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할린 한인 귀환 이주와 NGO의 초국경적 역할

        강정하(Jungha Kang),양기웅(Kiwoong Yang)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21 동유럽발칸연구 Vol.45 No.3

        본 논문의 목적은 ‘사할린 한인 귀환’ 문제에 있어 1950년대부터 결성되어 1990년대 여러 촉구 활동을 한 NGO의 역할이 확대되는 과정을 살펴보는데 있다. 사할린 한인 귀환 문제는 70~80년대의 NGO들의 활발한 요구와 촉구 활동으로 90년대 들어와 빠른 진전을 보인 점에 주목하며 NGO들의 결성 및 활동의 운동 역량과 귀환 문제가 각 정부를 공동의 협상의제로 부상한 정치적 기회의 연관성을 분석한다. 분석의 틀로는 김선미가 제시한 ‘시민운동의 정책적 영향력 분석모델’을 이용하고자 한다. 이 분석모델은 ‘정치적 기회’와 ‘운동 역량’이라는 두 변수를 축으로 이 두 변수의 조합이 정책적으로 어떠한 결과 가져오는가를 분석할 수 있는 틀로서 본 논문에서는 시민운동 결과와 정책적 영향력을 네 가지 유형(1. 완전수용, 2. 타협적 수용, 3. 배타적 수용, 4. 완전배제)으로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위 분석모델의 틀 안에서 사할린 한인 문제가 본국으로의 귀환이라는 결과에 이르기까지 NGO의 역할이 확대되어가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 번째로는 사할린 한인 귀환 문제에 대한 NGO들의 역할을 보면, 초기의 이들의 요구와 주장은 4번 유형(완전배제)으로 정책에서 ‘완전 배제’되어 있는 상태에 있다가 3번 유형(배타적 수용)으로 배타적으로 수용되기 시작하여 제한적으로 수용되었다. 이후 ‘한-일 적십자사’와 ‘의원간담회’의 본격적이고 실질적인 활동으로 옮겨가면서 정부 간의 협상을 이끌어 내어 1번 유형(완전수용)으로 NGO들의 요구가 정책에 완전수용 되었음을 알 수 있다. 두 번째로는 이러한 사할린 한인 문제에 있어 NGO들의 역할에 의한 정책의 변화는 NGO만의 힘이 아니라 국제 정세의 변화와 같은 정치적 기회의 확대와 운동 역량의 강화가 동시에 작용한 결과로서 정부 간의 새로운 협상을 이끌어냈다는 점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cess of expanding the role of NGOs, which were formed in the 1950s and carried out various urging activities in the 1990s, in the issue of ‘Repatriation of Koreans to Sakhalin’. Paying attention to the fact that, despite the vigorous demands and urging of NGOs in the 1970s and 1980s, the issue of the repatriation of Koreans to Sakhalin made rapid progress from the 1990s, the movement capacity of NGOs and their activities and the issue of repatriation were shared by each government. Analyze the relevance of political opportunities that have emerged as the negotiating agenda. As a framework for the analysis, we intend to use the ‘Policy Impact Analysis Model of Citizen Movements’ presented by Kim Sunmi. This analysis model is a framework that can analyze the policy results of the combination of these two variables, centered on two variables, ‘ political opportunity’ and ‘exercise capacity’, and is a framework for analyzing the results of civic movement and policy influence into four types (1. Complete acceptance, 2. Compromise acceptance, 3. Exclusive acceptance, 4. Complete exclusion). In this study, within the framework of the above analysis model, the process of expanding the role of NGOs until the result of the Sakhalin Korean issue returning to their home country was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looking at the role of NGOs in the issue of the return of Koreans to Sakhalin, their demands and arguments in the early stage were Type 4, in a state of being ‘completely excluded’ from the policy, and then being exclusively accepted as Type 3. started with limited acceptance. Since then, it can be seen that the demands of the Type 1 NGOs were fully accepted in the policy as they moved to the full-scale and practical activities of the ‘Korea-Japan Red Cross’ and the ‘Meetings of Parliamentarians’, leading to negotiations between the governments. Second, it was derived that the policy change due to the role of NGOs in this Sakhalin Korean issue led to negotiations between the new governments as a result of the simultaneous action of expansion of political opportunities and strengthening of exercise capacity, not just the power of NGOs.

      • KCI등재

        과학영재 진로결정을 지원하는 교사 활동에 대한 실태조사

        강정하(Kang Jungha),이병임(Lee Byung 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5

        본 연구는 영재학교 및 과학고 교사의 진로 지원 활동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하여 그 적합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6년 12월, 전국 28개(전수) 영재학교 및 과학고에서 과학영재의 진로 안내 및 심리상담 지원해 온 교사(단위학교별 10명 내외)를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진행되었다. 총 193명 교사의 자료가 취합, 분석에 투입되었으며, 자료 분석은 ‘과학영재 진로결정 개념모델’(강정하, 권경아, 석혜은, 2017)을 분석틀로 활용하여 3요소 9요인에 대한 빈도 분석과 질적 분석이 진행되었다. 결과, 과학(예술)영재학교와 과학고 교사가 과학영재의 진로결정 시 가장 주요하게 고려하는 것은 학생 요소의 의사결정 요인과 역량 요인이며, 요소별로는 다음과 같았다. 학생 요소에서는 학생의 지적 역량 요인, 학교 교육활동 요인, 교육기관 요소에서는 학업활동 요인(교과활동, 연구활동, 성취활동), 특별활동 요인(진로심리상 담활동), 자원 요인(교사중심, 개인정보), 환경 요소에서는 조력자 지원 및 인적 네트워크 요인(학부모 진로상담, 학부모 자녀심리 상담 운영, 지원; 선배 및 졸업생 네트워크 구축)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는 과학영재가 미래 지식창출자로 지속성장 하는데 충분히 지원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eachers’ activities of the career guidance and psychological counseling are appropriate for sustainability of future scientists. To do this, we collected data from 28 participating institutions and 193 teachers. The method of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frequency analysis and qualitative analysis. As a result, first, in the whole the most important factors are decision making factor and student competency factors. Second, in the student component the most important factors the teachers have thought are academic competencies and experience. Third, in the education institute component the teachers are also working on academic activities, special career activities, and data collection. The last, in the environmental component the teachers have thought are helpers and human networ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