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남성클럽 패션 선호도에 관한 연구

        강지영,윤진아 한국니트디자인학회 2012 패션과 니트 Vol.10 No.3

        For survey analyses, male survey analysis, survey comparison analysis of club fashion in Gangnam and Hongdae, and comparison of male and female survey analysis. Questionnaires were different for males and females. The study results are the same as the following. First, in terms of male survey analysis, there were most cases when club visits were made with friends more than once a month in order to release stress. Club fashions were diversely selected from hip hop, punk, sexy, and dandy styles. However, the most desired club fashion style is the dandy style. There were many people who responded that club fashion can be worn in everyday life, and many people stated that information about club fashion was provided through public media such as TV, magazine and the internet. In terms of purchase of club fashion, styles that can give positive impression to the opposite gender was preferred. Black color was the most preferred color. For the question asked about the accessory that is most suitable for club fashion, most responded that hats are most adequate. Second, in terms of survey comparison analysis of club fashion in Gangnam and Hongdae, two regions did not pursue completely different fashion styles. However, it was identified that 20's in the two regions desired different fashion styles. Those in Hongdae preferred unique fashion styles, and those in Gangnam preferred more refined and decent styles. Thirdly, as a result of survey analysis for males and females, the result of male club fashion image displayed that the highest number of people preferred hip hop and sexy styles. Females preferred sexy style. Both males and females preferred black color. For accessories, males preferred hats the most, and females showed preference for earrings and necklaces. Dandy style was selected as the club fashion males want to wear when visiting clubs as well as the male club fashion considered most attractive by females. As mentioned above, current club fashion in Gangnam and Hongdae areas showed similarities, and male club fashion preferred by males and women did not display significant differences.

      • KCI등재

        단절 및 거절도식이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지각된 배우자지지의 매개효과: 자기-상대방효과

        강지영,이인수 한국상담학회 2017 상담학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자신이 지각하는 배우자지지가 단절 및 거절도식이라는 기제의 영향을 받아 부부 쌍방의 부부친밀감 형성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고찰해보고자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ctor-Partner Interde pendence Model: APIM)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은 서울, 경기, 전남에 거주하는 20대∼70대의 부부 247쌍(N=494명)으로 유의표집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단절 및 거절도식이 배우자지지, 부부친밀감과는 부적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남편의 단절 및 거절도식이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은 자신이나 상대방인 부인에게 영향을 미치지만, 부인의 경우는 자신의 부부친밀감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부 상호간 변인들 간의 효과에서는 남편은 모든 변인들이 자신과 부인에게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나, 부인의 경우 단절 및 거절도식이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자신에게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있으나 상대적으로 남편에게 미치는 영향은 지각된 배우자지지에서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정서적 표현이 자유롭지 못한 남편들의 경우 지각된 배우자지지를 통한 부부친밀감을 매우 영향력 있게 지각하는 반면, 부인의 경우 스스로 느끼는 돌봄이나 안정감이 친밀감 형성에 기여함으로써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남편의 도식은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plore how the perceived marital support is influenced by the mechanism of early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and contributes to the formation of marital intimacy of both married couples. Therefore, this was analyzed through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API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47 couples (N=494) among the 20s∼70s, living in the districts of Seoul, Gyeonggi, Jeonn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arly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was found to be high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marital support and marital intimacy. Second, the husband's initial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affected the intimacy of himself or his wife's, but the wife's did only the intimacy of herself.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between the variables of husband and wife, in the case of husband all the variables had direct or indirect influence on the husband and the wife. In the case of the wife, the effect of the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on the marital intimacy had a direct effect on the actor, but the partner influence on the husband was found only in the perceived marital support.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the case of husbands who are not free of emotional expressions, they can feel the intimacy of married couples through the support of their spouses very strongly. Also, since the sense of care or secure that wives themselves feel contributes to the formation of intimacy, husbands' schema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their marital intimacy.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드라마 <지옥>과 <지금 우리학교는>에서의 죽음과 애도

