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자궁내막증 환자의 복강 액내 IL-6와 TNF-α의 변화 양상에 관한 연구

        강정배,이영경,Kang, Jeong-Bae,Lee, Young-Kyeong 대한생식의학회 2006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3 No.1

        목 적: 자궁내막증과 이로 인한 불임의 원인인 면역학적 인자 중 세포-매개성 면역계의 변화 양상을 규명하기 위하여 자궁내막증 환자와 자궁내막중이 없는 환자의 복강 액을 채취하여 면역 세포의 분포양상을 비교 분석하고자 IL-6와 TNF-${\alpha}$를 측정하였다. 연구방법: 자궁내막증으로 육안적 또는 조직검사로 확진된 환자 또는 불임검사를 위해 진단적 복강경을 시행한 34명을 연구군으로 등록하였으며 본 연구 이전에 자궁내막증과 관련된 어떠한 치료도 받은 적이 없거나 복강경 시술이나 개복수술과정에서 자궁내막증 소견과 증상이 없는 환자 37명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두 군의 복강 액을 추출한 다음 30분 이내에 $400g{\times}10$분 동안 원심분리 후 상층액만 검사용기에 모아 밀봉한 후 $-70^{\circ}C$ 냉동실에 보관하여 IL-6와 TNF-${\alpha}$의 농도를 "sandwich"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s (ELISA: R & D Systems, Minnepolis, MN)로 측정하였다. 결 과: 1. 복강 액의 IL-6의 농도는 자궁내막증으로 확진된 연구군에서는 $38.9{\pm}19.7pg/ml$으로 대조군의 $22.4{\pm}10.2pg/ml$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p=0.02), TNF-${\alpha}$의 농도도 자궁내막증이 있는 여성에서 $20.6{\pm}8.6pg/ml$로 대조군의 $6.2{\pm}3.5pg/ml$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0.01). 2. 자궁내막증여성의 생리주기별 농도에서 IL-6은 증식기보다 분비기에 유의하게 증가한 반면 (p=0.01), TNF-${\alpha}$는 차이가 없었다 (p>0.05). 3. IL-6은 가임여성보다 불임여성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p=0.03), TNF-${\alpha}$는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0.05). 4. IL-6과 TNF-${\alpha}$ 모두 대조군과 자궁내막증 병기 I과 II는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었으나 병기 III과 IV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0.05). 결 론: 자궁내막증인 환자의 복강 액에서 IL-6와 TNF-${\alpha}$가 증가하여 자궁내막증의 생성과 유지, 증상발현에 관여하며 불임의 유발 요인으로 여겨지나 향후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와 자궁내막증과 각종 cytokine과의 상호 연관관계에 대한 연구가 더 많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Objective: Our purpose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s of IL-6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in the peritoneal fluid of women with and without endometriosis and infertile women. Methods: This study is prospective and case-control study in University hospital, enrolled thirty-four women with laparoscopic findings of minimal to severe endometriosis, and thirty-seven women with no visual evidence of pelvic endometriosis and with benign gynecologic disease. IL-6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levels in peritoneal fluid were determined using commercial ELISA. IL-6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concentrations were compared among women with and without endometriosis, and with infertile and fertile women, and then also compared according the revised American Fertility Society classification. Results: IL-6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concentrations were higher than in the peritoneal fluid of women with endometriosis than in matched normal controls. Cyclic variations in IL-6 concentrations were seen in peritoneal fluid from patients with endometriosis: the concentrations in the secretory phas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proliferative phase. The concentrations were higher than among of infertile women than in fertile women.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IL-6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concentrations and endometriosis stage III and IV was noted. Conclusion: Increased levels of IL-6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in patients with endometriosis in the peritoneal fluid may be relate to the pathogenesis of endometriosis suggesting that partially contribute to the disturbed immune regulation observed in patients with endometriosis.

      • SCOPUSKCI등재

        자궁내막증이 있는 불임환자에서 복강액내의 Cytokine에 관한 연구

        강정배,박제용,김범,김성주,손우석,김현태,장봉림,Kang, Jeong-Bae,Park, Je-Yong,Kim, Bum,Kim, Sung-Joo,Sohn, Woo-Seok,Kim, Hyun-Tae,Jang, Pong-Rheem 대한생식의학회 2000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27 No.1

