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기 임피던스 단층촬영법에서 잔류오차 기반의 반복적 조정기법을 이용한 영상 복원

        강숙인,김경연,Kang, Suk-In,Kim, Kyung-Youn 한국전기전자학회 2014 전기전자학회논문지 Vol.18 No.2

        전기 임피던스 단층촬영법을 이용한 정적 영상 복원에서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복원 알고리즘은 modified Newton-Raphson(mNR) 알고리즘으로 수렴 속도 및 추정 정확도 측면에서 비교적 다른 알고리즘들에 비해 좋은 성능을 나타낸다. mNR 알고리즘에서는 측정 전압과 계산 전압과의 차이, 즉 잔류오차를 최소화하도록 목적함수를 설정하고 이를 반복 연산하여 내부의 저항률 분포를 추정한다. 이때 EIT 역문제의 비정치성을 완화시키기 위해 조정방법을 사용하며 조정인자에 따라 서로 다른 영상 복원 성능을 나타낸다. 기존 기법에서는 반복 연산마다 일정한 상수 값의 조정인자를 사용하기 때문에 대상 물체의 내부 상태가 변하거나 측정 잡음 등이 있는 경우 때때로 조정인자에 따라 영상 복원이 수렴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영상 복원 수렴 및 성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잔류오차에 기반하여 반복 연산마다 자동적으로 조정인자를 수정하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시뮬레이션과 실험을 수행하여 제안된 기법의 영상 복원성능을 평가한 결과 비교적 양호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In electrical impedance tomography (EIT), modified Newton Raphson (mNR) method is widely used inverse algorithm for static image reconstruction due to its convergence speed and estimation accuracy. The unknown conductivity distribution is estimated iteratively by minimizing a cost functional such that the residual error namely the difference in measured and calculated voltages is reduced. Although, mNR method has good estimation performance, EIT inverse problem still suffers from ill-conditioned and ill-posedness nature. To mitigate the ill-posedness, generally, regularization methods are adopted. The inverse solution is highly dependent on the choice of regularization parameter. In most cases, the regularization parameter has a constant value and is chosen based on experience or trail and error approach. In situations, when the internal distribution changes or with high measurement noise, the solution does not get converged with the use of constant regularization parameter. Therefore, in this paper, in order to improve the image reconstruction performance, we propose a new scheme to determine the regularization parameter. The regularization parameter is computed based on residual error and updated every iteration. The proposed scheme is tested with numerical simulations and laboratory phantom experiments. The results show an improved reconstruction performance when using the proposed regularization scheme as compared to constant regularization scheme.

      • Dynamic Electrical Impedance Tomography with Internal Electrodes

        강숙인,김경연,Kang, Suk-In,Kim, Kyung-Youn Institute of Korean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 2001 전기전자학회논문지 Vol.5 No.2

        전기 임피던스 단층촬영법은 물체 표면의 전극을 통하여 전류를 주입하고 유기된 전압을 측정한 후, 물체 단면의 저항을 분포를 복원하는 기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대상물체의 저항을 값의 분포가 급변하는 상황에 대한 동적 전기저항 단층활영법을 제안하였다. 특히, 복원 성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물체 내부의 구조를 전극으로 사용하였으며, 비 선형 역문제를 상태 추정문제로 설정하여 확장 칼만필터를 이용하여 상태변수(저항율)를 추정하였다. 또한 역문제의 부정치성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수정된 Tikhonov 조정기법을 비용함수에 도입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의 성능을 분석하기 위해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수행했으며, 기존의 방법들에 비해 개선된 결과를 얻었다. Electrical impedance tomography(EIT) is a relatively new imaging modality in which the internal impedivity distribution is reconstructed based on the known sets of injected currents and measured voltages on the surface of the object. We describe a dynamic EIT imaging technique for the case where the resistivity distribution inside the object changes rapidly within the time taken to acquire a full set of independent measurement data. In doing so, the inverse problem is treated as the state estimation problem and the unknown state (resistivity) is estimated with the aid of extended Kalman filter in a minimum mean square error sense. In particular, additional electrodes are attached to the known internal structure of the object to enhance the reconstruction performance and modified Tikhonov regularization technique is employed to mitigate the ill-posedness of the inverse problem. Computer simulations are provided to illustrate the reconstruction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lgorithm.