        강지영 국제어문학회 2023 국제어문 Vol.- No.98

        이 연구는이 연구에서는 드라마 <지옥>과 <지금 우리 학교는>을 대상으로 죽음과 그에 따른 애도 양상을 살펴보았다. 애도가 성립되기 위해서는 구체적인행위가 있어야 한다는 라캉과 애도 행위 자체가 애도를 성립되지 못하게 한다는데리다의 애도 이론을 중심으로 영상작품인 <지옥>과 <지금 우리 학교는>에서나타나는 죽음의 처리와 그에 따른 애도의 성립을 살펴보았다. 특히 애도를 다루어온 앞선 연구에서 미처 보여주지 못한 죽음의 지점 문제를 깊이 있게 다루었다. <지옥>에서는 정진수의 죽음이 신도들에게 분명히 알려지지 않았다는 점과 박정자의 부활을 예고하는 듯한 마지막 장면을 통해 죽음이 죽음으로 처리되지 못한다. 완결되지 않은 이와 같은 죽음은 서사 속 신도들이 보여주는 애도 행위를애도의 실패로 머물게 하는 데 일조하게 된다. <지옥>은 부활로 인해 죽음으로 부터 비롯된 공포와 슬픔이 처리되지 않게 함으로써 애도 또한 성립되지 않게하였다. 그로써 감정적 정화인 카타르시스라는 서사적 효용을 머금을 수 없었다. <지금 우리 학교는>에서는 전반부에서 죽지도 살지도 않은 좀비를 배치함으로써 애초부터 애도가 성립될 수 없어 보이게 하였다. 하지만 후반부에서 좀비를소각하는 것으로 좀비들을 죽음에 이르게 하였다. 죽음이 죽음으로 성립되게 한죽은 좀비들의 소각은 데리다의 관점에서는 그 자체로 죽음이면서 애도로 읽힐수 있었다. 마찬가지로 라캉의 관점에서도 이미 정신이 죽어 버린 좀비를 위한의식적 행위로써의 애도로 읽을 수 있다. 이로써 <지금 우리 학교는>은 카타르시스라는 문학적 성취를 나름 보여줄 수 있는 읽어낼 가능성을 내비쳤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바탕하여 이 연구에서는 죽음과 애도를 주제어로 각각 다르게 나타나는 <지옥>과 <지금 우리 학교는>의 죽음의 처리와 그에 따른 애도는아버지를 중심에 두고 거론되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극복 측면에서 한국 콘텐츠들의 죽음과 애도가 지향하고 있는 방향을 읽어낼 수 있는 소중한 이정표일수 있음을 읽어냈다. This study aims to analysis deaths and mourning in Hellbound andA ll of Us A re Dead. In Hellbound, Jeong Jin-soo’s death was notclearly declared to the believers, and Park Jung-ja’s resurrection waspredicted in the last scene, which could mean that the two charactersare not actually dead. The incomplete deaths resulted in the failure ofthe mourning, such as bowing. As neither death nor mourning wereestablished in Hellbound, the narrative could not deliveru theexperience of catharsis. In A ll of Us A re Dead. zombies did not die orlive in the first half of the narrative, which could be the cause of thefailure of mourning from the beginning. However, by incineratingzombies in the the narrative’s second half, the zombies could reach thereal death. In this respect, therefore, incineration can be read as deathand mourning from Derrida’s point of view; from Lacan’s perspective,incineration could be read as mourning and a funeral act for a azombie who has already died. As a result, A ll of Us A re Dead couldbe understood as a work that allow for the literary experience ofcatharsis. In the incineration scene in All of Us Are Dead, the father is usedto show how the symbolic order is organized and overcome in thenarrative. Consider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mes of deaths and mourning in Hellbound and A ll of Us A re Dead, can allow anexploration of how Korean literature aims to overcome the OedipusComplex, which is centered on the father.

      • KCI우수등재

        아동수당도입이 아동가구의 소득과 빈곤에 미친 영향 연구

        강지영 한국사회복지학회 2020 한국사회복지학 Vol.72 No.1

        본 연구는 2018년에 도입된 아동수당제도가 아동이 속한 가구의 소득안정성과 빈곤에 미치는 효과를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2018-2019년 가계동향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가구주 연령이 25-45세인 아동가구를 대상으로 아동수당 도입이 가구의 소득과 빈곤에 미치는 영향을 이중차이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아동수당은 가구소득을 증가시키고 빈곤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총소득과 가처분 소득 기준 중위소득 60%이상의 상대빈곤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아동수당 도입 초기 시점에서 아동수당효과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아동수당 효과의 인과성을 분석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아동정책의 효과성을 체계적으로 평가하고 대안과 정책적 함의를 고려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출산율 제고에 초점을 두었던기존 아동수당 논의들에서 벗어나, 아동수당이 아동가구의 경제적인 측면에 미치는 효과성을 분석하여 아동 권리 측면으로 논의를 확장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universal child benefit introduced in 2018 on income and poverty among families with children. This study used Korea Household income data from year 2018 to year 2019. The sample was restricted to households with a head aged 25 to 45 and with a child. The difference-in-differences(DiD) method was applied in a regression estimating the effect of universal child benefit on equalized household income and poverty among families with children. The results indicate that universal child benefit increased household disposable income and gross income, and decreased poverty among families with children.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current literature by expanding the scope of analysis to the effectiveness of child benefit on economic status among families with children from the focus on its fertility rate boosting effects, and shed the light on the discussion of children’s right.

