분자 주쇄 길이와 투과 거동 간의 상관 관계가 실제 분자동역학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 조사를 하고자 하였다. 널리 알려진 상용 고분자 Kapton® 폴리이미드 구조 를 이용하여 분자동역학을 수행하였고 기체 투과 거동을 분석하였다. 고분자 주쇄의 움직임은 그 길이와 큰 연관성이 없었으 며, 일반적인 인식과 달리 짧은 주쇄 길이를 갖고 있다고 해서 더 활발하게 움직이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고분자 주쇄의 말단기는 상대적으로 움직이기 쉬울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말단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라도 말단기에 위치한 원자보다 더 높은 움직임을 보이는 경우도 많았다. 최종적으로 기체 분자의 투과 성능에서도 고분자 주쇄의 길이 및 말 단기에 따른 영향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는 기체 투과 전산모사에서 많이 언급되는 말단기 효과를 실제 전산모사에 적용할 경우, 각각의 모델 특성에 따라 제한적으로 적용을 하고 이에 대한 검증 과정을 반드시 수행하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the molecular dynamics study of polymeric membranes, it is very important to select the proper length of the polymer main chain because it requires a large number of constituent atoms and a long time to simulate the permeation behavior. In this study, we tried to investigate how the correlation between polymer main chain length and permeation behavior appears in actual molecular dynamics simulation results. Molecular dynamics were performed using the widely known commercial polymer Kapton® polyimide structure and the gas permeation behavior was simulated. The movement of the polymer main chain was not related to its length and the short main chain length did not act more actively. In addition, unlike the prediction that the end group of the polymer main chain is relatively easy to move,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 atoms located at the middle of the polymer main chains have a higher movement than the atoms located at the end groups. Finally, permeabilities of the gas molecules was not affected by the length of the main chain and the end groups of the polymer, which indicates that the end effect should be carefully mentioned and followed by the verification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