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학적 창의성의 발달: 창의적 한국인 사례에 대한 전기적 연구

        강정하,최인수 韓國英才學會 2009 영재교육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과학 분야에서 한 개인이 창의성을 발현에 가는 과정에서 드러내는 다원적 요소의 발달적 특성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세계적인 성취를 이룬 한국의 창의적 과학자 10인에 대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그들의 과학적 성취가 발현되는 성장발달 과정에서 드러난 주요한 행동 특성들은 무엇이고, 그 과정에 중요하게 영향을 미친 요인들은 무엇이며, 그러고 그러한 행동특정들이 변화되어 간 과정들의 특징이 어떠한 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총괄적 창의성 체계모델인 '지식진화시스템 (Knowledge-Evolving Systems: KES)'(강정하, 2007)에 의해 분석되었다. 결과, 창의적 과학자는 어린 시절에 과학부문에 대한 강한 지적 호기심과 관심을 가졌었고, 커가면서 이 분야에 관련된 취미활동을 계속하였다. 대학에 들어가면서부터 그들은 전문지식을 체제적으로 습득하였으며, 오랜 집중을 계속했다. 이는 개인의 경험이 다원적 요소들에 의해 점진적으로 성장해 가는 과정이며, 나중에 창의적 성취로 이어진다. 발현과정은 발달심리적 특징과 학령, 그리고 환경적 요인에 의해 크게 4단계 아동기 청소년기 성인기 창조기-로 구분되었고, 단계가 나아감에 따라 드러난 특성들이 더 복잡해지고 강화되었으며, 한편으로는 더 정교하게 분화되었다.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creativity development by examining the emergent process of accomplishments from case studies on individuals who had made creative accomplishments in science. Especially this study focuses from childhood to adulthood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before they accomplished their goal. For case studies, 10 people who made creative accomplishments in the science and technology domain were selected for interviewing as the research participants. Analyzing data were made using by KES. Then it is summarized and described the representative traits of each period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 KCI등재

        과학인재의 지속성장 기제로서의 창의성 탐색: 이공계 대학생 창의역량 모델링을 통해

        강정하,박선희,김철,문경호,김영민,석혜은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7 창의력교육연구 Vol.17 No.4

        This study proposes the creativity competency model for undergraduate students in science or engineering fields, by the proceeding research on competency factors which repel the creative outputs of well-established scientists in Korea. This paper consists of competency modeling for the key behaviors required for creative and excellent performance in the view points of global standard, competency modeling for undergraduate students in science or engineering fields and its reliability-validity. At first, based on structured face-to-face interviews of 12 creative scientists in Korea who well-recognized in their fields world widely, we successfully constructed competency model for the key behaviors required for creative scientist, called ‘scientist creativity competency model’. Secondly, the model which called ‘creativity competency model of the undergraduates in science or engineering(1st)’ was converted into 4 categories with 31 potential competency factors and used for structured tools for Delphi survey for developing ‘creativity competency model for the undergraduates. The Delphi survey had performed twice with 20 panels who were actively involved in education of undergraduate of S and K Universities. In the second survey, when the structured survey was updated based on conformance with the ‘creativity competency model of the undergraduates in science or engineering(final)’. Finally, the proposed competency model has been validat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 with 20 faculties and staffs who were involved in admissions, educations and career guidance in S and K Universities. 본 연구는 이공계 인재의 창의적 과학자를 향한 지속성장을 추동하는 역량이 무엇인지를 밝힘으로써 이공계 대학생의 창의역량을 모델링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세계적 성취를 이룬 창의적 과학자의 창의역량모델을 기반으로 이공계 대학 학부생의 창의역량모델 개발 및 타당화를 실시하였다. 먼저, 세계적 과학자 12인의 인터뷰를 통해 3역량군_9역량_31하위역량으로 구성된 창의적 과학자의 창의역량모델이 구축되었다. 이 모델은 대학생에 부합하는 형태의 4역량군_31(잠재)역량으로 이루어진 이공계 대학생 창의역량모델(초안)로 재구성되었다. 이는 S대와 K대 교수 20인이 패널로 참여한 두 차례의 델파이조사에 토대 자료로 활용되었으며, 이로부터 수집한 자료 분석을 통해 이공계 대학생 창의역량모델(최종안)이 도출되었다. 1차에서는 6개 전공영역 공통적으로 4역량군_25역량_203활동지표로 이루어진 이공계 대학생 창의역량모델(수정안)이 도출되었고, 2차에서는 4역량군_21역량_171활동지표의 이공계 대학생 창의역량모델(최종안)이 산출되었다. 부가적으로, 이공계 대학생 창의역량모델(최종본)은 두 대학의 선발, 교육, 진로 관련 보직 교수와 관계자 20인을 대상으로 한 FGI(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해, 그것의 현장 가능성 및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 TCP와 UDP 트래픽의 통합 스케줄링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강정하,김은기 한밭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2001 논문집 Vol.5 No.-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scheduling algorithm that provides fair scheduling method for TCP and UDP traffic. A router in network calculates target traffic rate for each flow when it starts packet drop. Then the router increases drop rate for flows that generate more traffic than target traffic rate. The TCP friendly flows reduce sending rate in response to increment of drop rate. But, the flows that do not follow TCP congestion control send their own traffic regardless of packet drops. The drop rate of unresponsive flow is increased more and more at router and consequently bandwidth is assigned fairly to all flows.

