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수학교 보완대체의사소통(AAC) 환경 구축 연구: 정서·행동장애 J 학교를 중심으로

        강영모,임영숙,배은지,오혜령,유우승,이서정,주교영,황석상,손승현 국립특수교육원 2023 특수교육연구 Vol.3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n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environment that provides visual communication settings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a special school. The school-wide AAC research team developed picture symbols specific to J school, installed AAC labels for classrooms and special classrooms, developed materials for teaching AAC, and installed floor maps using AAC.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according to a survey on parental awareness and needs related to AAC, the survey showed that parents had a strong interest in AAC and considered communication teaching urgent. Secondly, the AAC research team developed and installed 56 picture symbols, 134 AAC labels for classrooms and special classrooms, 14 materials for teaching AAC, and 5 floor maps as part of their efforts to establish an AAC environment.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establishing and developing AAC environments in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an improve communication more effectively and efficiently within the school. 본 연구는 특수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발달장애 학생들에게 보다 시각적인 의사소통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정서·행동장애 J 특수학교에 보완대체의사소통(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이하 AAC) 환경을 구축한 연구이다. J 학교의 AAC 연구팀은 학교 구성원의 의견을 반영하여 J 학교의 그림상징 개발, 학급 및 특별실 AAC 표찰 제작, AAC 교수·학습 자료 개발, AAC 층별 안내 제작 절차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AC 관련 학부모 인식 및 요구를 살펴본 결과 J 학교의 학부모들은 AAC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으며 특히 학교 환경에 의사소통 기술을 가르치는 요소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둘째, AAC 연구팀은 최종적으로 그림상징 56종, 학급 및 특별실 AAC 표찰 134개, AAC 교수·학습 자료 14개, 층별 안내 5종을 개발 및 설치하여 특수학교에 AAC 환경을 구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특수학교에 AAC 환경을 구축한 사례를 꾸준히 확대해 간다면 발달장애 학생들이 더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학교 환경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전략교수와 자기점검을 활용한 직업교육이 특수학교 전공과 발달장애 학생의 상자조립 기술에 미치는 효과

        강영모,장진경,손승현 한국발달장애학회 2022 발달장애연구 Vol.2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vocational education using strategic instruction and self-monitoring on the box assembly skill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3 post-secondary students in special school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a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participants. The target behavior was box assembly skills by manipulating patterns in order. The intervention was a vocational education that teaches ‘1-2-3-4! strategy’ necessary for box assembly using strategic instruction and self-monitoring. The data were collected by observing the recorded video and then measuring the assembly work and occupational time for assembling boxes. The effects of vocational education were visually analyzed focusing on the level, trend, immediacy of the effects, and PND (percentage of non-overlapping data), and the effect size was calculated by the Tau-U value.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vocational education using strategic instruction and self-monitoring improved the box assembly skill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 effect size was high. If the strategic instruction and self-monitoring used in this study are implemented in post-secondary courses of special school, more effective vocational education can be provided. 본 연구는 전략교수와 자기점검을 활용한 직업교육이 발달장애 학생들의 상자조립 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특수학교 전공과 학생 총 3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고 대상자 간 중다간헐기초선설계를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목표행동은 순서에 맞게 도안을 조작하는 상자조립 기술이며 중재는 전략교수와 자기점검을 활용하여 상자조립에 필요한 ‘1-2-3-4! 전략’을 가르치는 직업교육이다. 녹화된 영상을 관찰한 뒤 상자조립 작업량과 작업시간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자료를 수집했다. 직업교육의 효과는 수준, 경향, 효과의 즉각성, 그리고 PND를 중심으로 시각적으로 분석하였으며 효과 크기는 Tau-U값을 산출하여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전략교수와 자기점검을 활용한 직업교육은 발달장애 학생의 상자조립 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었고 효과 크기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전략교수와 자기점검 전략을 특수학교 전공과에서 확장해 간다면 더 효과적인 직업교육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한국의 사물인터넷 적용 사례에 관한 연구

