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초등 예비교사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지식·태도와 환경 소양

        강혜정,이석희 부산교육대학교 미래교육원 2022 초등교육연구 Vol.37 No.2

        본 연구에서는 초등 예비교사들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지식·태도, 환경 소양에 대해 초등 예비교사의 환경교육 관련 수업 유무, 성별, 과학교육과와 타 심화전공별로 알아보고, 환경 교육이 초등 예비교사들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지식·태도, 환경 소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예비교사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지식·태도의 점수는 각 하위 요소별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지만, 전체적으로 통계를 합산하였을 때 환경 교육 수강자와 비수강자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환경 소양 점수는 환경 소양의 정의적 영역, 인지적 영역에서는 환경 교육 수강자와 비수강자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지만 행동적 영역에서 환경 교육 수강자가 비수강자보다 다소 평균 점수가 높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초등 예비교사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지식·태도의 점수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평균 점수는 다소 높았으나, 기후변화에 대한 지식과 태도의 하위요소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 관련 하위요소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환경 소양 점수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평균 점수가 다소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셋째, 초등 예비교사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지식·태도의 점수는 과학 교육과 예비 교사들의 평균 점수가 타 전공 예비교사들보다 다소 높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그리고 환경 소양 점수는 타 전공 예비교사들의 평균 점수가 과학 교육과 예비 교사들보다 다소 높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gender and major on the awareness,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climate change and environmental literacy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he subjects of the awareness,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climate change study were 59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n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the subjects of the environmental literacy study were 53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n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cores of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s, knowledge and attitudes on climate chang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each sub-factor, but overall, when statistics were added togeth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nvironmental education students and non-takers. In add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nvironmental education students and non-college students in the definitive and cognitive areas of environmental knowledge, but in the behavioral areas, environmental education students had somewhat higher average scores than non-college students. Second, the scores of pre-service elementary female teachers' perceptions, knowledge and attitudes about climate change were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male teacher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climate change. Only in the perceptions factor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lso, in the environmental literacy test, the average score for female teachers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for male teachers,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the score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of science education major on awareness, knowledge, and attitude of climate change were somewhat higher than those of other majors,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ddition, the average score of pre-service teachers in other majors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pre-service teachers in science education,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 KCI등재

        중등학교장의 온정적 합리주의 리더십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강혜정,최은수 한국성인교육학회 2019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22 No.1

        This study aimed to explore meanings of three secondary principals’ lives, who have developed and practiced compassionate rationalism leadership in the course of carrying out their principalship. The puzzles to chase after in the study were as follows. What kind of streams of lives triggered their present compassionate rationalism leadership to develop? How have they showed their compassionate rationalism leadership in performing their principalship successfully and what kind of meanings could be drawn from their practices of compassionate rationalism leadership in sites of schools? The Clandinin and Connelly’s narrative inquiry method was applied over all for the methodology. The major findings were like following; they have been role-modeling for compassionate rationalism leadership distinctively for clarifying objectives of school education, designing supportive and open climate of school, organizing systems of job motivation and communication, and lastly managing some programs of school education. The meanings of their own compassionate rationalism leadership implied several things: practice of humanism containing values of lives of others as well as themselves; committment to both self-reflection and self–development for the growth of others; experience of born-again; practice of customized leadership respecting and caring for individual person’s value of being and characteristics; and finally representation of equity, equality, and efficiency in school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온정적 합리주의 리더십을 개발하고 실천한 중등학교장들의 삶의 의미를 고찰하는 것이다. 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정적 합리주의 리더십은 어떤 삶의 과정을 통하여 개발되었는가? 둘째, 그들은 학교에서 어떻게 온정적 합리주의 리더십을 실천하고 있으며, 그들이 실천한 온정적 합리주의 리더십의 의미는 무엇인가? 연구방법으로 Clandinin과 Connelly(2000)의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그들은 학교교육 목표의 명료화, 지원적이고 개방적인 학교 분위기 조성, 직무 동기유발 및 의사소통체계 확립, 단위학교에 알맞은 학교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위하여 차별화된 온정적 합리주의 리더십을 실천하고 있었다. 그들이 실천했던 온정적 합리주의 리더십의 의미는 자신과 타인의 삶을 소중하게 느끼는 인본주의의 실천, 타인의 성장을 위한 자기성찰과 자기계발에의 헌신, 새롭게 거듭남(born-again)의 실천, 개별적 개인의 존재가치와 특성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맞춤식 리더십의 실천, 학교 교육의 공정성, 평등성과 효율성의 실천이었다.