        Objective: The presence of the various cytokines in human peritoneal fluid has been evaluated incompletely. Changes in cytokine levels may be related to activation of peritoneal macrophage and T-lymphocyte, development of endometriosis, and infertility. This study assesses peritoneal fluid levels of interleukin-6 (IL-6), interleukin-8 (IL-8), interleukin-10 (IL-10)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in infertile women with endometriosis and normal women without endometriosis. Design: Prospective and case-control study in university hospital. Materials and Methods: Cytokine levels in peritoneal fluid obtained during laparotomy or laparoscopy from 21 patients in infertile patients with endometriosis and 24 controls undergoing laparotomy or laparoscopy with no evidence of pelvic endometriosis were determin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Results: The mean levels of interleukin-6 in infertile patients with endometriosis and controls were $72.7{\pm}23.7$ pg/ml and $18.5{\pm}9.7$ pg/ml respectively (p=0.02). Similarly, the mean levels of interleukin-8 in infertile patients with endometriosi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s ($445.0{\pm}89.6$, vs $45.1{\pm}48.4$, p=0.04). The mean concentration of interleukin-10 in infertile patients with endometriosi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controls ($1.09{\pm}0.04$ vs $2.19{\pm}0.03$, p=0.03). The level of tumor necrosis factor-${\alpha}$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study groups. Conclusions: Increased IL-6 and IL-8 and decreased IL-10 levels in the peritoneal fluid may be related to pathogenesis in the endometriosis and infertility, suggesting that partially contribute to the disturbed immune regulation observed in infertili women with endometriosis.

      • KCI등재

        자궁내막증환자 복강액의 세포-매개성 면역반응의 변화양상에 관한 연구

        강정배(Jeong Bae Kang),김현태(Hyun Tae Kim),김홍배(Hong Bae Kim),이근영(Keun Young Lee),강성원(Sung Won Ka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9

        목적: 자궁내막증과 이로 인한 불임의 원인인 면역학적 인자중 세포-매개성 면역계의 변화양상을 규명하기 위하여 자궁내막증 환자와 정상인의 복강액을 채취하여 면역세포의 분포양상을 비교분석하고자 IL-6와 TNF-α를 측정하였다. 연구방법: 자궁내막증으로 육안적 또는 조직검사로 확진된 환자 또는 불임 검사를 위해 진단적 복강경을 시행한 29명을 등록하고 본 연구이전에 자궁내막증과 관련된 어떠한 치료도 받은 적이 없거나 복강경 시술이나 개복수술과정에서 자궁내막증 소견과 증상이 없는 환자 28명을 대조군으로 하여 복강액을 추출한 다음 30분이내에 400g×10분동안 원심분리후 상층액만 검사용기에 모아 밀봉한후 -70℃ 냉동실에 보관하여 IL-6와 TNF-α의 농도를 “sandwich”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s (ELISA : R & D Systems, Minnepolis, MN)로 측정하였다. 결과: 1. 복강액의 IL-6의 농도는 자궁내막증으로 확진된 연구군에서는 41.9±21.7 pg/ml으로 대조군의 22.6±11.2 pg/ml보다 의의있게 증가하였고(p=0.01), TNF-α의 농도도 자궁내막증이 있는 여성에서 18.4±7.6 pg/ml로 대조군의 7.2±4.6 pg/ml보다 의의있게 증가하였다(p=0.02). 2. 자궁내막증여성의 생리주기별 농도에서 IL-6은 증식기보다 분비기에 의의있게 증가한 반면(p=0.01), TNF-α는 차이가 없었다(p>0.05). 3. IL-6은 가임여성보다 불임여성에서 의의있게 증가하였고(p=0.03), TNF-α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4. IL-6과 TNF-α 모두 대조군과 자궁내막증 병기 I과 II는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었으나 병기 III과 IV는 의의있게 증가하였다(p<0.05). 결론: IL-6과 TNF-α가 자궁내막증의 생성, 증식과 유지, 증상발현에 관여하며 기계적 폐쇄로 인한 배란장애와 난소이동의 장애, 수정력감소, 착상장애로 인해 불임이 유발되는 것으로 여겨지나 향후 많은 수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있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Our purpose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s of IL-6 and tumor necrosis factor-α in the peritoneal fluid(PF) of women with and without endometriosis and infertile women. Design: Prospective and case-control study. Setting: University hospital. Patients: Twenty-nine women with laparotomy or laparoscopic findings of minimal to severe endometriosis, and twenty-eight women with no visual evidence of pelvic endometriosis and with benign gynecologic disease. Main Outcome Measures: PF IL-6 and tumor necrosis factor-α levels were determined using commercial ELISA. IL-6 and tumor necrosis factor-α concentrations were compared among women with and without endometriosis, and with infertile and fertile women, and then also compared according the revised American Fertility Society classification. Results: IL-6 and tumor necrosis factor-α concentrations were higher than in the PF of women with endometriosis than in matched normal controls. Cyclic variations in IL-6 concentrations were seen in PF from patients with endometriosis: the concentrations in the secretory phas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proliferative phase. IL-6 concentrations were higher than in the PF among of infertile women than in fertile women.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F IL-6 and tumor necrosis factor-α concentrations and endometriosis stage III and IV was noted. Conclusions: Increased PF levels of IL-6 and tumor necrosis factor-α in patients with endometriosis may be relate to endometriosis-associated infertility and to the pathogenesis of endometriosis suggesting that partially contribute to the disturbed immune regulation observed in patients with endometriosis.

