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중 공개 온라인 강좌(MOOCs)를 활용한 한국어교육의 확산

        강승혜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20 한국학논집 Vol.0 No.78

        Sixty years have passed since Korean language education became a part of the Korean language institutes affiliated with Korean universities. We believe that looking back at the prospects of paradigm change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will be a meaningful task on the brink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massive change of the higher education teaching paradigm in the world began with the opening of three Massive Open Online Courses (MOOCs) in October 2011. As of 2016, the number has increased to 4,180 courses, which means a 1,400 times increase. Only at the end of 2018, 2,000 new courses were opened, which resulted in almost 11,400 courses offered at more than 900 universities. Regarding the types of operating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programs are the face-to-face language classroom, a variety of teaching methods, including online learning, mobile apps, YouTube and podcasts, etc. The largest MOOCs websites, such as Coursera (First Step Korean 2016) and FutureLearn (Introduction to Korean 2016) offered Korean language courses expanded even more prospect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research looks into the basic concept of MOOCs, including the background of their creation, and their current state. We also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Korean language courses' organization and operation on the websites. Through a comparison with the approach method, construction, etc. of the existing MOOCs foreign language courses, we discuss the possible implications of the MOOCs Korean language program operation and its future direction. 국내 대학 부설 한국어교육기관에서 시작한 한국어교육 역사가 60년이 넘은 현 시점에서 한국어교육 패러다임 변화의 양상을 돌아보는 일은 4차 혁명시대 한국어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작업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고등교육 분야 교육 패러다임의 큰 변화를 초래한 대중 공개 온라인 강좌(Massive Open Online Courses, MOOCs)는 2011년 10월 3개 강좌로 시작하여 2016년 현재 4,180개 강좌가 개설되어 1,400배에 달하는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2018년 말 현재 2,000개의 새로운 강좌가 개설되어 900개가 넘는 학교에서 11,400개에 달하는 강좌를 듣고 있다고 한다. 한국어교육은 교육 프로그램 운영 방식의 관점에서 온라인 한국어교육, 모바일 기반 앱을 활용한 한국어교육, 유투브 및 팟캐스트를 활용한 한국어교육 등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면대면 오프라인 교육 이외에 다양한 방식의 교육 프로그램이 시행되어 왔을 뿐 아니라 최근 세계적인 MOOCs 사이트 중 Coursera(‘First Step Korean’ 2016)와 FutureLearn(‘Introduction to Korean’ 2016) 등에 한국어 강의를 개설하여 한국어교육의 지평을 펼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MOOCs의 등장 배경을 비롯한 기본적인 개념 및 최근 현황 등을 살펴보고 이들 사이트에 개설한 한국어교육 강의의 구성 및 운영 현황 등을 살펴본다. 또한 MOOCs에 소개된 기존의 외국어 강의의 접근 방식 및 구성 등과의 비교를 통해 향후 MOOCs 한국어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시사점 및 나아가야 할 방향 등에 대해 논의를 하고자 한다.

      • KCI등재

        한국문화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주제와 방법론을 중심으로

        강승혜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2 한국언어문화학 Vol.9 No.1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수행된 한국문화교육 연구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여 한국문화교육 연구 동향을 분석한 것이다.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수행된 한국문화교육 관련 연구들을 분석 대상으로 삼아 이 연구들에 대한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한국문화교육의 실제를 반성하고 한국문화교육이 학문적 발전을 위해 연구가 갖추어야 할 측면들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1980년대 이후 국내 대학원에서 학위논문으로 발표된 한국문화교육관련 석사, 박사학위 논문과 한국어교육관련 학술지로서 심사학술지에 해당하는 학술지 게재 논문들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하여 분석한 분석대상 논문은 419개이고 연대, 주제, 방법론 측면에서 분석되었다. 이들은 주제별로 총 8개의 학문적 범주로 구분된다. A comprehensive review of research in Korean Culture Education with the aim of examining the research topic and its methodology thus far not been executed, though lots of Korean Culture Education research has been accomplished since the eighties. A thorough review of the previous research on Korean Culture Education will assist in understanding the topic area needed to be studied in the field and the relevant methodology as well. This study will analyse previous research on Korean Culture Education, about 419 studies published in the journals related to Korean Culture Education and as well as academic dissertations made up the study. The research was analysed based on three variables: chronology, topic and methodology. There was a total of 8 academic categories for topics.

