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대통령 지지자들의 정치문화적 특성 연구

        강순남 한국NGO학회 2019 NGO연구 Vol.14 No.2

        이 글은 2017년 조기대선이후 부각된 대통령 지지자들의 정치 참여 특징-참여 요인, 참여유형, 이념, 민주주의 의식, 정책 선호와 조직-을 분석하고 지지자들의 정치참여 행위가 정치문화의 단면-다원적 민주주의의 주권자인 시민-인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일반적 특징을 토대로 소수의 대상자들과의 릴레이 소개와 면접을 통해 확인하는 방법을 취했다. 분석결과, 첫째, 인지 정향성. 이들은 노무현대통령 서거의 충격과 문재인대통령의 등장이 정치적 사건이나 인물에 대한 인지적 요소로 작용하였으며 활동의 요인이었다. 두 번째, 대의민주주의. 시민의 역동적인 정치참여에 비해 대의정치의 취약성에 대한 기존의 우려와는 달리 대의제를 통해 정치적 효능감을 얻고자 하는 의지가 강했다. 셋째, 스마트형 시민. 지지자들은 인터넷에 능숙하며 인터넷 네트워크를 적극 활용하여 대통령과 국가 정책에 대한 지지, 홍보, 반론을 전개하며 이에 견주는 상당한 지식 체계를 갖추고 있었다. 넷째, 이념의 복합성. 탈이념, 공동체주의를 지향하며 사회적으로는 진보 성향을, 경제적으로는 보수 성향을 보여주었다. 이들은 참여 민주주의에 대한 높은 정치지향성을 가지고 있다. 이는 정치문화현상의 단면인 반면 참여 모티브는 공공성에 기반 한 민주주의 정체의 본질적 정치참여 보다 개인을 향한 충성심을 토대로 공공성으로 접근하는 참여로 정치 영역의 파벌화, 충돌 가능성이 제기된다. 향후 이들의 정치참여가 새로운 정치문화로 자리 잡기위해서는 행위의 지속성이 축적 되어야 하며 더불어 환경적 요인도 중요한데 그것은 정치권의 이해와 수용 그리고 일반 시민들과의 융화 여부이다.

      • KCI등재후보

        퇴계 서예의 중화미 고찰

        강순남 한국사상문화학회 2019 韓國思想과 文化 Vol.98 No.-

        Toegye emphasized restoration from the Songseol Style which was settled as Gukseo Style at the time to Wang Hee-ji Style. The elegance of Wang Hee-ji calligraphy was expressed as moderation of aesthetic style, embodiment of Sinocentrism, the reconciliation of Jangbep (overall atmosphere of calligraphy, the elegant, majestic and elegant structure and method of frame, and the gentle and soft Sinocentric beauty of dots and strokes. The reason, that Wang Hee-ji was revered as a calligraphic saint and his calligraphy adored as a standard, was the Sinocentric beauty, neither intense nor intimidating. As a Confucian scholar, Toegye laid out the graceful and orderly world of calligraphy based on the Sinocentric beauty in calligraphy of Wang Hee-ji. Gyeong(keeping balance of the mind not to be dispersed), the Toegye's life view, is revealed in his calligraphy. In the state where the mind is settled, the Sinocentric beauty which is neat, graceful and orderly based on Gyeong can be seen. Also there is Hwahaedaedae (becoming companions and opponents at the same time) in his calligraphy. In other words, various elements which are discriminatory contradictions and opponents harmonize with each other, resulting in a total refinement and not losing individual subjectivity. There are various contents of beauty in harmony and unification. The Sinocentric beauty is the beauty of life. When practicing the morality of Sinocentrism, all things of heaven and earth will be held in place and grow, being filled with vitality. There is such a active Sinocentric beauty in which vividness does not stop in Toegye's calligraphy. Therefore, there is the Sinocentric beauty which does not get distorted or biased in Toegye's calligraphy. He contacted the calligraphy in everyday life with his mind full of morality and virtue. In that way, the calligraphic work as purposiveness of non-finality was naturally created. 퇴계는 자신의 인생관인 경(敬)이 서예에 그대로 드러난다. 마음이 정(正)한 상태에서 경에 바탕한 반듯한 단아방정(端雅方整)의 중화미를 볼 수 있다. 화해대대(和諧待對)는 서로 다른 다양한 대대(待對)요소가 조화롭게 어우러져 전체적인 정제미(整齊美)를 이루되 개별적 주체성을 상실하지 않는 것이다. 조화, 통일 속에는 갖가지 아름다움의 내용들이 담겨 있다. 이런 점이 퇴계서예의 자체(字體)에 보인다. 중화의 미는 생명의 미이다. 중화의 도를 실천하면 천지만물이 제자리를 잡고 제대로 자라나게 되어 생명력이 충만하게 된다. 퇴계 글씨에는 이러한 활발발한 생생불이(生生不已)의 중화미가 있다. 그러므로 퇴계서예에는 어그러짐이나 치우치지 않는 중화미가 있다. 그는 도와 덕이 충만한 마음으로 일상의 생활에서 서예를 접하였고 무목적성(無目的性)의 합목적성(合目的性)으로서 서예작품이 자연스레 창출된 것이다.