      • KCI등재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에서의 심리적 안전(psychological safety)에 관한 개념분석

        강숙정(Sook Jung Kang),배정아(Jung A Bae)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9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에 있어 심리적 안전 개념의 명확한 속성을 규명하고 파악하여 다양한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간호학생의 심리적 안전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환경 조성에 기여하고자 함이다. Walker와 Avant (2010)의 개념분석 단계를 사용하여 15개의 심리적 안전과 관련된 문헌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심리적 안전의 속성으로는 다음 4가지가 도출되었다: 1) 편안한 느낌이나 상태; 2) 두려움 없이 행동할 수 있는 상태; 3) 조직에 대하여 신뢰할 수 있는 느낌; 그리고 4) 자신에게 무해하다는 느낌. 본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선행요인, 속성, 결과 등을 고려하여 심리적 안전을 보장하도록 하는 학습환경을 조성한다면 시뮬레이션 교육의 학습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clarify the concept of psychological safety in nursing simulation education so that it can contribute to learning environment that guarantee psychological safety for nursing students. Using Walker & Avant’s concept analysis framework, 15 research articles about psychology safety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re were four definable attributes of psychological safety: 1) comfortable state feeling or status; 2) State that can perform without fear; 3) Sense of trust toward the organization; and 4) Feeling that there will be no harm to oneself. When antecedents, attributes, and consequences of psychological safety is considered when shaping simulation education environment, the learning effect for nursing students is expected to be maximized.

      • KCI등재
      • SCOPUSKCI등재

        악성 흑생종과 병발한 원발암 2 예

        강숙경(Sook Kyoung Kang),장경애(Kyoung Ae Jang),최지호(Jee Ho Choi),성경제(Kyung Jeh Sung),문기찬(Kee Chan Moon),고재경(Jai Kyoung Koh) 대한피부과학회 2001 대한피부과학회지 Vol.39 No.7

        Survival from malignant melanoma has improved, and as a consequence, the possibility of raised risk of second primary cancers needs to be taken into account in clinical management. We report two cases of second primary cancers in patients with cutaneous malignant melanoma. One is a 61-year-old man suffered from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with acral lentiginous melanoma, the other is a 65-year-old woman who suffered from malignant lymphoma with superficial spreading melanoma. (Korean J Dermatol 2001;39 (7) 798-802)

      • KCI등재

        현대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플레어의 형태 조형성 연구

        강숙녀(Sook Nyeo Kang),권진(Jin Kwe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6 No.1

        현대 의복의 디자인과 장식적 효과를 위하여 다양한 기법들이 활용되고 있다. 그의 하나인 플레어 기법은 부드럽고 아름다운 조형성의 표현을 위하여 의복 전반에 걸쳐 폭넓게 활용되는 것으로써 착장자의 체형과 착장방법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으나 그에 대한 디자인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현대 패션에 표현된 플레어의 특성을 고찰하고, 플레어 의복의 형태 조형성을 분석하여 패션의 표현 기법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와 더불어 이를 미래 패션 디자인에 활용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주된 범위는 플레어에 대한 정의와 변천, 디자인 요소에 의한 플레어의 표현 분석, 그리고 현대 패션에서 플레어의 형태 조형성에 대한 분석이 포함되어 진다. 그 결과 플레어의 표현은 실루엣의 발현, 디테일의 활용, 의복 구조선의 변형으로 구분되며, 컬렉션에서 나타난 플레어의 형태 조형성은 선의 재구성, 의복 공간의 확장, 성의 이질화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내용과 결과로서 현대 패션의 디자인 기법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이론들을 정리·제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패션 디자인의 개발 및 복식 문화의 해석 범위를 확대 시킬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In the modern clothing design, a variety of techniques are applied for the decorative effect. The flare type technique as one of them has been widely used in designing the formative expression of clothing, which is considered as smooth and aesthetic. The reality of its study in modern fashion, however, is found to be inefficient. The necessity to examine further takes place, accordingly.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paper analyzed the formative pattern expressed in the modern fashion industry. The study herein aims at the specific understandings about techniques of fashion expression and application to design in the future fashion by doing so. The theoretical backgrounds for this study were grounded in the separate volumes published domestically and overseas, academic dissertations, and papers reported to the domestic and overseas journals as part of the preliminary procedures. The leading designers` pieces of work in modern fashion were adopted as empirical materials for the analysis of formative characteristics. Based on this, it was found through the study that the flaring technique was peformed in such a way of change in silhouette, application of details, and change in structural line in the apparel. In addition, the formativeness in flare in the modern fashion stream turned out to be another nature for the emphasis of line restructure, spatial expansion in clothing, and unique feministic expression. With these basic results, it could be expected that some foundation may be provided for the alternative design method of flaring skill, and through its application, this may be contributed to the creative fashion desig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