      • KCI등재

        칸트에서 자기기만적 “합리화”(das Vernünfteln)의 문제

        강지영 대한철학회 2023 哲學硏究 Vol.167 No.-

        Despite the large number of studies on how immoral behaviour arises in Kant, there are very few studies on “natural dialectic” (die natürliche Dialektik) and “rationalization” (das Vernünfteln), which are presented in the first section of Groundwork explaining the occurrence of moral evil. Against this background,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construct Kant's theory of moral evil through the concept of “rationalizing” by analyzing the concept of “das Vernünfteln” in the context of “die natürliche Dialektik”. The immoral, self-deceptive rationalization is the sophisticated reasoning against the imperatives of morality when the imperatives of morality appear to interfere with the agent's pursuit of happiness. The rationalizer makes excuses that the moral law allows for exceptions, or that an action can be moral if it is motivated by one's own happiness in addition to the motivation of duty. This process occurs through self-deceptive rationalizing, by producing the illusion (Schein) that a system of rules that has the principle of one’s own happiness as its supreme rule can also be a principle of morality. By rationalizing, the rational agent gives a coherent form structurally like that of the moral law, but with a different motive at its base: not respect for the law, but self-love or one’s own happiness. 본 연구는『도덕형이상학 정초』의 “자연적 변증성”의 맥락에서 “합리화”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검토하여, ‘합리화’(das Vernünfteln) 개념을 통해 비도덕적 행위가 어떻게 일어나는지에 대한 칸트의 이론을 재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악과 자기기만의 관계에 관한 선행연구에서 불충분했던 부분들을 보완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비도덕적 행위와 자기기만에 관한 칸트의 이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실천이성의 “자연적 변증성”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한데, 선행연구에서는 이 점이 간과되었다. 비도덕적 합리화는 도덕의 명령이 행위자의 행복 추구를 방해하는 것으로 보이는 경우에 도덕의 명령에 반하는 (궤변적) 추론을 하는 것이다. 합리화하는 행위자는 도덕법칙이 예외를 허용할 수 있고, 의무의 동기 외에 자신의 행복이라는 동기로 한 행위도 도덕적일 수 있다고 변명을 늘어놓는다. 이 과정은 자기기만적 합리화에 의해서, 자기 행복의 원칙을 최상의 준칙으로 삼는 준칙들의 체계 또한 도덕의 원칙일 수 있다는 변증적 가상을 생산함으로써 일어난다. 비도덕적 합리화에 의해 행위자는 의무의 동기가 아니라 자신의 행복을 동기로 하는 준칙들에 도덕법칙과 유사해 보이는 일관적인 형식을 부여하게 된다.

      • KCI등재

        중고령층 연령집단별 물질적 결핍 궤적 및 궤적집단 비교연구

        강지영,정순둘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7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55 No.-

        This study examines trajectories of experiences on material hardships among mid and old age and the main socioeconomic determinants on the memberships of each trajectory. We use Korea Welfare Panel Study from wave 3 to wave 11 along with group-trajectory modeling and find different group memberships by three different age groups: for mid age of 55-64, [no experiences on material hardships], [low risk of material hardships], [high risk of material hardships]; for old age 65-74, [no experience on material hardships], [rapid proceeding to high risk of material hardships], [declining material hardship experience], [high risk of material hardships]; for old-old age 75-84, [no experience on material hardships] [material hardship transition], [declining material hardship experience], [high risk of material hardships]. Education, health, income activities are considered as significant factors determining trajectory group membership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current literature by providing insights on various dimensions of poverty for mid and old age and policy implication for anti-poverty program for them. 본 연구는 중고령층을 대상으로 연령집단별로 물질적 결핍 궤적집단을 유형화하고 집단 소속을 결정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특히 중고령층을 하나의 단일한 집단으로 간주하지 않고, 연령집단에 따라 물질적 결핍 경험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고려하여, 55-64세 중년집단, 65-74세 전기노인집단, 75-84세의 후기노인 집단으로 구분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한국복지패널조사 3차부터 11차 년도까지 데이터를 집단중심추세모형(group-based trajectory model)을 사용하여 각 연령집단별로 궤적집단을 추정하였다. 중년에서는 [물질적 결핍 무경험], [물질적 결핍 저위험], [물질적 결핍 고위험]유형을, 전기노인에서는 [물질적 결핍 무경험], [물질적 결핍 급속 고위험 진입], [물질적 결핍 경험 감소], [물질적 결핍 고위험]유형을, 후기노인에서는 [물질적 결핍 무경험], [물질적 결핍 이행], [물질적 결핍 경험 감소], [물질적 결핍 고위험]유형을 발견하였다. 교육수준, 건강수준 및 소득활동이 궤적집단을 결정하는 유의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중고령층의 빈곤을 연령집단별로 다각도에서 분석하여 이들을 고려한 사회복지의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Trends and Issues in Education for Undocumented Students in the United States

        강지영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22 다문화와 평화 Vol.16 No.3

        Although contemporary migration is characterized by increased numbers and a large unauthorized population,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to explore the territory that has been addressed since the emergence of academic attention to undocumented students. To provide a comprehensive and deeper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landscape of education for undocumented students in the United Stat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cent trends in research on undocumented students and identify key issues in educating students of precarious status. Findings of this study give insight into the situation so far and what we need to do to empower undocumented students who are confronted with challenging situations.

      • KCI등재

        딥러닝을 적용한 영상기반 군함 식별정보 획득에 관한 연구

        강지영,김우주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2022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Vol.25 No.1

        Identifying warships contacted at sea is important to prepare for threats. It is necessary to obtain a basis to identify warships. In this study, we propose a 2-step model that acquires the warship's type and hullnumber with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warship images. The model classifies the warship's type and detects its hullnumber area by applying object detection, then recognizes hullnumber through text recognition algorithms. Proposed model achieved high performance by using state-of-the-art deep learning algorith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