      • KCI등재후보

        퇴계 활리(活理)의 미학적 고찰

        강순남 한국사상문화학회 2019 韓國思想과 文化 Vol.100 No.-

        T’oegye(1501-1570) is a brilliant scholar who revealed Neo-Confucianism and made it blossom in the Chosŏn dynasty. His studies were aimed at becoming a sage and principle was at the heart of his study. Principle is an extremely high and noble creature like a god, shangdi(上帝), and is not an death object like a cold ash, but a vivaciously living principle. Principle granted from the sky is full of good will. Human beings have a inherited, universal desire for the value of beauty and the true aim of this desire is the value of good. This desire is based on human nature and inherited from heaven. Beauty comes from the good, and in Confucianism, morality and goodness are regarded as the substance of beauty. If good is sincere in mind, it naturally appears on the outside: in other words, if the vital energy of good or the vital energy of virtue is accumulated, it spontaneously appears on the outside. The principles of human mind is no different from the principles of heaven and earth. The principles of my heart is the principles which works as a driving force of heaven and earth. This is the basis on which heaven and man can be united. When the mind of human and the principle of heaven are coincident, you will have an unforgettable and enjoyable experience that rises from your heart, only to reach the true joy of life. The unity of human beings and the universe as a whole can lead to the most joyful life of all time, as they fulfill their nature, know the heavens, and master change with a curious sense of mystery. Ch’ŏna mugan(天我無間) that the mind of human and the principle of heaven match is a state of sentiment, accompanied by pleasure and attainment of taste. This is also a mental stage, so-called “congxinsuoyu buyuju(從心所慾不踰矩),” that does not go beyond the law even if one follows what his mind wants to do. 퇴계(1501~1570)는 조선조 성리학을 찬연히 밝혀 우리나라에 꽃피우게 하였다. 그의 학문은 성인됨을 목표로 한 것이고 그 학문의 중심에는 리(理)가 있다. 리는 지극히 높고 존귀한 상제와 같은 존재이며 식어버린 재와 같은 사물(死物)이 아니라 살아서 움직이는 활리(活理)인 것이다. 하늘로 부터 부여받은 리는 선의지(善意志)가 충만해 있다. 인간은 선험적 보편적으로 아름다움이라는 가치 지향적 욕구를 가지고 있으며 이 욕구가 지향하는 바가 진정한 의미의 가치 즉 선이다. 이 욕구의 근거가 바로 인간의 본성이며 그 근원은 하늘이다. 미는 선에서 나오며 유가에서는 도덕과 선을 미의 실질로 보고 있다. 선이 마음속에 꽉 차면 외면에 저절로 나타난다. 바로 선의 기운 혹은 덕(德)의 기운이 가득 쌓여 드러나는 것이다. 사람 마음의 리는 천지의 리와 다르지 않다. 천지 운행의 원리가 되는 그 리가 내 마음의 리다. 이것은 하늘과 사람이 하나가 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마음과 이치가 일치하면 마음속으로부터 솟아오르는 그만둘 수 없는 즐거운 체험을 하게 되며 비로소 인생의 참된 즐거운 경지에 이르게 되는 것이다. 인간과 우주자연 전체가 합일하는 것이 이른바 본성을 다하고 하늘을 알며 신묘함을 궁구하여 변화에 통달하는 것으로 이로부터 가장 즐거운 인생극치에 이를 수 있다. 마음과 이치가 일치하는 천아무간은 즐거움을 수반하며 심미가 달성되는 정감상태로 마음이 하고자 하는 바를 쫒아도 법도를 넘지 않는 종심소욕불유구(從心所慾不踰矩)의 정신경계다.

