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디 페르소나`와 진정성 문제

        강은아 ( Kang Euna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6 人文論叢 Vol.73 No.4

        본 글은 우디 앨런 영화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인물상인 `우디페르소나`를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고, 이를 통해 우디 앨런의 영화세계를 이해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우디 페르소나는 첫째, 희극적 측면에서 슐레미엘과는 달리 광대이길 실패한 광대이다. 그는 행위에 무능한 대신에 농담을 한다는 점에서 유대 전통의 광대 캐릭터인 슐레미엘적 특성을 공유하나, 그의 농담하는 지성은 현실을 자신의 희망에 따라 주관적으로 변형시키지 못하고 더욱더 객관적으로 보게 만들며, 이것이 그의 농담에 더욱 깊이를 부여한다. 둘째, 관계적 측면에서 우디 페르소나는 소위 지적 자본을 가진 중산층의 남성들과 경쟁적인 관계에서 실패할 운명이지만, 그 대신에 소수의 지적인 여성에게 자신의 도덕 및 가치관을 전수하는 교육자의 역할을 한다. 셋째, 우디 페르소나는 삶의 의미를 개개인의 몫으로 맡겨버리는 개인주의적 세계에서 자신의 진정성을 찾고자 배타적으로 헌신하는 인물로, 그의 실패는 현대 사회의 진정성 모험에 숨어있는 모순들을 드러낸다. 그러나 후기 우디 앨런의 세계에서 우디 페르소나는 주변화되고 우디 페르소나가 밀려난 속물들의 세계를 다루는 방향으로 변모한다. In this essay, I would like to conceptualize the so called `Woody Persona` in three aspects. First, as a comic character like schlemiel, `Woody Persona` has inefficient power to change the world. But unlike schlemiel, his intellect makes it incapable to create illusion which is favorable to himself or his hope. Rather, his intellect sees reality more pessimistically and so becomes an origin of his joke. Second, `Woody Persona` has competitive relation with his homosexual, middle class intellectual colleagues, but to a few women, instead, he passes down his knowledge, ethics, philosophy etc. as a teacher. Third, Woody Persona dedicates himself to find his authenticity in his individualistic world and his failure reveals the problems or the absurdity of the so called `Finding Authenticity Project.` Since Match Point, however, `Woody Persona` becomes more and more marginalized and Woody Allen film begins to present world of snobs more directly.

      • KCI등재

        정서표현중심 분노조절프로그램이 이혼가정 남자청소년의 분노와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강은아(Kang Euna),김미옥(Kim Miok),이봉은(Lee Bongeu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5 열린교육연구 Vol.23 No.1

        본 연구는 이혼가정 남자청소년을 대상으로 정서표현중심 분노조절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분노와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부모의 이혼을 경험한 B 광역시 B 기계공업고등학교 2학년 남학생을 대상으로 정서표현중심 분노조절프로그램 참여 희망자를 모집하였고, 참여를 희망한 학생 중에서 20명을 선발하여 10명을 실험집단으로 나머지 10명을 통제집단으로 배정하여 주2~3회 60분씩 총 10회기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전, 후 집단 간 분노와 대인관계 검사의 사전, 사후 검사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고 실험집단의 최종소감문, 연구자의 관찰기록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정서표현중심 분노조절프로그램에 참여한 이혼가정 남자청소년이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이혼가정 청소년보다 분노수준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둘째, 정서표현중심 분노조절프로그램에 참여한 이혼가정 남자청소년이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이혼가정 남자청소년보다 대인관계 능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anger-control program, based on emotional expression on the anger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male adolescents from divorced families. In order perform this study, test subjects were recruited from amongst sophomores in‘B’technical high school who had experienced divorce in their family. From these sophomores, twenty subjects were selected from those candidates who had applied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The group of twenty test subjects was divided into two groups: ten subjects were selected as the experiment group, and ten were designated as the control group to perform the study. These two groups were treated to ten sessions of the program. Pre and post-test of anger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program for both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WIN18.0 program, and ANCOVA(analysis of covariance) was conducted on post-test scores to verif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holding pre-test scores as covariate.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anger-control program based on emotional expression was effective in controlling anger of adolescents from divorced families. It was also noted that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was identified.

      • KCI등재

        칸트의 우정론은 우정에 반하는가?