      • KCI등재

        한국어 교육기관 인력평가 도구 개발 연구

        강승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08 한국어 교육 Vol.1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n instrumental model of evaluation for Korean Instructors of Korean Language Institutes in Korea. There are now very few studies on evaluation for Korean Instructors of Korean Language Institute over 40 years. The importance of Korean Instructors' role cannot emphasized too much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practice in terms of teaching Korean both as a language teacher and as a personnel member in the institute. It would be necessary to develop an valid and reasonable instrument of evaluation for Korean instructors in order to enhance their teaching and the institutional development as well. The illustrative model of instrumental development would be made better of for developing personnel evaluation instrument.

      • KCI등재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학습자 요구 분석 :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학습자를 대상으로

        강승혜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2003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28 No.-

        A great deal of studies on development of Korean textbook have been carried out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Various topics about principles of Korean textbook development have been discussed. However, few studies col the population of learners has ever been shown.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eed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on development of Korean textbook for Korean language program. The researcher reviewed the previous studies on development of a Korean textbook. To obtain data for a Korean textbook development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a survey were implemented. The subjects were 446 Korean learners in KLI(Korean Language Institute) of Yonsei University. As the result of the study, the researcher analysed Korean language learners' interests and needs on development of a new Korean textbook.

      • KCI등재

        한국어 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정립을 위한 연구 : 하위 학문 영역 구축을 위한 귀납적 접근

        강승혜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2003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28 No.-

        A great deal of studies on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Education' have been carried out to establish an academic field subse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Various topics about Korean Language Education have been discussed. However, very few studies has ever been discussed the identity of 'Studies of Korean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This article analyses the identity and academic domain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by reviewing the research area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analyzing the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Course'. This all takes place in an effort to establish the academic sub-domains of 'Korean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tudies.

      • KCI등재

        개인욕구가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네트워킹 행동의 매개효과

        강승혜,탁진국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2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직장인의 성취욕구와 업무적 네트워킹 행동, 친교욕구와 친교적 네트워킹 행동 간의 관계 그리고 두 네트워킹 행동과 주관적 경력성공 간의 관계를 검증한 후 개인욕구와 주관적 경력성공 간의 관계에서 네트워킹 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국내의 기업 종사자 중 경력 2년 이상인 직장인 211명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중 불성실 응답을 제외하고 197명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매개효과 검증 및 경로의 영향력 비교를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취욕구는 업무적 네트워킹 행동에 영향을 미쳤고, 친교욕구는 업무적·친교적 네트워킹 행동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두 네트워킹 행동 중에서는 업무적 네트워킹 행동만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영향을 미쳤으며 이에 따라 성취욕구와 주관적 경력성공 간의 관계에 대한 업무적 네트워킹 행동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학문적 의의 및 실무적 시사점, 그리고 제한점과 추후 연구과제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들이 지각한 ‘좋은’ 한국어 교사의 특성

        강승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0 한국어 교육 Vol.21 No.1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a 'good' Korean teacher perceived by Korean learners. There were a few research that explored roles and features of a Korean teacher as a professional up to now. This study is firstly to analyze and categorize the research on Korean teachers. Secondly, it is to examine roles and functions of Korean teachers as a professional based on earlier studies on professionality of teachers. Lastly, it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a 'good' Korean teacher perceived by Korean learners on the basis of the essays of Korean learners. 84 Korean learners' essays who have been studying in the Korean Language Institute in Korea more than one year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ir essays, the characteristics of a 'good' Korean teacher are identified in the dimensions of not only teacher's knowledge and teaching skills but teacher's personality and attitud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