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가스터빈 연소기의 화염안정성 해석

        강성모(Sungmo Kang),김용모(Yongmo Kim),정재화(Jae-Hwa Chung),안달홍(Dal-Hong Ahn) 대한설비공학회 2006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06 No.11

        In order to realistically represent the complex turbulence-chemistry interaction at the partially premixed turbulent lifted flames encountered in the gas turbine combustors, the combined conserved-scalar/level-set flamelet approach has been adopted. The parallel unstructured-grid finite-volume method has been developed to maintain the geometric flexibility and computational efficiency for the solution of the physically and geometrically complex flows. Special emphasis is given to the swirl effects on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the lean-premixed gas turbine combustor. Numerical results suggest that the present approach is capable of realistically simulating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for the lean-premixed gas turbine engines and the lifted turbulent jet flame.

      • 저출산 충격에 따른 국민연금의 세대 간 비용 분담 방식에 관한 연구

        강성모 ( Sungmo Kang ),성주호 ( Juho Sung ) 한국연금학회 2023 연금연구 Vol.13 No.2

        부과방식 공적연금 개혁에 있어서 우선 과제는 세대 간 비용 분담의 공정한 기준부터 정의하고 합의를 이끌어 내는 것이다. 이에 본고는 다양한 모수 개혁 방식을 비교하고 그 장단점과 특징들을 세대 간 공정성 관점에서 평가하고 있다. 전형적인 보험료율 고정 방식이나 소득대체율 고정 방식은 저출산에 대한 일방적인 책임 전가 혹은 전담을 강요하고 있고 그에 따라 모수 변화의 폭이 극도로 커 현실적으로 감내하기 어려운 방식이다. 저출산에 대한 세대 간 분담 원칙에 기반한 Musgrave 방식은 특정 세대에 부담이 집중되는 것을 완화해 준다는 강점에도 불구하고 공적연금만 고려한 세대 간 재분배라는 한계를 지닌다. 본고는 공적연금 수준을 넘어서는 전체 경제 수준에서의 세대 간 사적 이전을 고려한 확장 Musgrave 방식을 새롭게 제시하고 있다. 동 개혁 방식은, 공적연금 수준을 넘어 사적 이전까지 반영하는 방식이라는 점에서 세대 간 공정성 기준을 한 단계 제고시킨 것일 뿐만 아니라, 저출산 충격의 비용 분담에서도 당사자인 저출산 세대에게 좀 더 높은 비중의 부담을 요구하고 있어 정당성과 실행 가능성 모두를 적절히 확보하고 있다 할 수 있다. The first task in the the PAYG public pension reform should be to define a fair criterion for intergenerational cost sharing and reach an agreement on it. This paper compares various parameter reform methods, evaluating their strengths/weaknesses and characteristics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generational fairness. Typical methods such as a fixed contribution rate or a fixed replacement rate impose a unilateral burden of low fertility on a specific generation and their drastic parameter changes are practically difficult for that generation to accept. The Musgrave method, based on the principle of intergenerational sharing of the low fertility costs, alleviates the concentration of burdens on a specific generation. However, it has limitations as it is only confined to intergenerational public pension transfer. This paper develops and introduces a new extended Musgrave method, considering intergenerational private transfers beyond the level of public pension. This reform method presents a more extended criterion of intergenerational fairness by reflecting private transfers beyond public pension level, and appropriately leads to a higher proportion of the burden on the low fertility generation. As a result, it could be a more legitimate and feasible reform method to every generation.