      • KCI등재

        과학 분야 창의적 산물 발현과정 연구 : 과학자의 주관적 경험이 객관적 지식으로 발현하는 자기조직화 과정의 사례 분석

        강정하,조선희,김미진 韓國英才學會 2014 영재교육연구 Vol.24 No.1

        본 연구는 세계 과학 기술 분야를 이끌어 가는 창의적 산물의 생성과정에 대한 사례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은 과학 분야 창의적 산물이 발현되는 과정을 이해하는 데 있으며, 이를 통해 세계적으로 경쟁력 있는 과학인재를 발굴, 양성하는 과학영재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과학 기술 분야에서 과학자의 주관적 경험이 새로운 객관적 지식으로 창출되는 지적 성장과정, 그리고 과정별로 주요하게 작용하는 요소 및 변인들을 밝히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창의적 산물 생성 과정 연구는 지식의 진화론, 지식의 생명체설, 그리고 자기조직화 등의 학문적 배경에 토대를 두고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세계 과학 기술 분야(12개 영역으로 구분)에 크게 기여한 창의적 산물과 이를 창출한 한국인 과학자 12인에 대한 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그 결과, 과학 기술 분야 창의적 산물은 네 단계–(1) 지식토대단계, (2) 지식탐색단계, (3) 지식구성단계, (4) 지식발현단계–를 거쳐 발현되며, 각 단계는 상부 시스템, 하부 시스템, 그리고 하위변인들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This study is a case study of the process of emerging for creative products to lead world science and technology. The aim of the study is to understand the emerging process of scientific creative products, and is to provide the direction of gifted education that discovers and trains globally competitive science talents through this. To discuss the emerging process of creative products, this study has academically discussed the creativity of the complexity of dealing with theory of evolution, the real life settings, and self- organization of experience etc., and has methodologically adopted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rough a case study to look at the structures and processes. Data collection has been formed through a discussion with 12 Korean scientists who have created selected creative products, greatly contributed for the world science and technology(12 areas). The analysis has been carried out by the latter part positivist methods. As a result, the emerging process of creative products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were separated into four steps: (1)the foundation stage of knowledge, (2)the exploration stage of knowledge, (3)the construction stage of knowledge, and (4)the emerging stage of knowledge. Each stage has been revealed growing up through the macro-system and the self-organization of each micro-systems.

