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만성 전기경련충격이 흰쥐 해마에서 NMDA 수용체 아단위 발현에 미치는 영향

        강웅구,조경형,구영진,안용민,주연호,노명선,김용식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3 신경정신의학 Vol.42 No.4

        연구목적: N-methyl-D-aspartate (NMDA) 수용체는 시냅스 가소성 등과 관련하여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기능적 NMDA 수용체는 몇가지 아단위의 복합체인데, 뇌에는 이들 아단위중 NR1, NR2A 및 NR2B가 풍부하다. NMDA 수용체의 기능은 단백질 인산화 및 발현양 변화에 의해 조절된다. 이 연구에서는 항우울 및 항정신병 효과를 갖는 반복적인 전기경련 충격이 NMDA 수용체 아단위 발현양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흰쥐 해마에서 관찰하였다. 방법: 수컷 Sprague-Dawley 흰쥐에게 1, 5, 10 일간 매일 전기경련 충격(Electroconvulsive shock, ECS)을 주고, NR1, NR2A, 및 NR2B의 발현양을 해마에서 면역블롯 법으로 관찰하였다. 결과: NR1 및 NR2A 아단위의 양은 ECS 횟수에 따라 증가하였지만, NR2B의 발현양은 ECS에 의해 조절되지 않았다.

      • KCI등재

        정신과전공의 수행평가 5년간의 분석과 전망

        강웅구,구민성,서호석,윤보현,이경욱,전덕인,정성훈,정한용,최종혁,정인원,정성훈,하태현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9 신경정신의학 Vol.48 No.5

        Objectives: The in-training examination (Performance Examination, PE) for psychiatric residents in Korea was launched 5 years ago by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KNPA). This article analyzes 5-year accumulated data on the PE, and tries to make some suggestions for further development of the PE. Methods: The 5-year data, previously utilized for the generation of formal annual reports were reanalyzed, with an emphasis on longitudinal trends. ResultsZZThe analyses indicated the following;1) Higher-year residents earned definitely higher scores than their lower-year colleagues on the PE. This trend was especially prominent in the area of psychopharmacology-biological psychiatry, geriatric psychiatry,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and the emergency-organic psychiatry. There was no year-related performance difference in the area of psychoses. 2) In the area of anxiety-somatization disorder, psychophysiological disorder, and geriatric psychiatry, the residents in the university-affiliated hospitals outperformed those in the specialized psychiatric hospitals. 3) Through analyzing multiple-times examinees, it was found that their first-and second-time performances were moderately correlated, and that their ranks tended to improve, demonstrating a continuously improving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training year. Conclusion: These result suggested that the KNPA PE is a feasible measure for the estimation of an individual resident’s performance as well as the adequacy of the environment provided by the training institutes. 정신과전공의 수행평가는 비교적 최근 시작되어 2009년에 제5회 시험을 시행하였으며, 향후 새로운 발전 및 변화가 필요하다는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수련위원회는 지난 5년간의 수행평가를 정리-분석하여 향후 논의를 위한 토대로 삼기 위해 이 논문을 작성하게 되었다. 논문 작성을 위해 지난 5년간의 수행평가 관련 공식자료를 취합하고, 종적 변화에 대한 자료를 새로이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 소견을 얻었다. 1) 연차별로 수행능력의 차이가 있어서, 고년차로 갈수록 성적이 향상되는 것이 뚜렷이 관찰되었다. 그런 경향은 특히 정신약물학-생물학적 기초, 노인 정신의학, 소아 정신의학 및 응급정신의학-기질성 장애 분야에서 잘 나타났다. 정신증 분야에서는 저년차와 고년차간 수행능력에 차이가 없었다. 2) 수련기관의 형태별로 수행능력의 일부 차이가 있어서, 불안장애-신체형 장애, 정신생리장애 및 노인정신의학 분야에서 대학병원이 정신과전문병원보다 높은 성적을 보여주었다. 3) 중복수험자의 성적 분석 결과, 2회의 성적 간에 연관성은 있지만, 연차가 올라갈수록 수행능력이 증가하는 경향도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정신과전공의 수행평가가 전공의 개인의 현재 수행능력 및 수련에 따른 능력 향상, 수련기관별 강점 및 취약성 등을 보여주는 지표로 활용가능 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서 전공의 개인은 및 수련기관 모두 자신의 취약점과 강점을 이해하고 보완함으로써 더 개선된 정신과 전공의 수련을 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KCI등재
      • KCI등재

        클로나제팜 사용의 현실적 문제들

        강웅구,김세현,최영숙,이규영,김용식,정인원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23 신경정신의학 Vol.62 No.1

        Clonazepam, a 7-nitrobenzodiazepine, has been used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neuropsychiatric disorders such as seizures, sleep disorders, panic disorders, anxiety, and movement disorders. However, clonazepam is officially approved as a therapeutic drug only for epilepsy and panic disorders in Korea. This raises ethical issues in clinical practice, as clonazepam is prescribed off-label for most neuropsychiatric disorders in many other countries as well. The misuse and abuse of clonazepam as a recreational drug have also been commonly reported in global literature. In this review, as a therapeutic drug as the authors aim to highlight the pharmacological aspects, clinical effects, and potential addictive risks of clonazepam use, by reviewing the current literature on clonazepam to increase its clinical use by accurately understanding and identifying its psychopharmacological benefits and characteristics. However, establishing the risk/benefit ratio of clonazepam for use in specific clinical situations is difficult because of the lack of adequate updated data. Therefore, the use of clonazepam needs to be approached from the point of view of personalized drug treatment rather than following fixed guidelines which would not reflect the current real-world clinical practices.