      • KCI등재

        마일리지 관련 거래와 부가가치세

        강성모(Kang Sungmo) 한국세법학회 2014 조세법연구 Vol.20 No.3

        마일리지 제도는 매출 증대, 지속적인 고객 확보 등을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고, 이에 대한 과세문제에 대해서도 많은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글은 마일리지가 적립되고 사용되는 거래에서 부가가치세 공급가액을 어떻게 산정하여야 하는지를 살피고, 입법 또는 해석에서의 문제점을 밝힌 다음 그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마일리지에 대한 과세 체계가 사업상 증여 등 판매 촉진을 목적으로 하는 다른 거래구조와의 사이에서 중립적이어야 한다는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지도 중요한 쟁점이 된다. 재화를 공급받고 그 대가의 일부 또는 전부를 그 전에 적립받은 마일리지로 결제하는 경우 해당 마일리지 상당액은 공급가액에 포함된다는 취지의 규정이 있고, 이를 ‘당연한’ 전제로 한 해석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 핵심은 마일리지가 어떠한 성격을 가지는지는 전혀 고려하지 않은 채 마일리지 상당액은 항상 공급가액에 포함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마일리지가 대가로서의 성격을 가지지 않는 경우에는 마일리지 상당액을 공급가액에 포함할 수 없다. 마일리지가 대가가 되지 않는 경우에는 공급가액에서 제외시켜야 하고, 이는 마일리지를 적립해 준 자와 급부제공자의 동일성이나 제공되는 급부의 종류와는 상관이 없다. 이에 반하는 결과를 초래하는 위 규정은 부가가치세법의 기본 원리에 반한다. 물론 이처럼 해석하면 과세되는 사업상 증여 등과의 사이에서의 조세중립성이 문제될 수 있지만, 이는 입법적 선택에 따른 것이다. 또한 위 규정에 포섭되는 거래의 범위는 매우 한정적이어서, 마일리지 적립의 주체와 마일리지의 사용에 따른 급부 제공자가 다른 경우, 제공되는 급부가 용역인 경우 등에 대한 규율은 여전히 공백으로 남아 있다. 위 규정은 마일리지가 대가로서의 성격을 가지는 경우에만 적용되는 것으로 범위를 제한하거나 아예 삭제하는 등의 입법적 개선이 필요하다. Mileage is widely accepted to increase sales and secure customers continuously, and the issue on the matters of taxation is under active discussion. The purposes of this article are to contemplate how supply value of VAT is calculated in the transactions relating to mileage and to clarify problems of legislation and construction, subsequently providing alternatives for the problems. Another key issue is whether taxation on mileage can remain neutral against other transactions that aim to stimulate sales like business gifts. A regulation was written saying, “if goods are supplied and the goods are compensated in the entirety or in part through accumulated mileage, the value of the mileage used to compensate for the goods supplied shall be included in supply value.” And the construction based on this regulation is under progress. However, if the mileage does not have the nature of compensation, its value cannot be included in supply value. Mileage that does not function as compensation should be excluded from supply value, regardless of the form of rewards or the identities of the party banking the mileage and the party providing the rewards. Above regulation would lead to the result which stands in contrast to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VAT. When interpreted in this way, neutrality of taxation on taxable business gifts could come into question. However this conforms to legislative selection. Moreover, the above regulation covers only a narrow range of transactions involving mileage, while there are no regulation for cases in which the business managing the accumulation of mileage is not the same business providing the rewards of the mileage, or in which the rewards come in the form of service instead of goods. The regulation is applied only when mileage has the nature of compensation. There needs to be legislative improvements, such as repeal or limitation of scope on regulation.