      • KCI등재

        과학영재 진로결정의 개념모델 타당화 및 요구 분석 : 국가수준 과학영재교육 기관을 중심으로

        강정하,권경아,석혜은 韓國英才學會 2017 영재교육연구 Vol.2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ing a conceptual model of career decision-making for the science gifted and to analyze needs of the science gifted for their career decision-making. Interview data from 6 science gifted education institution and 7 experts in the area of gifted education were processed in developing the conceptual model. The model is consists of 3 systems, 9 groups, and 27 factors. Next, 850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on their needs and perceptions for career decision-making. and comparing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The survey data were analyzed by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method. As a result, the science gifted students would make career decision based on their intellectual competencies, self-directedness, occupation view, and need of self realization, and it was appeared that inquiry learning activities, project-based learning, grade, university requirements for entrance, and teachers’ guidance were important in the process of their career decision-making. 본 연구는 과학영재 진로결정 개념모델을 타당화 하고, 이를 기반으로 과학영재의 진로결정에대한 요구 조사를 실시하여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먼저, 개념모델 타당화를 위해과학영재 진로 지원 6개 우수기관 사례조사를 토대로 진행되었다. 결과, 개념모델은 3요소 9요인27하위요인 모델로 결정되었다. 다음으로, 산출된 개념모델을 바탕으로, 과학영재학교 및 과학고1, 2, 3학년 850명을 대상으로 한 과학영재 진로결정 요구조사가 실시되었다. 수집한 자료는과학영재 진로결정 개념모델의 구성요소별 인식(중요도-수행도)에 대한 것이다. 분석은 IP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방법을 적용하였고, 이 방법에 따라 네 수준의 인식으로 구분, 요약됐다. 결과, 과학영재의 진로결정은 학생의 지적 역량, 자기주도성, 직업관, 자아실현의지, 학교의 탐구학습, 프로젝트식 수업, 연구활동, 상급학교 자료, 그리고 교사의 지도 등이 크게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 KCI등재

        지속성장형 과학영재 자율연구지도 사례조사 : 세계 명문대를 중심으로

        강정하,박선희,신학수,홍성호 韓國英才學會 2018 영재교육연구 Vol.28 No.1

        In this study, we intended to develop ‘a conceptual model of research activity for the sustainable growth of the gifted in science’ through a case study on the guide of research & education programs implemented in prestigious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in the world. Based on the conceptual model of research activity, we also aimed to suggest education and policy implication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first, we built ‘the first version of the conceptual model of research activity’ by analyzing research activities for the gifted in science using qualitative data from eight creative scientists. The final version of the conceptual model of research activity consisted of 3 components and 9 factors: Student component, Research component, and Resource component. The final version of the conceptual model of research activity was completed by analyzing qualitative data from eight cases collected from researchers at prestigious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in the U.S. Results indicated that research programs for the gifted in science should be designed as a self-directed research and research programs appropriate to students’ prior knowledge. 본 연구는 세계 명문대 및 연구소의 과학영재 자율연구 지도 사례조사 연구로, 과학영재가 미래 글로벌 리더로 지속성장하는 데 모델이 되는 자율연구 지도 전반에 대해 심층적으로 탐색하고, 이를 기반으로 교육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1을 통해 창의적 과학자 8인을 대상으로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여, 과학영재가 지속성장하는 데 영향을 주는 연구활동의 수준 및 범위, 그리고 핵심 요소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지속성장형 과학영재 연구활동 개념모델(초안)’이 도출되었다. 다음으로, 연구 2를 통해 미국 명문대 및 연구소의 과학영재 자율연구 지도 8사례를 대상으로 실제 전문가 랩에서 이루어지는 과학영재 연구활동에 대한 설문조사가 진행되었다. 분석은 ‘지속성장형 과학영재 연구활동 개념모델(초안)’을 분석틀로 활용한 질적 분석이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지속성장을 위한 과학영재 연구활동은 3요소 9요인의 상호작용의 결과로 드러났으며, 최종적으로, ‘지속성장형 과학영재 연구활동 개념모델(최종안)’이 도출되었다.