        강영모,조희훈,한경석 디지털저작권학회 2017 디지털저작권연구 Vol.6 No.1

        시대의 흐름과 '창조 경제'실현의 핵심 수단으로서 한국 정부는 지난 5월, 인터넷과 관련된 분야를 국가 전략으로 채택하여 초고속 연결 디지털 혁명 실현을 위한 인터넷 기본 계획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소프트웨어 (SW), 센서, 기기 및 부품의 경쟁력 강화 전략을 수립하여 IoT(Internet of Things) 서비스 및 제품을 창출하고 혁신, 그리고 계획 단계에서부터 IoT의 서비스와 제품의 보안 내부화를 촉진할 수 있다. IoT 시장 규모는 2 조원, 3 조원, 30 조원으로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인터넷 환경은 사람들과 같이 모든 사물의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계 하여 정보를 생성, 상호 수집, 공유 및 활용하는 것을 말한다. (센서) - 수집 (부품, 장치) - 정보 공유 (클라이드) - 정보 활용 능력 (빅 데이터) - 응용 소프트웨어 (SW) 등 모든 기술 및 서비스가 시장에 포함된다. IOT는 일자리 증가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대중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이제는 기업 간의 비즈니스에서 전문 용어가 되었다. 미래의 IoT 시장은 성장하는 경향이 있는 사회 기반 시설 (유틸리티, 운송, 자동화 등) 및 안전 관리 부문의 라이프 스타일 서비스를 중심으로 소비자 부문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정교한 무선 통신 기술은 모든 객체 유닛을 통신 기능을 통해 연결함으로써 거대한 네트워크를 만들 것이다. With the stream of times and as the key means of realizing 'creative economy,‘ Korean government adopted the sector of things of internet as a national strategy and released their basic plan of things of internet’ for the realization of the hyper-connectivity digital revolution last May. To catch up with this, the government set a strategy to reinforce the competitiveness of software (SW), sensors, devices, and components, to foster the special enterprises that will create services and products of Internet of Things (IoT) and that will lead the innovation, and to promote security internalization of services and products of IoT from the stage of planning. The IoT market expected to grow from \ 2 trillion and 300 billion to \ 30 trillion refers to the internet environment of generating, mutually collecting, sharing, and taking advantage of information in connection with wired or wireless networks of all the things, such as people, things around, data, etc. The market include all the technologies and services for information generation (sensor) - acquisition (parts, devices) - information sharing (Clyde) - information literacy (Big Data) - application software (SW). The IoT is expected to have the effect of increasing jobs so is getting the attention of the public. It has now become a buzzword in the business among enterprises. The IoT market in the future is predicted to be expanded into the consumer sector centered around life style services from the social infrastructure (utilities, transportation, automation, etc.) sector and the safety management sector, having a tendency to grow. Sophisticated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will probably make a huge network by connecting all object units through communication functions.

      • KCI등재

        특수학교 학부모의 발달장애 자녀 양육 경험과 지원 요구 탐색: 일상생활기술을 중심으로

        강영모,PANG DONGSHAN,손승현 한국자폐학회 2022 자폐성 장애연구 Vol.22 No.2

        This study involves a focus group interview(FGI) conducted to explore the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of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DD) in a special school, with particular emphasis on daily living skills(DLS). Eight parents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s using Zoom, a live online video conferencing program. We transcribed the content from the two interviews into a 36-page Hancom Hanword(hwp) document and analyzed them using thematic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derived 3 domains, 11 subordinate domains, and 34 meaning units. First, the difficulties of raising a child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mainly related to growth, developmental problems, unacceptable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non-consistent surroundings. Second, in terms of family’s ability to access education, the main focus was on mental health clinic medications, special education related services, and practical experience and feedback on the implementation of ABA in families. Third, as suggested by parenting experiences, the support needs included consistent teaching of DLS from an early age and strengthening ‘special education’ such as support for severe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well as specifying parental education, improving teacher professionalism, and developing a system of cooperation and suppor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a discussion and suggestions for the practical improvement of DLS for children with DD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일상생활기술을 중심으로 발달장애 자녀를 둔 특수학교 학부모의 양육 경험과 지원 요구를 탐색하기 위해 수행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FGI)이다. 총 8명의 학부모가 실시간 온라인 화상회의 프로그램 ‘Zoom’을 통해 인터뷰에 참여하였다. 2회기의 인터뷰 내용은 한글 문서 36쪽으로 전사되었으며 주제 분석(thematic analysis)이 적용되었다. 연구 결과, 3개의 영역에서 11개의 하위영역과 34개의 의미단위가 도출되었다. 첫째, 발달장애 자녀 양육의 어려움은 성장․발달에 따른 문제들, 비수용적인 행동 특성, 비일관적인 주위 환경이 많이 언급되었다. 둘째, 가정에서의 교육적 접근은 정신건강의학과 약물, 특수교육 관련서비스, 가정에서의 ABA 적용 등에 대한 실제 경험과 피드백이 주를 이루었다. 셋째, 학부모 경험에 따른 지원 요구는 일상생활기술을 어릴 때부터 일관성 있게 가르치고 중증 발달장애에 대한 지원을 더 강화하는 ‘특별한 교육’의 실천과, 학부모 교육의 구체화, 교사 전문성 향상, 협력․지원 체계 구축 등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 현장에서 발달장애 학생의 일상생활기술을 지도하기 위한 논의와 제언을 서술하였다.