      • KCI등재

        신탁 관련 거래와 부가가치세

        강성모(Kang Sungmo) 한국세법학회 2016 조세법연구 Vol.22 No.3

        신탁과 관련된 거래에서 부가가치세의 과세대상과 납세의무자를 어떻게 파악해야 하는지를 살핀다. 지금까지 신탁 관련 거래에 대하여 부가가치세가 어떻게 과세가 되고 있는지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입법 또는 해석에서의 문제점을 밝힌 다음 바른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현행 부가가치세 법령에는 신탁 관련 거래를 규율하는 명문의 규정이 없다. 해석에 맡겨져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대법원 판결의 기본 방향은 신탁으로 인하여 발생한 이익과 비용이 누구에게 속하느냐를 기준으로 부가가치세의 납세의무자를 정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행정해석은 ‘실질적 통제권’이라는 개념을 가져와 그 귀속에 따라 달리 판단을 할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해석은 타당하지 않다. 위탁매매 규정의 유추도, 실질과세도 논거가 될 수는 없다. 수탁자와 제삼자의 거래에서 거래의 주체는 수탁자이고, 부가가치세법상의 납세의무자도 수탁자로 보아야 한다. 물론, 대법원 판결과 행정해석 등을 통해 형성된 해석과 그에 따른 실무가 어느 정도 확립된 마당에 굳이 큰 변화를 가져와서 혼란만 가중하는 것 아니냐는 의문은 제기될 수 있다. 하지만 한결 더 간명한 과세를 위해서는 잘못된 해석과 실무는 바뀌거나 보완되어야 한다. 현행 부가가치세 법령에 특별한 문제가 있다고 하기는 어렵다. 다만, 혼란을 피하기 위해서는 바른 해석에 따른 규정을 마련해 적는 것도 고려해 보아야 한다. 소득에 대한 과세와의 통일을 고려하여, 수익자를 납세의무자로 삼는 방안을 생각해 볼 수는 있다. 이 방안은 기존의 해석 또는 실무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장점이 있다. 위탁자를 납세의무자로 삼는 방안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처럼 과세하기 위해서는 입법을 통해 부가가치세 제도 전체를 고려한 상세한 규정을 따로 마련하여야 한다. This article discusses how to determine which trust-related transactions are taxable with value-added tax and which party is liable to pay value-added tax. To this end, the article first analyzes how value-added taxes are imposed on trust-related transactions, identifies a number of issues with the legislation and the interpretation thereof, and finally proposes reasonable alternatives. With this, the Value-Added Tax Act and subordinate statute currently in place does not contain any provision regulating specifically trust transactions. This caused the taxation of trust transactions to be subject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statutes. Here, the mainstream of the Supreme Court judgement has been consistent in that the party liable for value-added tax is determined by looking into to whom the profit and expenses generated from the trust revert. Administrative interpretation, which has taken the concept of actual control, consider it as basis of judgement. However, such a interpretation is not justifiable as it can not be proved by an analogical application of the provisions on commission sales or by the principle of actual taxation. In a transaction between a trustee and a third party, the actual party of the transaction is the trustee, not the trustor. Therefore, the party liable to pay value-added tax under the Value-Added Tax Act should be the trustee. With this, some may question the validity of the alternative interpretation, pointing out that such interpretation would only disrupt the existing order established by the mainstream interpretation which has formed by the Supreme Court judgement and administrative interpretation and practices. However, unreasonable interpretations and practices must be corrected if we are to streamline our taxation system. Although it would be a stretch to maintain that the current Value-Added Tax Act and subordinate statute is in error, it might be a viable approach to introduce a provision that clarifies how trust-related transactions should be taxed. Holding the beneficiary liable for tax payment be another viable option, considering the need for consistency with taxation on income. This approach also offers the advantage of maintaining the existing interpretation and practices. Another option is to impose value-added tax on the trustor;however, taxation in this way should be accompanied by the introduction of detailed provisions that take account of the overall value-added tax system by legislation.

      • 저 스월 버너에서의 난류 예혼합 부상화염장의 해석

        강성모(Sungmo Kang),이정원(Yongmo Kim),김용모(Jae-Hwa Chung),정재화(Jae-Hwa Chung),안달홍(Dal-Hong Ahn) 한국유체기계학회 2006 유체기계 연구개발 발표회 논문집 Vol.- No.-

        This study has numerically modelled the combustion processes of the turbulent swirling premixed lifted flames in the low-swirl burner (LSB). In these turbulent swirling premixed flames, the four tangentially- injected air jets induce the turbulent swirling flow which plays the crucial role to stabilize the turbulent lifted flame. In the present approach, the turbulence-chemistry interaction is represented by the level-set based flamelet model.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computations are made for the various swirl numbers and nozzle length. In terms of the centerline velocity profiles and flame liftoff heights, numerical results are compared with experimental data The three-dimensional approach yields the much better conformity with agreements with measurements without any analytic assumptions on the inlet swirl profiles, compared to the two-dimensional approach. Numerical clearly results indicate that the present level-set based flamelet approach has realistically simulated the structure and stabilization mechanism of the turbulent swirling stoichiometric and lean-premixed lifted flames in the low-swirl burner.

