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엘라파트라 용왕의 수수께끼

        강형철(Hyongchol Kang) 한국불교연구원 2023 불교연구 Vol.58 No.-

        역사 속의 붓다가 열반에 든 후 그의 제자들은 여러 형태로 생전 붓다의 모습에 대한 기록을 남기려 했고, 이는 불교사 전체를 관통하는 하나의 문화가 되었다. 일부 부파의 율장 속에서 붓다의 전기를 구성하려는 초기작업의 결과가 발견되는데, 대표적으로 상좌부의 율장에 속하는 『마하박가』(Mahāvagga)와 화지부(化地部) 율장의 한역인 『彌沙塞部和醯五分律』, 법장부에 귀속되는 『四分律』에서 공통적으로 그런 시도의 성과가 보인다. 이들은 붓다의 성도 이후부터 사리불과 목건련의 출가까지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는 이 세 가지 판본 중에서 『오분율』과 『사분율』의 붓다전기에서만 발견되는 특이한 이야기가 있다. 나가들의 왕(Nāgarājan, 龍王)인 엘라파트라(Elāpattra, 伊羅鉢怛羅)가 등장하는 에피소드로서, 이 이야기는 후대의 『根本說一切有部毘奈耶雜事』에서 한 단계 변형이 있으며, 『마하바스투』(Mahāvastu), 『불본행집경』(佛本行集經)에서는 보다 확장된 이야기로 서술된다. 또, 『담마파다 주석』(Dhammapada Aṭṭhakathā)에서도 다른 계열의 엘라파트라 설화가 소개되고 있다. 엘라파트라는 사람들에게 질문을 던지면서 해답을 제시해 줄 진정한 붓다를 찾아나서고, 끝내 붓다를 만나게 된다. 본 논문은 엘라파트라의 에피소드의 여러 판본들을 비교분석하고 그 의의를 밝히고자 한다. 또한, 그 질문과 해답 속에 숨겨져 있는 내용이 시사하는 바를 분석하고, 붓다전기나 설화 등이 불교사를 조명하는 단서가 될 수 있음을 보이고자 한다. After the historical Buddha passed away, his disciples tried to record the life of the Buddha in various forms, and it became a culture that persisted throughout the history of Buddhism. In the Vinaya of some Buddhist schools, early works to compose a biography of the Buddha can be found. Representatively, the Mahāvagga belonging to the Vinaya of Theravāda or Sthaviravāda tradition, 『彌沙塞部和醯五分律』(T1421), which is a Chinese translation of the Mahīśāsaka-vinaya, and 『四分律』(T1428), which is a Chinese translation of the Dharmaguptaka-vinaya, show results of such attempts in common. These tell the stories, from the Buddha’s enlightenment of Buddha to the conversion of Śāriputra and Maudgalyāyana. Among these three versions, there are unique stories found only in the biography of Buddha in the Mahīśāsaka-vinaya and Dharmaguptaka-vinaya. They are episodes in which Elāpattra (伊羅鉢怛羅), the king of the Nāgas (Nāgarājan) issues riddles. Over time, these stories were tranformed in the Mūlasarvāstivādavinayakṣudravastu (『根本說一切有部毘奈耶雜事』, T1451), and recreated as more expanded stories in the Mahabastu and the Abhiniṣkramaṇasūtra (『佛本行集經』, T190). Besides, another Elāpattra narrative is introduced in the Dhammapada Aṭṭhakathā of Buddhagosa on the Dhammpada 182. In these episodes, Elāpattra asks people riddles to find the Buddha, and eventually meets the Buddha. This article aims to compare and analyze the various versions of the episode of Elāpattra and to clarify their significance. In addition to that, I intend to discover the meaning of the questions and answers, and show that Buddha biographies and narratives can be provide clues to idetify the history of Buddhism.