        강은아 ( Kang Euna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20 철학연구 Vol.0 No.62

        본고에서 내가 다루는 질문은 ‘칸트 우정론이 현대에도 설득력을 갖는가’이다. 이를 위해 나는 현대의 관점에서 칸트 우정론에 제기되는 두 가지 의문을 검토한다. 첫 번째 의문은 ‘친구 간에 사랑과 존경의 상호성과 평등을 요구하는 것은 우정 관계의 친밀성을 파괴하는가?’이고, 두 번째 의문은 ‘정말로 우정에 사랑만큼이나 존경이 요구되는가?’이다. 첫 번째 의문에 답하기 위해 나는 칸트의 우정 규정에 대한 친밀성 반론들을 검토할 것이다. 이 반론들 중 일부는 칸트 우정론의 성격에 대한 오해에서 나온 것이고, 일부는 친밀한 관계에서의 감정에 대한 제한이 불필요하다는 생각에 기반한다. 이는 두 번째 의문에서 다뤄진다. 두 번째 의문에 답하기 위해 나는 인간관계에서 사랑과 존경이 반대 작용을 한다는 칸트의 이론을 검토하고, 존경이 인간관계에서 수행하는 역할을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이를 통해 우정에 존경이 요구된다는 칸트의 입장을 평가해볼 것이다. 나의 결론은 칸트 우정론이 친밀성 및 사랑에 대한 현대인의 지나친 낭만화를 재고할 만한 설득력 있는 관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현대에도 설득력을 갖는다는 것이다. The question I deal with in this essay is, ‘Is Kant’s friendship theory convincing to our contemporary age?’ To answer this question, I examine two problems raised in Kant’s friendship theory. The first is ‘Does calling for the reciprocity and equality of love and respect among friends destroy the intimacy of friendship?’ and the second is ‘Does friendship really need respect as much as love?’ To solve the first problem I will review counter-arguments based on intimacy against Kant’s two friendship notions. Some of these counter-arguments come from misunderstanding about the status of Kant’s friendship theory, while others are based on the idea that restrictions on emotions in intimate relationships are entirely unnecessary. This is addressed in the second question. To solve the second, I will present Kant’s understanding of the dynamics of love and respect in human relationship, of the role of respect here, and, then, I would evaluate Kant’s demand of respect in his friendship theory. My conclusion is that Kant’s friendship theory is persuasive to our age, given that it provides a convincing perspective to reconsider the excessive romanticization of modern intimacy and love.

      • KCI등재

        선의지는 개별 의도인가 성격인가 『도덕형이상학 정초』를 중심으로

        강은아 ( Kang Euna )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4 人文科學 Vol.130 No.-

        본 논문에서 나는 선의지에 관한 개별 의도 해석을 반박하고 성격 해석을 옹호함으로써 『정초』 1절의 논의에서 선의지 개념이 차지하는 자리를 밝히고자 하였다. 결론은 보편화가능한 원칙을 자기 행위의 준칙의 원리로 삼겠다는 행위자의 의지의 성격이 선의지라는 것이다. 선의지가 행위 시에 발휘되는 개별 의도라는 해석은 선의지라는 요소가 왜 다른 정신 능력 요소들과 비교해 특별한 가치를 갖는지를 설명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선의지를 무제한적인 가치를 설명하지 못한다. 반면, 선의지를 선한 원칙을 채택하는 행위자의 의지의 성격으로 해석하면, 행위의 도덕적 가치의 원천을 설명하며, 이로부터 개별 행위와 이를 실행하는 행위자가 채택한 원칙을 분리하여 고찰할 여지가 생긴다. 의무로부터의 행위의 도덕적 가치는 선의지의 무제한적 가치로부터 나오지만, 선의지를 가진 행위자가 언제나 의무 동기에 따라 행위하도록 보장하는 것은 아니다. 인간 의지는 언제나 자신이 채택한 선한 의지를 개별행위에서 관철하기 위한 투쟁 중에 있는 것이다. I would clarify the position of concept of good will in the discussion in Section 1 of Groundwork by refuting the particular intention interpretation and advocating for the character interpretation of goodwill. The conclusion is that goodwill is the character of an agent's will to adopt the principle that his maxim of action is ruled by a universalizable principle. The interpretation that good will is a particular intention exercised in each action cannot explain the unlimited value of good will in that it does not explain why good will as an element has such a special value compared to other elements of mental abilities. On the other hand, interpreting good will as the character of the agent's will to adopt good principles explains the source of the moral value of an action, and fromthis, there is roomfor separate consideration of a particular action and the agent’s principle of action. The moral value of an action fromduty comes fromthe unlimited value of good will, but it does not guarantee that a person of good will would always act from duty. Human will is always in the midst of a struggle to realize the good will one has adopted by doing particular a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