      • KCI등재

        사업상 증여에 대한 부가가치세 과세

        강성모(Kang Sungmo) 한국세법학회 2012 조세법연구 Vol.18 No.2

        부가가치세는 일반소비세이므로,모든 소비에 대하여 과세되어야 하는 것이 원칙이다. 사업상 증여에 따라 재화의 소비가 이루어지고, 이러한 이유에서 부가가치세법은 사업상 증여를 과세대상으로 삼고 있다. 그러나 일부 거래 유형에 대해서는 예외를 인정하고 있고, 그 범위에 관한 논쟁은 여전히 진행형이다. 특히, 사업상 증여의 범위와 관련하여서는 “증여되는 재화의 대가가 주된 거래인 재화공급의 대가에 포함되지 아니하는 것”이라는 문언의 해석이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아울러, 공급가액과 공급시기 등의 다른 쟁점과 관련하여서도 풀기 어려운 문제가 많다. 이와 관련된 법령의 규정은 명확하지 못한 부분이 많고,실무에서는 기본통칙 또는 유권해석에 기초해서 과세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가 많다. 대법원은 사업상 증여와 관련하여 여러 판결을 하였지만, 법리의 오해와 그 확대재생산의 반복으로 엉뚱한 방향으로 흐르고 말았다. 현재의 판례이론을 따르면 사업상 증여의 다른 요건을 충족하더라도 그것이 사업자의 판매부대비용에 해당하는 것이라면 과세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다. 사업상 증여가 부가가치세 과세대상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판단 기준을 부가가치세의 본질과 관련 법령의 해석이 아니라, 기본적으로 법인세의 영역에서 문제되는 판매부대비용과 접대비의 구별이라는 것에서 찾고 있다. 잘못된 잣대는 필연적으로 잘못된 결론을 초래하게 된다. 이와 같은 혼란은 현행 법령이 가진 문제점에서 기인한 바가 크고, 적절한 입법적 개선이 필요하다. 이 글의 목적은 이에 대한 답을 제시하는 데 있다. A value added tax is a form of consumption tax that is in principle levied on all consumption. Gift of business property result in consumption of goods, and for this reason the Value Added Tax Act levies taxes on business gifts. Some types of transactions are exempted from VAT, however, and the debate over the scope of the exemption is continuously evolving. Especially, regarding to scope of business gift, interpretation of the phrase “the condition that consideration of gifted goods should not be included in consideration of supply of goods, which is main trasaction” carries an improtant meaning. In addition, there are difficult issues on other points such as axabale amount and time of supply. Many provisions in the related laws are vague, in fact practitioners often decide whether a transaction is taxable based on the General rule or authoritative interpretations. The Korean Supreme Court issued a number of judgments in relation to gift of business property, but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case law has become distorted due to the continued misunderstanding. According to current case theory, a transaction may be exempt from taxation even when it fulfills the other requirements of a business gift if it is part of the business’s incidental expenses for sales. In deciding whether or not a business gift is subject to a levy of value added tax, the theory seeks the standard of decision not from the nature of a value added tax and the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but rather the distinction between incidental sales expenses and entertainment expenses, which is fundamentally in the area of corporate tax. An erroneous standard inevitably leads to erroneous results. This confusion owes in large part to the problems of the current laws and regulations, and this state of affairs requires appropriate legislative action.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uggest an solution for this.