      • KCI등재

        다문화교육프로그램에 참가한 예비교사의 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 분석

        강혜정,임은미,김순미,김지영,장강희 한국교원교육학회 2018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5 No.1

        본 연구는 다문화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의 경험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다문화교육프로그램은 경제적 계층, 성 정체성, 민족/인종 정체성, 연령/가족배 경, 장애/신체적 특징 등의 다양한 다문화 집단에 대한 강의, 사례제시, 토론, 성찰일지 공유 등의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명의 참여자들이 각 회기마다 제출한 성찰일지 를 합의적 질적분석방법(CQR)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예비교사의 경험은 인지경 험, 정서경험, 실천의지의 3개 영역과 7개 범주, 20개의 하위범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인지경 험 영역에는 사고방식과 고정관념을 살펴봄, 소수민/주류민 경험을 재해석함, 소수민 차별과 억압과정에 대해 이해함의 3개 범주, 정서경험 영역에는 불편함과 안타까움을 느낌, 즐겁고 관심이 생김의 2개 범주, 실천의지 영역에는 일상에서의 실천을 모색함, 현장에서의 실천을 모색함의 2개 범주가 포함되었다. 20개의 하위범주 중 참여자들이 가장 많이 응답한 하위범 주는 ‘나의 사고방식과 고정관념을 확인하였음’, ‘주변에서의 소수민 경험을 떠올림’, ‘소수민 차별/억압의 발생 원인과 심화 과정에 대해 알게 됨’, ‘우리 사회의 소수민 차별/억압의 현실 을 확인함’, ‘다양한 시각으로 세상을 바라보게 됨’, ‘차별과 고정관념에 민감한 교사가 되겠다 고 다짐함’ 등 6개였다. 이러한 경향이 다문화 하위집단별로 어떻게 경험되는지를 분석한 결 과 다문화 하위집단에 따라 참여자들의 경험에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예비교사를 위한 다문화 교육에 주는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s who participated i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For this purpose,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were developed. The program consisted of learning activities including lecture, presenting reading and audiovisual materials, small group and full discussion, reflection journal about learning activities for understanding various multiculutral groups such as economic class, sexual identity, ethnic/racial identity, chronological/developmental challenge, family background, unique physical characteristic. In this study, 20 pre-service teachers self-reflection diaries submitted each session were analyzed by a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CQR). As a result, the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 was divided into three domains of cognitive experience, emotional experience, and willingness to act, seven categories and twenty subcategories. In the cognitive experience domain, there were three categories of check thinking style and stereotyping , reinterpret minority/majority experiences , and understand of minority discrimination and oppression process , In emotional experience domain, there were two categories of feel discomfort and sad and enjoyable and happen to interest . In willingness to act domain, there were two categories of seeking practice in daily life and seeking practice in the field . In the overall experience of participants, there were 6 general(19~20 cases), 12 typical(10~18 cases), and 2 variable(5~9 cases) responses. Participant s experiences according to program theme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multicultural subgroups treated.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for pre-service teachers were discussed.

      • KCI등재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이민자의 디지털 불평등(Digital Inequality) 관련 국제 연구 경향 분석 - Web of Science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