      • KCI등재

        공론조사의 구조적 한계와 의사결정의 문제: 2018년 지자체의 숙의형 조사를 중심으로

        강순남 한국NGO학회 2022 NGO연구 Vol.17 No.3

        본 글은 제주녹지국제병원과 광주도시철도2호선 공론조사를 검토하여 주요 논란과 문제의 원인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문제에 대한 개선점을 제언함으로 공론조사의 순 기능을 촉진하고자 한다. 탐색결과, 공정성을 기조로 한 시민사회의 항의가 공론조사 과정 내내 있었는데, 이는 시민사회가 지자체와 공공기관 보다 홍보력, 행정력, 정보력에서 열세하여 초래된 불공정으로 파악되었다. 즉 정책에 대한 익숙함, 행정지원 및 예산처인 지자체와 공공기관은 시민사회 보다 구조적으로 유리하다는 것이다. 다음은 지자체장에 의해 시민의 의사결정이 수용되지 않아 발생된 논란으로 의사결정의 실효성 문제였다. 결국 갈등해결은 사법부로 최종 판단이 이관되면서까지 미완의 상태로 남아있다. 따라서 본 글은 공론조사 구조 개선과 실효적 의사결정에 대한 장치 마련이 필요하다고 본다. 생각해 볼 대안은 중앙차원의 기구 설립을 검토하고 필요한 제반 비용과 정보 제공의 조건 등이 포함된 세밀한 조례가 제정되는 것이다. 또한 실효적 의사결정을 위해 지자체장이 권한을 위임 하거나 시민주권 강화 차원에서 의사결정권을 부여하는 제도 개편을 고려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지자체의 공론조사를 연구대상으로 삼은 것은 중앙 보다 사회적 관심이 부족하다는 현실과 풀뿌리 민주주의에 더 적합하다는 것에 있다.

      • KCI등재

        <산씨반(散氏盤)> 명문(銘文)의 서예미학적(書藝美學的) 특징(特徵)

        강순남 ( Kang Soon Nam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7 동양예술 Vol.34 No.-

        본고는 西周말기 금문인 <散氏盤>에 담긴 善에 대한 내용을 이해하고, 아울러 명문의 書體를 도가 미학적 차원에서 고찰한 논문이다. <散氏盤>은 西周말 지방제후간의 토지거래를 기록해 놓은 명문으로, 측나라가 산나라를 침략하여 빼앗은 토지를 산나라에게 돌려주는 내용이 담겨 있다. 토지를 돌려주는 과정에서 측나라는 어긋남과 변고가 있으면 벌금을 낼 것이며, 또 그러한 사실을 알려 더 이상 그러한 일이 없도록 할 것을 말하고 있다. 그러므로 <散氏盤> 명문 속에는 善, 毋自欺 仁, 禮의 윤리사상이 내재되어 타인을 배려하고 사랑하는 애타적 윤리사상을 볼 수 있다. 반면 草篆의 선구가 되고 서예가들에게 사랑을 많이 받고 있는 <散氏盤> 명문의 書體는 이지러지고 모자란 듯 하고 무뚝뚝하며 소탈하고 꾸밈이 없다. 속된 느낌이 전혀 없으며 천진난만한 소박함과 진실함이 <散氏盤> 서체의 생명력이다. 이런 점에서 <散氏盤>의 서체에는 道家미학이 지향하는 미의식이 담겨 있다. 이처럼 自然而然한 <散氏盤>은 현대의 작가들에게 창작영역의 많은 자료를 제공하며 오늘날 서예를 연구함에 있어서 많은 예술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This study is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he good in SanSsiBan, a form of Keummoon, bronze character presented in the late Western Zhou dynasty as well as of studying the characters in terms of Taoist aesthetics. SanSsiBan is an inscription about a transaction of property between feudal lords returning a real estate to its original owner of San state, a feudal state land acquired from San by Cheuk state trough invasion. During the process of returning the land, Cheuk stated that it would do its best to prevent any variation or accident and to inform if anything happened with compensation for damages. So, we can find the ethical and altruistic ideas such as the good, no self-deceit, humanity and courtesy in SanSsiBan taking care of others. On the other hand, the character in SanSsiBan inscription as representative example of ChoJeon (草篆, a calligraphic type) and beloved by traditional calligraphers is so simple and unsophisticated. The naive sincerity without any secularity is the core of characters in SanSsiBan. In this sense, we can discover Taoist aesthetics in the SanSsiBan. As presented above, SanSsiBan can be understood that it provides today`s modern artists with a lot of ideas in various creative areas as well as has its artistic values in research of traditional calligraph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