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상호작용 이중-모드 조정방법을 이용한 저항률 영상 복원

        강숙인(Kang, Suk-In),김경연(Kim, Kyung-Youn) 한국전기전자학회 2016 전기전자학회논문지 Vol.20 No.2

        전기 저항률 단층촬영법(ERT)은 표면 전극으로부터 측정된 전압을 사용하여 물체 내부의 임피던스 분포를 영상화하는 기술이다. ERT 역문제는 비정치성(ill-posedness)이 매우 심하여 영상복원의 수렴성을 확보하기 위해 조정방법이 사용된다. 사용된 조정방법에 따라 영상복원 성능이 달라지므로 상황에 따라 보다 강건한 영상 복원 성능을 얻기 위해, 서로 다른 영상복원 특성을 나타내는 L1-norm 조정방법과 Total Variation (TV) 조정방법의 두 개의 모드가 상호작용하는 상호작용 이중-모드 조정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이중-모드 조정방법은 실제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 모드 확률을 계산하고 이에 근거하여 적합한 모드를 선택하거나 두 개의 모드를 결합한다. 모의실험을 수행하여 제안된 기법의 영상 복원 성능을 평가한 결과 비교적 양호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Electrical resistivity tomography (ERT) is a technique to reconstruct the internal resistivity distribution using the measured voltages on the surface electrodes. ERT inverse problem suffers from ill-posedness nature, so regularization methods are used to mitigate ill-posedness. The reconstruction performance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regularization method. In this paper, an interacting dual-mode regularization method is proposed with two different regularization methods, L1-norm regularization and total variation (TV) regularization, to achieve robust reconstruction performance. The interacting dual-mode regularization method selects the suitable regularization method and combines the regularization methods based on computed mode probabilities depending on the actual conditions. The proposed method is tested with numerical simulations and the results demonstrate an improved reconstruction performance.

      • KCI등재
      • KCI등재

        자유주제 : 「바람의 넋」의 서사담론 분석

        강숙아 ( Suk A Kang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0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33

        서사담론 연구는 서사의 제시 방식을 탐구하는 소설 연구의 한 영역이다. 서사담론 연구는 본질적으로 서사와 스토리의 관계, 서사와 서술하기의 관계, 그리고 서사 담론 속에 새겨진 스토리와 서술하기의 관계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본 글은「바람의 넋」에 제시된 시간의 역전과 예상, 서술의 속도를 중점적으로 연구하였다. 이 소설 전체의 시간의 불일치 횟수는 129회로 대단히 많은 편이다. 이처럼 시간의 불일치를 다량 사용한 이유는 서사가 인물들의 의식을 따라 흐르면서 시간대의 이동이 무질서하고 복잡하게 진행되기 때문이다. 서사의 도입부에서는 시간의 불일치가 서사의 구성적 역전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구성적 역전이란 소설의 도입 부분에 위치하여 사건의 인과 관계나 서사의 이해에 필요한 예비지식을 독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사용하는 시간 불일치 방식이다. 「바람의 넋」의 또 다른 시간 불일치의 특성 중에는 서사의 기준 시점 이후에 일어나는 내적 예상을 들 수 있다. 내적 예상은 원래 소설에서 예시를 위해 사용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 소설에서는 내적 예상을 예시 기능뿐만 아니라 등장인물의 미래에 대한 불안감의 표현이나 등장인물의 감추어진 마음을 표현하는 등 내적 예상을 내적고백 형태로 확장하여 사용하고 있다. 또한 주인공은 회상을 통해 과거의 자신과 조우하는데 이 장면은 초월적 시간이며 현현의 순간이다. 「바람의 넋」의 시간 불일치는 소설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재현하는데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시간 불일치의 고유한 기능을 넘어서 작가만의 독특한 방식을 구현하고 있다. 또한 시간 불일치 방식은 소설의 내용뿐만 아니라 소설의 형식에서도 영향을 미쳐 소설 구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서술의 속도에 대해 살며보면 도입부에서는 생략과 요약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 소설의 가장 특징적인 서술의 속도는 바로 정지와 연장이다. 정지와 연장서술을 자세히 살펴보면 대부분 장면서술로 시작한 서술들이 곧 정지나 연장서술로 변환된다. 장면으로 서술을 시작해도 인물의 생각이나 인물이 바라보는 풍경 등을 묘사하면서 정지서술로 전환된다. 그리고 장면으로 시작한 서술이 인물의 의식세계를 재현하면 바로 연장서술로 변환되는 것이다. 그리고 장면서술도 대화보다는 분위기와 상황 설명, 주변 묘사가 많은 것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바람의 넋」의 서술 속도의 특성은 요약과 생략을 심리적으로 사용하는 개성이 돋보인다. 이 소설의 주조를 이루는 서술 속도는 연장이나 정지라고 할 수 있다. 장면서술도 현장감 보다는 의식의 재현에 편향되어 있다. 이는 오정희 소설이 사건을 따라가는 서술이 아니라 의식을 따라가는 서술을 지향하기 때문이다. Narrative discourse is to study the ways narrative is presented. Research on narrative discourse is fundamentally to study relationships between narrative and story, between narrative and describing, and the story inscribed in narrative discourse and describing. This study set out to focus its research efforts on time discrepancies, predictions, and description rate in Soul of Wind. The novel, as a matter of fact, is full of time discrepancies as its narrative follows the consciousness of the characters. The introduction of narrative performs the function of its compositional reversal, which is a kind of time discrepancy technique of providing the readers with causal relations of events and necessary preliminary knowledge at the beginning. The main character accessed the truth she was trying to know through the recollection technique involving association. The novel also uses a lot of internal predictions, which were useful in effectively describing the anxiety the characters had for their future and the thoughts they had about other characters. The main character encounters herself from the past through recollection, which scene transcends time and marks a mysterious and profound moment. As for the description rate, the author makes useful use of summary, omission, and stop. Stop and prolongation are especially important in the description rate. What is characteristic with the description is that it starts with a scene and immediately changes its rate with stop or prolongation. The characters start with their actions in scenes but immediately fall into their conceptions, pursuing depiction. It is converted into stop description when it depicts the characters` thoughts or the landscape they are looking at and into prolongation description when it reproduces their conscious worlds. The description rate of Soul of Wind can be characterized by the author`s individuality to psychologically utilize summary and omission. The main description rates of the novel are prolongation and stop. The scene descriptions are inclined toward the reproduction of consciousness rather than the feeling of movement, which is because Oh Jeong-hee`s novels usually seek after description following consciousness rather than events.