      • KCI등재

        긍정적 행동중재와 지원(PBIS)의 2단계 지원이 발달장애 중학생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강영모,김은세,손승현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2 특수교육 Vol.21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긍정적 행동중재와 지원(positive behavior interventions and supports, PBIS)의 2단계 지원이 발달장애 중학생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지적장애 학생 1명과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 1명이 참여하였다. 사회적 기술은 질문하기, 요구하기, 칭찬하기로 설정하였으며, PBIS 2단계 지원은 위험군 학생 선별, PBIS 팀 구성, 교사 전문성 향상, 학급 규칙 지도, 사회성 기술 교수, 토큰경제로 구성된 다요소전략이었다. 상황 간 중다간헐기초선설계를 사용하여 실험하였으며, 자료는 영상을 관찰한 뒤 사회적 행동 발생률을 측정하는 방식과 사회적 기술 평정 척도 (SSRS)를 사용하여 사회적 기술 점수를 평가하는 방식으로 수집되었다. 연구결과: PBIS의 2단계 지원은 발달장애 중학생의 사회적 기술에 일부 효과가 있었다. 결론: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고려하여 특수교육 현장에서 PBIS의 2단계 지원을 더욱 확대해 간다면 개별화된 3단계 지원이 필요한 학생 수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ier 2 support of positive behavior interventions and supports (PBIS) on the social skills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ethod: One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one student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ocial skills included asking, requesting, and praising. The tier 2 support of PBIS is a multi-element strategy including screening at-risk students, building a PBIS team, improving teacher professionalism, teaching classroom rules, teaching social skills instruction (SSI), and implementing the token economy system.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ettings. The data were collected on the social skills rating system (SSRS) after the rater observed video of the participants and evaluated their social skills. Results: Tier 2 support of PBIS positively influenced the social skill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onclusion: Considering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if tier 2 support of PBIS would be expanded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it could be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students who would need individualized tier 3 support of PBIS.

      • KCI등재

        굴절교정수술안과 비수술안의 각막곡률에 관한 연구

        강영모,전인철 대한시과학회 2023 대한시과학회지 Vol.25 No.4

        목적: 굴절교정수술안과 비수술안의 각막곡률 및 각막지형도를 분류하고 비교하여 두 그룹 간의 각막의 곡률및 형상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연구대상은 20세 이상의 전신질환 및 안과질환이 없으며, 굴절교정수술안 60안(30명)과 비수술안 60안(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굴절교정수술안과 비수술안 두 그룹을 자동굴절검사기를 이용하여 굴절이상도와 각막곡률을 측정하였으며, 각막지형도검사기를 이용하여 각막 범위별 곡률을 측정하고 각막지형도를 활용하여 굴절교정수술안과 비수술안을 비교하였다. 결과: 각막 범위별 곡률에서 굴절교정수술안은 A범위(0~1.5mm)에서 8.48±1.05mm, B범위(1.5~4.5mm) 에서 8.49±1.58mm, C범위(4.5~7.5mm)에서 8.19±1.87mm, D범위(7.5~10.0mm)에서는 7.93±2.87mm 이었다. 비수술안에서의 각막의 범위별 곡률은 A범위에서 7.65±0.82mm, B범위에서 7.77±1.56mm, C범위에서 7.70±2.27mm, D범위에서는 7.88±3.42mm이었다. 결론: 굴절교정수술안의 부작용으로 굴절이상을 재교정하기 위하여 선행검사로 자동굴절검사기와 각막지형도검사기를 사용하며 각막의 형상을 이해하기 위한 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corneal curvature, corneal topography, and non-surgical in refraction correction surgery to determine the difference in corneal curvature and shape between the two groups.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 persons (60 eyes) who underwent refractive surgery and 30 non-surgery persons (60 eyes) who had no systemic or eye disease over the age of 20. The research method measured refractive error and corneal curvature in two groups using an autorefractor-keratometer, measured curvature by area of the cornea using corneal topography, and compared refractive surgery eyes and non-surgery eyes. Results : In area-specific corneal curvature, the plan for refractive surgery was 8.48±1.05 mm in area A (0~1.5 mm), 8.49±1.58mm in area B (1.5~4.5mm), 8.19±1.87 mm in area C (4.5~7.5mm), and 7.93±2.87mm in area D (7.5~10.0mm). In non-surgery procedures, the corneal curvature by area was 7.65±0.82 mm in area A, 7.77±1.56mm in area B, 7.70±2.27 mm in area C, and 7.88±3.42 mm in area D. Conclusion : A side effect of refractive surgery, it is believed that it can be used as data to understand the shape of the cornea while using an Autorefractor-keratometer and a corneal topography as prior tests.