      • KCI등재후보

        과학적 창의성과 시각예술적 창의성 : 창의적 성취 사례의 영역보편성 및 영역특정성

        강정하,최인수 韓國英才學會 2008 영재교육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과학 및 시각예술 영역의 창의적 성취사례를 통해 두 영역의 영역보편성과 영역특정성에 대해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를 위해 각각의 영역에서 세계적인 성취를 이룬 한국의 창의적 인물들(과학자: 10인, 시각예술가: 9인)에 대한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이로부터 수집한 질적 자료를 토대로 창의적 성취에서 영역보편적으로 드러나는 특성과 영역특정적으로 드러나는 특성을 요약, 기술하였다. 자료분석에는 본 연구의 근간이 되는 총괄적이고 체계적인 개념틀 ‘지식진화시스템(Knowledge-Evolving Systems: KES)’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를 보면, 실재시스템에서 두 영역의 성취는 공통적으로 요동, 탐색, 산물을 통해 드러났다. 반면, 과학은 전문지식, 어려운 과제, 세계 최초의 객관적인 지식이 주요한 요인으로, 예술에서는 일상적인 지식, 다양한 주제, 새로운 변화에 대한 인간의 감성 전달이 주된 요인으로 드러났다. 개인시스템에서 두 영역은 모두 분명한 목표를 향한 집중과 독자적인 노력을 보편적으로 요구하였다. 반면 과학은 창조의지, 확산적 및 분석적 사고, 직관 및 통찰, 그리고 도전이 대표적인 요인으로, 시각예술은 즐거움, 민감성, 통합적 사고, 완벽성, 그리고 자유로움이 주요한 요인으로 산출되었다. 마지막으로 사회시스템에서 두 영역의 성취는 전문가의 승인에 의해 결정되었다. 그리고 과학자들의 성취에는 인간네트워크, 기관의 지원, 생존경쟁과 운이 큰 영향을 미쳤고, 시대적 요구와 민족성이 발전의 토대가 되었다. 반면, 시각예술가들은 주변의 반대와 부적인 예술문화 풍토로 인해 고독한 삶을 살아왔다.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domain-universality and domain-specificity of scientific domain and visual art domain from case studies on individuals who had made creative accomplishments in the domain of science and visual art. For case studies, 10 people who made creative accomplishments in the science and technology domain and 9 people who made creative accomplishments in the visual art domain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participants. The conclusions for the case studies were made on the data obtained from interviewing the research participants using KES as an analytical frame.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pport as follows. Creativity on scientific domain and visual art domain is both the domain-universality and domain-specificity. The domain-universality of scientific domain and visual art domain is related to the nature of human beings, originality in creativity, and the natural selection. On the other hand, The domain-specificity of scientific domain and visual art domain is related to the type of knowledge and the context of applying the knowledge, will, thinking skill, direction, and social components.

      • KCI등재

        미토콘드리아 Cytochrome Oxidase I 유전자 마커에 의한 한국.중국 낙지의 종판별 및 집단분석

        강정하,유기환,김상규,박중연,김봉석,안철민,Kang, Jung-Ha,Yu, Ki-Hwan,Kim, Sang-Kyu,Park, Jung-Yeon,Kim, Bong-Seok,An, Chel-Min 한국패류학회 2010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ol.26 No.4

        본 연구는 우리나라 무안, 태안, 여수, 제주 지역 및 중국 영성, 대련 지역의 낙지 개체군의 종 및 집단분석을 위해 미토콘드리아 CO1유전자의 염기서열을 조사하였다. 유전자 분석은 총 60 개체로부터 6개의 haplotype이 조사되었다. 제주 개체군인 경우 모든 개체 (N = 10) 가 다른 집단에서는 관찰되지 않은 A haplotype으로 구성되어 있어 다른 지역과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들 haplotype은 MEGA 4 분석에 의해 두 개의 clade로 나뉘어지는데 하나는 무안, 태안, 여수, 중국 대련집단이었고 다른 하나는 제주, 중국 영성집단으로 나뉘는 구조를 하고 있었다. 집단 간 유연관계 분석에서도 같은 현상이 관찰되었다. Group A에 속하는 무안, 태안, 여수, 대련 집단의 낙지 개체군은 group B (제주, 영성) 에 속하는 집단 개체군 보다 유전적 거리가 아주 가까웠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CO1 universal primer는 종 판별 유전자 마커로서 낙지류에서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었으나 partial CO1 유전자 내의 변이가 많지 않기 때문에 집단분석에는 한계가 있으나, 지역적 거리 및 장벽 그리고 서식지 차이 등에서 오는 제한적 gene flow에 대한 논의는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nucleotide sequences of the mitochondrial cytochrome oxidase subunit 1 (CO1) gene of octopus groups collected from Muan, Taean, Yesu, Jeju in Korea and Youngsung, Daeryen in China were analyzed for the identification of species and populations. Six haplotypes were identified from the analyzed 60 individuals. All of the individuals (N = 10) from Jeju showed the A haplotype which was not observed from other groups, and could be classified as a distinct group. The analyzed groups could form two separate clade in MEGA4 analysis. The individuals from Muan, Taean, Yesu in Korea and Daeryen in China form a clase and the others from Jeju in Korea and Youngsung in China formed the other clade. The analysis of relationship among the groups showed the same results. Individuals belong to the group A (Muan, Taean, Yesu and Daeryen) showed closer relationship than individuals belong to the group B (Jeju and Youngsung). Although the CO1 universal primers used in this study was useful as a marker for species identification among Octopus, analysis of population was limited because of few variations in the partial sequences of CO1 analyzed in this study. However, it was possible to show the limited gene flow among the groups which is resulted from the spatial separation and differences in their habita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