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폐활성탄을 혼입한 콘크리트의 물리.역학적 성질

        강현수,성찬용,Kang, Hyun-Soo,Sung, Chan-Yong 한국농공학회 2009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51 No.1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concrete using waste activated carbon. Materials used were ordinary portlant cement, crushed coarse aggregate, natural fine aggregate, waste activated carbon, and superplasticizer. The substitution ratios of waste activated carbon were 0,1,2,3,4,5,6,7,8,9 and 10%. The unit weight was decreased and water absorption ratio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waste activated carbon content, respectively. When the substitution ratio of waste activated carbon was 3%, compressive strength, flexural strength and dynamic modulus of elastisity were more higher than that of the ordinary portland cement (OPC), and it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waste activated carbon content, respectively. The most effective contents of waste activated carbon was 2% in performance and 4% in practical use Accordingly, waste activated carbon can be used for concrete material.

      • KCI등재

        움직임 추정오차의 예측을 이용한 고속 움직임 추정 방법

        강현수,Kang, Hyun-Soo 한국통신학회 2004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29 No.9C

        This paper presents an enhanced MSEA(multi-level successive elimination algorithm) which is a fast algorithm of the full-search motion estimation. We predict the SAD at the final level using the values of norms at the preceding levels in MSEA and then decide on whether the processing at the following levels should be proceeded or not. We skip the computation at the following levels where the processing is not meaningful anymore. Consequently, we take computational gain. For the purpose of predicting the values of SAD at each level, we first show the theoretical analysis of the value of norm at each level, which is verified by experiments. Based on the analysis a new motion estimation method is proposed and its performance is evaluated. 본 논문은 고속 전역탐색법 중의 하나인 MSEA(multi level successive elimination algorithm)를 개선한 방식으로서, MSEA의 단계에 따른 norm의 계산 결과를 이용하여 최종 단계의 SAD를 예측함으로써 더 이상의 단계를 수행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되는 단계의 계산을 생략함으로써 계산 량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각 단계별 SAD의 예측을 위해 norm에 대한 이론적 분석이 이루어지며 실험을 통해 분석내용을 검증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실험을 통해 제안된 알고리즘의 성능을 평가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움직임벡터차에 기반한 고속 움직임 추정 방법

        강현수(Hyun-Soo Kang) 한국콘텐츠학회 201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5

        본 논문은 움직임벡터차의 확률을 이용하여 움직임 탐색 범위를 결정하는 새로운 고속 움직임 추정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일종의 적응적 탐색영역 방법이다. 움직임벡터차의 분포에 대한 조사하고 그 분포의 파라미터를 최대우도추정방법으로 추정한다. 이 추정된 분포를 이용하여 탐색 범위는 움직임벡터차의 지정된 확률에 의해 효과적으로 제한될 수 있음을 보인다. 실험적으로 제안된 방법의 성능이 화질면에서 전역탐색법과 유사하며 복잡도 면에서는 중대한 감소를 입증하였다. 뿐만 아니라, 제안된 방법이 기존의 적응적 탐색영역 방법에 비해 훨씬 더 효과적으로 탐색영역을 결정함을 보여주었다. This paper presents a new fast motion estimation method where search ranges are determined by the probabilities of motion vector differences (MVDs), which is an adaptive/dynamic search range (ASR) method. The MVDs’ distribution is investigated and its parameter is estimated by the maximum likelihood estimator. With the estimated distribution, we show that the search ranges can be efficiently restricted by a prefixed probability for MVDs.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is very similar to that of the full search algorithm in PSNR but it enables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computational complexity. In addition, they revealed that the proposed method determine the search ranges much more efficiently than the conventional ASR methods.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분권과 주민참여를 통한 상향식 지역계획 사례 연구