      • KCI등재

        상속(santati)과 존속(avasthana) -존재의 지속요건을 둘러싼 불교와 상키야의 논쟁-

        강형철 ( Kang Hyongchol ) 인도철학회 2017 印度哲學 Vol.0 No.50

        This paper analyzes the dispute on how can be the duration (sthiti) of the entity (bh ava) between the Buddhist and the S amkhya in the Yuktidiik a, the commentary of the S amkhyak arik a. This is a spin-off of the argument around the Buddhist doctrine of momentariness (ksanika, ksanabhanga). At the first stage, the Buddhist states that there is no obstruction to destruction, so that if the object is admitted to be destroyed at last, its destruction is just after its origination, hence, if there is no obstruction to destruction, it results into the immutableness (kauthasthya) of all the objects. And the S amkhya refutes that the origination due to the past impression (samsk ara) is the launching of all the entities, and when the past impression is reduced then the entity falls down. Secondly, the Buddhist argues that all the things have the spontaneous destruction ( akasmika-vin asa). But the S amkhya emphasizes the other ideas of destruction are so-called the manifest (vyakti) and the enfolding (apagama). Finally, this dispute make us call attention to the difference of the concept of the change (parin ama) between the Buddhist and the S amkhya by showing the difference between santati (the continuous flow) and the avasth ana (the existing for some time).

      • KCI등재

        『유식이십론』 2~4송의 재고

        강형철 ( Kang¸ Hyong-chol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1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45

        바수반두의 『유식이십론(唯識二十論)』(Viṃśikā Vijñaptimātratāsiddhi)은 대론자의 반론(pūrvapakṣa)과 그에 대한 재반론(uttarapakṣa)이 포함되는 인도의 철학적 논의를 다루는 고전 논서들의 특징적인 편집 형식을 보여주는 전형적인 사례이면서, 내용적으로는 ‘유식(唯識, vijñapti-mātratā)’이라는 유가행파의 핵심이론을 증명하고자 하는 뚜렷한 목적을 표방하는 논서이다. 이처럼 『유식이십론』 전체의 구성과 내용은 그런 바수반두의 논리적 전략에 따라 배치되고 편집된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유식이십론』 2송에서 나타나는 해석의 문제를 통해서 그것이 3~4송의 주석의 내용과 연관되는 지점을 재고하고자 한다. II장에서는 사전 작업으로서 Vś 2송에서 생략된 내용에 관해서 다룰 것이며, III장에서는 본격적으로 2송에서 일어나는 해석의 분기가 이후의 3~4송 해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다루고, 기존의 번역에 대해 약간의 수정을 제안하고자 한다. IV장에서는 앞장들의 해석을 바탕으로 바수반두가 VśV를 저술하면서 세웠던 논리적 전략에 있어서 초반부의 논의가 지니는 역할에 대해서 다루고, 2~4송에 대한 기존 번역이 일으킬 수 있는 오해와 그 실례를 논의할 것이다. The Viṃśikā Vijñaptimātratāsiddhi or Viṃśikāvṛtti of Vasubandhu is characterized by the classic discourses dealing with Indian philosophical debates, including pūrvapakṣa and uttarapakṣa. And it is a work showing a clear purpose to prove the core theory of the Yogacāra Buddhism called ‘vijñaptimātra’ (唯識). The whole series of content in the Viṃśikā can be said to be the result of being arranged and edited according to the logical strategy of Vasubandhu. In this paper, through the problem of interpretation appearing in the second stanza of the Viṃśikā, I would like to revisit the proofs related to the commentary of the 3rd and 4th stanzas. In Chapter II, I will deal with the omissions and the implications in the second stanza, and in Chapter III, cover the effect that interpretation of it may have on the commentary of the 3rd and 4th stanzas. In Chapter IV, based on the interpretations of the preceding chapters, I will discuss the role of the proofs at the beginning of the Viṃśikā, in terms of the logical strategy that Vasubandhu established while writing the text, and touch on an example of the misunderstanding and mistranslation of the Viṃśikāvṛtti 3-4.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