      • KCI등재

        빅테이터 기반 비지니스 모델

        강영모,유재곤,한경석,김종배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5

        최근 빅데이터 예측분석 기술의 기반이 갖추어지기 시작했다. 특히 최근 빅데이터가 주목받는 이유는 스마트폰,소셜 미디어 등의 출현 때문이기도 하지만, 무엇보다도 심층 분석과 같은 기술적 지원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그 동안, 의사결정 과정에서 중요한 것은 경영자의 직관이었다. 그러나 산업 간 경계가 과멸되면서 기업들은 직관보다는 빠르고 정확한 증거 기반의 경영 의사결정이 필요해 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 개념과 향후 가치를 알아보고 비즈니스 모델 혁신을 위해 빅데이터 기반 예측분석이 왜 필요한 지에 대해 논의한다. 또한, 빅데이터 분석, 도구 및 기술이 비용 절감이나 효율성 향상을 통해 직접적인 생산성 향상으로 이어지는 현상을 분석함으로써, 기업들이 혁신을 촉진하기 위해 사업전략 목표에 예측모델을 활용하는 운영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더불어 빅데이터의 정책적 추진 방향,빅데이터 서비스의 주요 이슈와 함께 빅데이터 활성화를 위해 고려해야할 사항들에 대해 언급한다.

      • KCI등재

        빅데이터 기반 비즈니스 모델

        강영모,유재곤,한경석,김종배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5

        Recently, the predictive, analytic technology of big data began to gain a firm foothold. In particular, big data have been under the spotlight. It may be due to the emergence of smart phones, social media, etc. But above all, the spotlight is due to such technical support as in-depth analysis. In the meantime, managers’intuition has been considered as important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But as the boundary between industries has been destroyed, fast and accurate evidence-based managerial decision-making became necessary in deed. rather than intuition-based one. This study discussed why big data-based predictive analysis is needed for business model innovation. In addition, it attempted to analyze the phenomenon that big data analysis, tools, and techniques directly lead to increased productivity and thus to present an operating model used by firms to make use of predictive models for business strategies for the purpose of encouraging innovation. 최근 빅데이터 예측분석 기술의 기반이 갖추어지기 시작했다. 특히 최근 빅데이터가 주목받는 이유는 스마트폰, 소셜 미디어 등의 출현 때문이기도 하지만, 무엇보다도 심층 분석과 같은 기술적 지원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그 동안, 의사결정 과정에서 중요한 것은 경영자의 직관이었다. 그러나 산업 간 경계가 괴멸되면서 기업들은 직관보다는 빠르고 정확한 증거 기반의 경영 의사결정이 필요해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의 개념과 향후 가치를 알아보고 비즈니스 모델 혁신을 위해 빅데이터 기반 예측분석이 왜 필요한 지에 대해 논의한다. 또한, 빅데이터 분석, 도구 및 기술이 비용 절감이나 효율성 향상을 통해 직접적인 생산성 향상으로 이어지는 현상을 분석함으로써, 기업들이 혁신을 촉진하기 위해 사업전략 목표에 예측모델들을 활용하는 운영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더불어 빅데이터의 정책적 추진 방향, 빅데이터 서비스의 주요 이슈와 함께 빅데이터 활성화를 위해 고려해야할 사항들에 대해 언급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