      • KCI등재후보

        전기 저항 단층촬영법에서의 조정기법 성능비교

        강숙인(Suk-In Kang),김경연(Kyung-Youn Kim) 한국전기전자학회 2016 전기전자학회논문지 Vol.20 No.3

        전기 저항 단층촬영법(ERT)은 대상체 내부 단면의 저항률 분포를 추정하고 이를 영상화하는 기술이다. ERT의 영상복원은 매우 비정치성이 강한 역문제의 일종으로 의미있는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조정기법이 사용된다. 대표적으로 l2-norm 조정기법, l1-norm 조정기법, Total Variation 조정기법이 사용되며, 조정기법에 따라 ERT의 영상복원성능이 달라진다. 즉, 상황에 맞는 적절한 조정기법의 사용은 ERT 영상 복원을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모의실험을 통하여 상황에 따른 세 가지 조정기법의 영상복원 성능을 비교하였다. Electrical resistance tomography (ERT) is an imaging technique where the internal resistivity distribution inside an object is reconstructed. The ERT image reconstruction is a highly nonlinear ill-posed problem, so regularization methods are used to achieve desired image. The reconstruction outcome is dependent on the type of regularization method employed such as l2-norm, l1-norm, and total variation regularization method. That is, use of an appropriate regularization method considering the flow characteristics is necessary to attain good reconstruction performance. Therefore, in this paper, regularization methods are tested through numerical simulations with different flow conditions and the performance is compared.

      • KCI등재

        전기 임피던스 단층촬영법에서 잔류오차 기반의 반복적 조정기법을 이용한 영상 복원

        강숙,김경연,Kang, Suk-In,Kim, Kyung-Youn 한국전기전자학회 2014 전기전자학회논문지 Vol.18 No.2

        전기 임피던스 단층촬영법을 이용한 정적 영상 복원에서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복원 알고리즘은 modified Newton-Raphson(mNR) 알고리즘으로 수렴 속도 및 추정 정확도 측면에서 비교적 다른 알고리즘들에 비해 좋은 성능을 나타낸다. mNR 알고리즘에서는 측정 전압과 계산 전압과의 차이, 즉 잔류오차를 최소화하도록 목적함수를 설정하고 이를 반복 연산하여 내부의 저항률 분포를 추정한다. 이때 EIT 역문제의 비정치성을 완화시키기 위해 조정방법을 사용하며 조정인자에 따라 서로 다른 영상 복원 성능을 나타낸다. 기존 기법에서는 반복 연산마다 일정한 상수 값의 조정인자를 사용하기 때문에 대상 물체의 내부 상태가 변하거나 측정 잡음 등이 있는 경우 때때로 조정인자에 따라 영상 복원이 수렴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영상 복원 수렴 및 성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잔류오차에 기반하여 반복 연산마다 자동적으로 조정인자를 수정하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시뮬레이션과 실험을 수행하여 제안된 기법의 영상 복원성능을 평가한 결과 비교적 양호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In electrical impedance tomography (EIT), modified Newton Raphson (mNR) method is widely used inverse algorithm for static image reconstruction due to its convergence speed and estimation accuracy. The unknown conductivity distribution is estimated iteratively by minimizing a cost functional such that the residual error namely the difference in measured and calculated voltages is reduced. Although, mNR method has good estimation performance, EIT inverse problem still suffers from ill-conditioned and ill-posedness nature. To mitigate the ill-posedness, generally, regularization methods are adopted. The inverse solution is highly dependent on the choice of regularization parameter. In most cases, the regularization parameter has a constant value and is chosen based on experience or trail and error approach. In situations, when the internal distribution changes or with high measurement noise, the solution does not get converged with the use of constant regularization parameter. Therefore, in this paper, in order to improve the image reconstruction performance, we propose a new scheme to determine the regularization parameter. The regularization parameter is computed based on residual error and updated every iteration. The proposed scheme is tested with numerical simulations and laboratory phantom experiments. The results show an improved reconstruction performance when using the proposed regularization scheme as compared to constant regularization sche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