        강혜정,진명,하유진,김건우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2024 Crisisonomy Vol.2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이민자의 디지털 불평등 관련 해외 연구의 주요 이슈와 연구 경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23년 2월까지 Web of Science 학술지에 게재된 이민자의 디지털 불평등 관련연구 총 401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논문 건수 추이, 연구 분야, DLA 토픽모델링, 단어네트워크 분석을통해 주요 연구 주제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시기별 이민자의 디지털 불평등 관련 논문 건수는 2006년2편을 시작으로 이후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고, 특히 2020년 이후 관련 연구가 급증한 것으로나타났다. 이민자의 디지털 불평등 연구를 주도하는 분야는 사회과학, 의약학, 융복합 등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픽모델링 및 단어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이민자의 디지털보건 불평등’, ‘코로나19 팬데믹과 이민자의 디지털 불평등’, ‘이민자의 디지털 교육 불평등’, ‘디지털시대와 이민자 불평등’, ‘이주노동자의 디지털 불평등’5개의 토픽으로 분류되었다. 마지막으로 ‘이민자의 디지털 보건 불평등’과 ‘디지털 시대와 이민자 불평등’등 디지털 환경발전의 부작용 및 이민자의생존과 직결된 분야와 관련된 주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study aims to analyze key issues and research trends in international research on the digital inequality of immigrants. Based on a total of 401 articles on digital inequality of immigrants published in Web of Science registered journals between 2000 and February 2023, the authors identified key research topics. The analysis reveals an increasing number of articles on immigrants’ digital inequality, starting with two articles in 2006, and showing a sharp increase since 2020. Research areas on the digital inequality of immigrants are led by various academic fields, including social science, medicine, and multidisciplinary studies. Five topics were identified through topic modeling and word network analysis: ‘immigrants’ digital inequality in health’, ‘COVID-19 and immigrants’ digital inequality’, ‘Immigrants’ digital inequality in education’, ‘Immigrants’ inequality in the digital age’, and ‘Digital inequality of migrant workers’. It was shown that topics of ‘immigrants’ digital inequality in health’ and ‘Immigrants’ inequality in the digital age’ have been attracting significant attention.

      • KCI등재

        창업지원 매니저의 역량 특성이 창업지원단 몰입도와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매니저의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강혜정,양영석,김명숙 한국벤처창업학회 2022 벤처창업연구 Vol.17 No.1