      • KCI등재
      • KCI등재

        자궁내막증 환자에서 복강내의 IL-6와 IL-10의 변화양상에 관한 연구

        이경석(Kyung Suk Lee),강정배(Jeong Bae Kang),김홍배(Hong Bae Kim),이근영(Keun Young Lee),강성원(Sung Won Ka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11

        목적: 자궁내막증과 이로 인한 불임의 원인으로 여겨지고 있는 면역학적 인자 중 세포 매개성 면역계의 변화양상을 규명하기 위하여 자궁내막증 환자와 정상인의 복강액을 채취하여 면역세포의 분포양상을 비교분석하고자 IL-6와 IL-10을 측정하였다. 연구방법: 1997년 10월부터 1998년 10월까지 한림대학교 산부인과를 방문하여 불임검사, 불임시술 또는 양성 골반 질환의 진단 및 치료를 목적으로 복강경 또는 개복술을 시행한 여성 57명을 대상으로 이들 중 육안적 또는 조직검사로 자궁내막증으로 확진된 29명을 연구군으로 나머지 자궁내막증의 증상과 소견이 없는 28명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두군의 복강액에서 IL-6와 IL-10을 ELISA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결과: 복강액의 IL-6의 농도는 자궁내막증군에서는 1320.3121pg/ml로 대조군의 1017113 pg/ml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p=0.03) IL-10의 농도도 자궁내막증군에서 1.090.04 pg/ml로 대조군의 2.190.03 pg/ml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0.03). 자궁내막증 여성의 생리주기별 농도변화는 IL-6는 증식기보다 분비기에 유의하게 증가한 반면 (p=0.02) IL-10은 차이가 없었다. 자궁내막증군 중에서도 IL-6는 가임여성보다 불임여성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p=0.03) IL-10은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자궁내막증의 병기에 따른 IL-6와 IL-10의 농도를 각각 비교한 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결론: 자궁내막증 환자의 복강액에서 세포매개성 면역변화로 IL-6가 증가하고 IL-10은 감소하며 이러한 사이토카인의 변화가 자궁내막증의 생성과 진행, 증상발현에 관여하며 기계적폐쇄로 인한 배란장애와 난소이동의 장애, 수정력 감소, 착상장애로 불임이 유발되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들 면역계통의 변화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리라 여겨진다. Objective: Endometriosis is a disease affecting a large population of women all over the world. A local sterile inflammation occurs in the peritonel cavity of patients with endometriosis. It suggests that immunological events play a major role in the pathogenesis of endometriosis. We have studied the levels of serveral T cell and monocyte derived cytokines, especially IL-6 (promoter of immune response) and IL-10 (inhibitor of immune response), in the peritoneal fluid of patients with endometriosis to characterize the change of immune response that occurs at the site of endometriosis. Method: This study was performed in Hallym university hospital from October, 1997 to October 1998 and enrolled 29 women with gross or microscopic findings of minimal to severe endometriosis in case group, and 28 women without visual evidence of pelvic endometriosis and with benign gynecologic disease in control group. IL-6 and IL-10 levels in the peritoneal fluid were determined using commercial ELISA and compared between endometriosis and controls and between fertile and infertile women with endometriosis and according to the revised American Fertility Society classification. Result: IL-6 was higher and IL-10 was lower in the peritoneal fluid of endometriosis group than of control group. Cyclic variations in the IL-6 concentrations were seen in endometriosis group : the concentrations in the secretory phas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proliferative phase. In endometriosis group, IL-6 concentrations of infertile women were higher than fertile women. Both IL-6 and IL-10 in the peritoneal fluid of endomtriosis group did not show significant correlation according to r-AFS stages. Conclusion: Increased IL-6 and decreased IL-10 levels in the peritoneal fluid may be related to infertility and pathogenesis in the endometriosis, suggesting that partially contribute to the disturbed immune regulation observed in endometriosis.