      • KCI등재

        정신과 진단체계에 대한 역사적 고찰 : 우울증 개념을 중심으로

        강웅구,김혜수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14 신경정신의학 Vol.53 No.5

        Today’s diagnostic criteria are based on consensus, however, they are still incomplete and being changed. These unstable but temporarily dogmatic criteria have been constraining the thinking of individual psychiatrists, and invalidating painful scientific achievements based on previous ones. The limitation of the criteria system appears especially clear concerning depression due to the ambiguity of its definition. Therefore, the aim of this article was to review the history of various concepts of depression and to compare this to today’s tendency, which attempts to consolidate diversity. In addition to all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DSM), Inter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ICD)-9, ICD-9-CM, and ICD-10 were centrally discussed. Classic descriptions of depression were extracted from reviews of classic literature, and some salient concepts and the process by which they had been integrated, divided, and newly proposed was traced. The descriptions of depression whose prototype had been melancholia have experienced significant conceptual changes through DSM-IV and the most recent DSM-V ; they impose tasks that are yet to be resolved. Among them, whether various depressive syndromes are diverse phenotypes of one disorder or they all represent different disorders could be regarded as the most fundamental problem. In order to conduct fruitful studies and to ensure proper treatment of every patient, more precise nosologic understanding of depression must be pursued. 우울증(depression)과 관련된 질병분류학(nosology)은 시대가 지나면서 많은 변화를 겪어 오늘날에 이르렀다. 우울증은 정신과에서 매우 흔히 보는 질환이어서 정신의학 전공자면 누구나 잘 알고 있는 것 같지만, 우울증이라는 용어는 정신의학의 맥락과 관계없이 일상 언어로도 흔히 사용될 만큼의미가 불분명하고 그 임상양상은 한 마디로 정의하기 어려울 정도로 다양하다. 증상의 종류, 심한 정도 및 경과, 유발요인, 유전성, 병발하는 증상들, 치료 반응 등에서 다양한 우울증들은 큰 차이가 있지만, 현재의 분류체계는 이런 다양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다양성을 구분하지 않는 것은 질병분류라는 이론적 측면을 떠나서 개별 환자별 맞춤 치료계획을 수립하는 데에도 문제가 된다.1,2) 우리가 현재 우울증이라고 부르는 큰 카테고리 안에는 고전적 개념 중 (1) 멜랑콜리아, (2) 조울증, (3) 단극성 우울증, (4) 우울신경증, (5) 우울성(정동성) 인격 등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이들을 포괄하는 우울증에 대한 다양한 개념의 역사를 살펴보려한다. 주 초점은 우울증을 독립적인 몇 가지의 증후군으로 나누어보려 했던 과거의 입장과, 차원적 관점에서 다양성을 통합하려는 오늘날의 추세를 비교하는 것이다. 우울증의 역사를 탐색하다 보면 조증의 역사에 대해서도 공부하지 않을 수없지만, 조증에 대한 논의는 꼭 필요한 부분에만 국한할 것이다. 또한 이 논문의 논의에 대한 보조 자료로서 DSM 및 InternalClassification of Diseases(이하 ICD) 시스템에서 우울증 분류 변천과정을 별첨하였다.

      • KCI등재

        벤조디아제핀: 약리학의 최신지견 및 현실적 문제

        강웅구,김세현,이남영,이규영,김용식,정인원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23 신경정신의학 Vol.62 No.1

        Benzodiazepines have been widely used as anxiolytics, sedatives, hypnotics, anticonvulsants, or central muscle relaxants since the 1960s despite significant adverse effects, the potential for misuse, and consequent overdose. Benzodiazepines exert their pharmacological action by binding to gamma-aminobutyric acid type A (GABA-A) receptors in the brain and facilitateing the inhibitory actions of the neurotransmitter GABA. Recent findings have also elucidated the effects of benzodiazepines on the allosteric modulation of GABA-A receptors, including receptor subtypes and transmembrane proteins, which is a significant step in our understanding of GABA pharmacology. In clinical practice, the use of benzodiazepines to treat psychiatric disorders has been limited due to the challenges associated with the long-term use, namely the risks of abuse, misuse, and overdose, as well as withdrawal effects. Furthermore, the approval of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for anxiety disorders has led to their extensive use as a first-line pharmacological option and they have also been promoted in various practice guidelines for the treatment of anxiety disorders. However, although recent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have shown that benzodiazepines are useful and effective drugs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neuropsychiatric disorders, including anxiety, debates over the clinical use of benzodiazepines continue. More than 60 years after the introduction of benzodiazepines in clinical practice, it is necessary to revisit the controversies associated with benzodiazepine use and to update the discussion current approach to practice with thethrough an understanding of the new data on their pharmacological actions and to identify appropriate indications according to the new diagnostic systems of psychiatric disorders through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