        Korean Government Budget Supports for startups have been spiked and resulted in increasing the number and scaling up Startup Accelerating managers. It have skyrocketed the strong demand for their qualified roles. However, unclear role description and gap between required role and their capability have discouraged startup manager’s self-efficacy resulted in declining their full commitment and causing poor role performance. The focus of this research falls on empirical analysis to the effect of startup accelerating manager’s capability characteristics on their full commitment and performance to start-up support groups.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deliver diverse policy alternatives to build up manager’s core competencies to accelerate their self-efficacy leading their full role commitments and finally pushing up policy performance. In addition, this research will found more strong literature review for the following researches in this emerging fields. This research is brought four highlighting results with respect to four research problems. First, it propose proper concept of startup accelerating manager based upon its legal entitlement. Second, it drive required core competencies of manager for successful their accountability. Third, it analyze the unique features of startup accelerating manger’s capabilities against business incubation manger. Fourth, it empirically analyze in coming with government startup funding, the effect of self-efficacy including employment status, job environment, etc. on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This research reveal the required unique core competencies of manger into founder sourcing ability, project managing ability, startup proving and pivoting ability, consulting ability for successful investment raising. As of this empirical research results, First, manager’s ability have positively effect on their job performance, full commitment, and self-efficacy. Second, self-efficacy have a mediating effect on manager’s ability, job performance, full commitment. This research derive key policy implication of requiring to build up more accelerating ability, of manager from the basics to advance level by customized and algorithm based traing program. This accelerating ability buildup program will not only surge self-efficacy of manger resulting in making full commitment and better job performance, but also devote to categorizing the unique new feature and position of manger as seed investment and supporter. 2011년 이후, 정부의 창업지원 사업 규모가 급속히 커지며 이를 전담하는 창업지원 매니저의 규모 또한 증가하며 이들에 대한 역할과 역량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지만, 창업지원 매니저들에 대한 역할과 역량에 대한 구체적인 개념이나 창업지원 매니저의 요구역량과 보유역량 간의 간극이 커지며 자기효능감이 감소하고 이것이 창업지원단의 몰입도와 업무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으로 이어지는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창업지원 매니저의 정의와 창업기업의 성공적인 사업수행을 돕기 위해 요구되는 핵심역량에 따라 매니저가 조직에 몰입할 수 있는 정도와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분석하는 것에 초점 두며, 이를 통해, 창업지원 매니저의 역량 강화 방안을 제시하여 이들의 자기효능감을 배가하여 창업지원단 업무에 몰입하고 성과를 높이기 위한 정책시사점 도출과 이를 통해 향후 창업지원 매니저 관련 연구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연구는 크게 네 가지의 연구를 수행하였고 각각의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관련 법률적 근거를 가지고 창업지원 매니저에 대한 개념을 제시하였다. 둘째, 창업지원 사업 운영에 있어 창업기업의 성공적인 육성을 위해 매니저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이 무엇인지 도출하였다. 셋째, 창업지원 매니저의 핵심역량에 대한 요인들을 나열하고, 창업보육 매니저들과의 비교를 통해 창업지원 매니저의 역량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넷째, 실증분석을 통해 정부 지원사업의 현실에 따른 창업지원 매니저의 고용 형태, 근무 환경 및 상황 등 창업지원단 조직몰입도와 업무성과 등을 자기효능감을 통해 어떠한 영향을 보여주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창업지원 매니저의 차별적 필요역량은 창업자 발굴역량, 프로젝트 관리역량, 검증·보강역량, 투자유치 컨설팅역량으로 정의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창업지원 매니저역량은 업무성과와 창업지원단 몰입도,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효능감은 창업지원 매니저의 역량과 업무성과, 창업지원단 몰입도 사이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 결과를 얻었다. 기초적인 업무 지식부터 전문적인 지식 습득을 위한 단계적, 맞춤식, 집중 교육 훈련, 창업자들의 빠른 성장을 위한 액셀러레이터 역량 강화 교육 등 이 뒷받침 되어야 하는 점을 시사점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역량 강화 교육 훈련이 이뤄진다면 창업지원 매니저들의 자기효능감은 높아질 것이고 자기효능감이 커질수록 창업지원 매니저는 본인의 역량을 크게 펼칠 수 있고, 이는 조직의 업무성과와 창업지원단 몰입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다. 이론적 기여로는 기존 창업보육 매니저의 역량과는 달리 창업자 발굴역량, 프로젝트 관리역량, 검증·보강 역량, 투자유치 컨설팅역량이라는 새로운 창업지원 매니저역량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후보

        투사적 동일시로 풀어보는 불뱀과 구리뱀 이야기

        강혜정 한국목회상담학회 2012 목회와 상담 Vol.19 No.-

        In this dissertation the author investigated the story of Exodus in the perspective of projective identification. The projective identification was first proposed by Melanie Klein in 1946 as a kind of defense mechanism of primitive mode. A 3~4 month-old baby uses this mechanism unconsciously to protect him/herself against fear of annihilation and persecution predominant in the paranoid-schizoid position. Since then the concept and uses of the projective identification has developed from one-person psychology as the intra-psychic fantasy to two-person psychology as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further to an important mechanism to provide inter-subjective perspective in multi-dimensional aspects. The projective identification serves as a type of defense, a mode of communication, a type of primitive object-relatedness and a pass way for psychological change, which are generally divided into two such as intr-psychic defense mechanism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When the projector splits and gets rid of the unbearable parts of self into the recipient, if the recipient contains, embodies, metabolizes, transforms the unbearable projected into him/her to the bearable for re-internalization by the projector, then the projective identification can be a pass way for psychological change. The projective identification consists of simultaneous and interdependent processes of projection, induction, and re-internalization. Through these processes, the projector and recipient accept each other and eventually participate in the creative process of inter-subjectivity. In the induction process of projective identification, the recipient is pressured to think, feel, and behave in a manner congruent with the ejected feelings and the self or object representations embodied in the projective fantasy which are the specific, disowned aspects of the projector. In this process in the perspective of pastoral counselling, Christians are asked to be one with the projector very willingly and voluntarily by taking the shoes of the projector. They are the Christians who are called to participate in 'the beam of intense darkness' which people project into each other as it reaches the peak of compassion on people that God is crucifi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