        강현수(Kang, Hyun-Soo) 한국공간환경학회 2013 공간과 사회 Vol.23 No.1

        중앙정부가 주도하는 하향식 지역발전 대신 지방정부와 주민이 주도하는 상향식 지역발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1970년대 낮은 경제 수준에도 불구하고 높은 사회 발전을 이룩하여 전 세계에 새로운 발전 모델을 선보인 바 있는 인도의 케랄라 주(州)는 1990년대 말부터 주 정부가 가졌던 권한을 하위 지방자치단체 및 지역 주민에게 획기적으로 이양하는 급진적 지방분권과 아울러 지역발전을 위한 계획과정에 주민들의 직접 참여를 확대하는 “주민계획(People’s Plan)”을 시행해왔다. 철저하게 상향식 방식으로 진행된 케랄라 주 주민계획을 통하여 주민참여와 주민권능부여가 크게 확대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케랄라 주에서 시행하고 있는 상향식 계획과정인 “주민계획”의 추진 배경과 추진 과정, 그 의의와 시사점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The Indian state of Kerala has been successfully carrying out decentralization and empowering people and local communities, especially through the 'People's Plan' since 1990s. People’s plan of Kerala started the devolution of control of decisions and budgets for local development from a centralized bureaucracy to local communities and ordinary people. Through People’s plan, local people could participate in planning process, and determine and implement their development projects by themselves with their own priorities. This paper aims to comprehend overall evolving process of the People’s plan in Kerala from the campaign phase to the institutional phase since 1990s, and to analyse the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Kerala's unique experiments in the world.

      • KCI등재
      • KCI등재

        대형 공공사업에서 수요 및 비용 예측 실패 원인 및 해결 방안

        강현수(Kang, Hyun-Soo) 한국공간환경학회 2013 공간과 사회 Vol.23 No.2

        이용 수요가 많아 투입될 비용보다 얻을 수 있는 편익이 더 클 것이라는 예측에 근거하여 추진되었던 대형 공공사업들이 완공 이후 처음 예측보다 실제 이용수요는 적고 소요 비용은 커서 결과적으로 예산을 낭비한 사례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 문제를 집중 연구해온 벤트플뤼비아(Bent Flyvbjerg)에 따르면, 대형 공공사업의 사전 예측이 실패하는 원인에는 기술적·심리적·정치적·경제적 요인들이 있는데, 그중 결정적 요인은 정치적·경제적 요인이며 따라서 해결 방안도 여기에 집중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글에서는 대형 공공사업에서 만성적으로 나타나는 수요 과잉 예측 및 비용 과소 예측현상의 원인과 그 해결 방안에 대해 플뤼비아의 논의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플뤼비아가 수요 및 비용 예측 실패의 핵심 원인으로 간주한 정치-경제적 원인의 분석 및 이에 대한 처방들을 요약 소개했다. 이어서 우리나라에서도 대형 공공사업 전반에서 예측 실패가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그 핵심원인에는 국민들이 위임한 권력을 자신들의 이익을 추구하는 데 악용하는 정치가와 관료 집단의 행위가 제대로 제어되지 못하는 데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마지막으로 그의 논의를 우리나라에 적용하여 대형 공공사업의 수요 및 비용 예측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했다. 이 글에서 제시한 대안의 핵심은 책임성과 투명성의 강화이며, 이를 위해 공공사업 추진 권력에 대한 견제 장치 마련, 준거집단 예측법 도입 등을 포함하여 몇 가지 제도 개혁 방안들을 제안했다. For the most of public-driven magaprojects in the world, especially the infrastructure projects, starting from ex ante expectation that benefit would be bigger than cost, their actual ex post performance was very poor. As a result, public money has been wasted and so-called magaprojects paradox has appeared: More and bigger megaprojects are built despite their poor performance record. Bent Flyvbjerg has focused the causes and cures of underestimate costs and overestimate benefits phenomenon. He argue that the key causes of this phenomenon are economic and political causes rather than technical or psychological ones, and suggest how to tackle these ones. In this paper, I aim to examine the causes and cures of endemic forecasting fallacy in Korea, mainly based on Flyvbjerg’s arguments. For the purpose of this, first, I show that cost overruns and demand shortfalls are also widespread in Korea. Second, Flyvbjerg’s main works and key arguments are summarized. Third, som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applying his arguments to Korea in order to minimize forecasting failure are examined, focusing on enhancing accountability and transpare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