      • KCI등재
      • KCI등재

        골반내 수술 기왕력이 있는 환자에서 질식 자궁적출술 212 예의 임상적 특성 및 수술기법에 관한 연구

        박제웅(Jae Eung Park),김종렬(Jong Ryoul Kim),강정배(Jeong Bae Kang),김홍배(Hong Bae Kim),이근영(Keun Young Lee),강성원(Sung Won Ka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8

        목적: 골반내 수술 기왕력이 있는 환자를 질식 방법으로 자궁적출술시 안전성과 가능성을 연 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1990년 1월부터 1997년 1월 사이 본원에서 골반내 수술 기왕력이 있는 212예에서 질식자궁적출술을 시행하여 후향적 의무기록지를 중심으로 수술적 어려움, 제왕절개술을 포함한 골반내 수술 기왕력, 합병증, 수술시간, 입원기간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대상의 환자의 평균연령은 44.5±6.6세였으며 평균 분만력은 2.3이었고 평균 입원기간은 7.5±0.89일이었다. 자궁의 크기가 크거나 적출시 어려움 등으로 자궁세절술이 필요한 경우는 24.5%(52/212)이었고 동반된 수술을 포함한 평균 수술시간은 82±16.2분이었고 적출된 자궁의 평균 무게는 164±85.1gm이었다. 212예의 골반내 수술 기왕력이 있는 환자군중 제왕절개술이 45% (95/212)로 가장 많았으며 질식자궁적출술의 가장 흔한 적응증은 자궁근종으로 51.9%(110/212)를 차지하였으며 전방 더글라스와를 통하여 복막을 개방할때 인지를 통하여 무딘 박리로 쉽게 복막에 접근할 수 있는 경우는 기왕제왕절개술에서 52예(24.5%), 그외 골반내 수술력에서는 112예 (52.8%)였고, 예리한 박리후에 복막에 접근한 경우는 기왕제왕절개술에서 43예(20.3%), 그외 골반내 수술력에서 5예(2.4%)였고 후방 더글라스와를 통하여 복막을 개방할 때는 인지를 통하여 쉽게 무딘 박리로 복막에 접근할 수 있는 경우는 190예(89.6%)였고, 예리한 박리가 필요한 경우는 22예(10.4%)였다. 상기 환자군의 합병증을 보면 방광손상의 1예(0.5%)와 수술후 혈종이나 출혈로 수혈이 필요한 6예(2.8%)를 제외한 나머지는 다소 경미한 합병증으로 열증이 15예(7.1%)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방광저류가 11예(5.2%)을 차지하였으며 수술후 출혈으로 인한 혈성 복막염으로 재개복술을 시행한 예는 없었다. 결론: 골반내 기왕수술력은 질식자궁적출술의 절대적 금기증이 아니며 술자의 경험과 환자선택이 중요한 요소로 생각되며 수술시 조심스럽고 예리한 박리를 통하여 수술부위의 정확한 조직의 층을 찾는다면 불필요한 삼출성 출혈이나 추가적인 수술시간의 지연없이 질식자궁적출술을 안전하고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 To determine whether hysterectomy by the vaginal route is safe and feasible in patients with previous pelvic operation. Methods : A retrospective study of the records of Hallym University Hospistal patients who underwent vaginal hysterectomy performed by the senior author. Between January 1990 and January 1997, 212 patients who had previous pelvic operation were studied with special reference to operative difficulties, previous operation type, intraoperative complications, surgical time, hospital stay. Results : 1. Patients characteristics was that ; The average age was 44.5±6.6 years old, the average parity was 2.3 , the average stay of hospitalization was 7.5±0.89 days, the frequency of Morcellation was in 24.5%, the average surgical time including associated procedure was 82±16.2 minutes, the average uterine weight was 164±85.1gm. 2. The most common previous pelvic operation was cesarean section(95 cases). 3. The most common indication was uterine myoma(51.9%). 4. Surgical technique used to gain access to the pouch of Douglas was done anteriorly; 52 patients of previous cesarean section(24.5%) and 112 patients of others operation(52.8%) were easily opened by blunt dissection, 43 patients of previous cesarean section(20.3%) and 5 patients of others operation(2.4%) were required sharp dissection. posterioly ; 190 patients(89.6%) were easily opened by blunt dissection, 22 patients(10.4%) were required sharp dissection. 5. Significant complications were bladder injury(1 case) , postoperative transfusion due to bleeding(6 cases). No cases of postoperative laparotomy was done and other minor compications were fever(15 cases), bladder retention(11 cases), others. Conclusions : It was possible to perform vaginal hysterectomy safely in patients with previous pelvic operation. Vaginal hysterectomy remains the method of choice for removal of the uterus of the previous pelvic operations in the absence of other contraindi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