      • KCI등재

        세금계산서와 매입세액 공제

        강성모(Kang Sungmo) 한국세법학회 2018 조세법연구 Vol.24 No.3

        세금계산서를 발급받지 않으면 관련 거래의 매입세액을 공제할 수 없다. 세금계산서의 일정한 기재사항이 적히지 않거나 사실과 다르게 적혀도 마찬가지다. 이러한 제도가 어떻게 운용되고 있는지를 분석한다. 이를 바탕으로 입법과 해석에서 바른 대안을 제시한다. 모든 매입세액이 공제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실제로 거래가 있었고 그것이 과세사업과 관련이 된 것이라면 공제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활용되는 것이 세금계산서다. 거래 사실의 존재를 증명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이다. 다른 한편으로 상호교차를 통해 검증하고 감시하는 기능도 한다. 이 때문에 세금계산서의 발급을 매입 세액 공제의 요건으로 한다. 하지만 세금계산서의 잘못을 이유로 매입세액을 공제하지 않는 데는 신중해야 한다. 공급자 또는 공급받는 자의 특정과 관련해서는 일정한 사항이 기재되지 않거나 사실과 다르게 기재되었더라도 여러 사정을 종합하여 누구인지 알 수만 있으면 된다. 공급자와 공급받는 자가 달라져도 면세, 영세율 등의 적용이 문제가 되지 않는 상황에서는 세 부담에 차이가 없다. 법률행위의 해석 또는 실질과세의 적용은 사후에 판단되는 것이고, 따라서 거래 시점에 언제나 제대로 세금계산서를 발급하기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세금계산서에 적힌 공급가액이 실제와 달라도 공급자가 매출세액으로 인식하는 금액과 공급 받는 자가 매입세액 공제를 받는 금액이 같으면 전체 세수에는 차이가 없다. 세금계산서가 공급시기에 맞춰 발급되지 않는다고 해도, 실제 거래내용에 따른 세금계산서가 발급 되고 공급자가 매출세액을 인식하는 때와 공급자가 매입세액을 공제받는 때가 같은 과세기간에 속하면 큰 문제는 없다. 이러한 이유에서 예외 규정을 두기도 하고, 해석을 통해서 균형을 유지하려는 노력도 있었다. 하지만 아직은 거래의 ‘실질’보다 세금계산서 제도 자체에 한결 더 무게가 실리고 있다. 지금의 틀을 유지하면서 문제가 되는 상황을 줄이는 방향으로 개선할 수도 있다. 하지만 한결 더 근본에서, 세금계산서의 잘못 때문에 매입세액 공제를 할 수 없도록 하는 것 자체를 바꾸는 편이 낫다. 반드시 규율해야 할 부분에 대해서는 예외 규정을 두면 된다. 그리고 이러한 예외적 사정에 대한 증명책임은 과세관청에 있다고 해야 한다. 추가로 제재가 있어야 한다면, 가산세나 형벌로 충분하다. An input tax from a transaction cannot be deducted unless the taxpayer has a tax invoice issued for the transaction, or if the tax invoice is missing any certain information or contains incorrect information. This paper looks into how the system of input tax deduction operates and, based on the findings, proposes right legislative and interpretative alternatives. It would not be reasonable to maintain that all input tax should be deductible. However, if a transaction did exist, and it was conducted in relation to a taxable business, the input tax from the transaction should be deductible. Tax invoices are used to prove that these requirements are met. A tax invoice provides crucial means to prove the existence of a transaction. It also allows for verification and monitoring through cross referencing. For this reason, the issuance of a tax invoice is one of the preconditions for input tax deduction. However, caution is required when refusing to deduct input tax on account of a faulty tax invoice. For example, with regard to the specification of the supplier or the recipient, a tax invoice that is missing certain information or contains incorrect information can be acceptable as long as the supplier or the recipient can be identified based on the relevant circumstances. Even if the actual supplier or the recipient is not the person indicated in the tax invoice, the resulting tax amount would not be different unless the transaction is eligible for an exemption or zero tax rate. Interpretation of juristic acts and determination of whether the transaction was applied by actual taxation take place a posteriori. Therefore, it would be difficult to expect all tax invoices to be properly issued at the time of the transactions. Even if the value of supply in the tax invoice differs from the actual, the total tax revenue dose not change if the amount that the supplier recognises as sales and the amount that the recipient deducts as input tax is the same. Even if a tax invoice is not issued in time with the supply of goods or services, it would not be a serious issue as long as a tax invoice conforming to the substance of the transaction is issued, and the supplier becomes aware of his/her output tax in the same taxation period in which the supplier has the input tax deducted. For these reasons, legislators have introduced exceptions to address the issue, and courts have attempted to maintain the balance by interpreting the relevant provisions in certain ways. However, these efforts have put more emphasis on the system of tax invoices rather than the substance of transactions to date. Granted, it is possible to reduce potentially problematic situations while maintaining the current framework. However, a more fundamental approach would be to reform the current system that refuses input tax deduction on account of faulty tax invoices. If there exists certain issues that need to be regulated, it can be achieved by introducing provisions that provide for exceptions. In such cases, it should fall on the taxation authorities to prove the existence of exceptional circumstances. In addition, if certain conducts need to be sanctioned, it will suffice to introduce penalties or punishments for such conducts.

      • KCI등재

        2014년도 국세기본법 및 부가가치세법 판례회고

        강성모(Kang Sungmo),박훈(Park Hun) 한국세법학회 2015 조세법연구 Vol.21 No.1

        이 글은 2014년도의 국세기본법 및 부가가치세법 관련 대법원 판례 중 선례로서 의미있는 국세기본법 관련 5건, 부가가가치세 관련 2건을 분석하고 그 의미를 찾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대법원 2014. 1. 29. 선고 2013두18810판결은 회수불능이 된 채권에 대해 국세기본법 시행령 제25조의2제4호가 규정한 후발적 경정청구를 인정한 사례이다. 이는 가능한 문언의 범위를 넘는 해석을 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대법원 2014. 11. 27. 선고 2012두28254판결은 법령 해석을 바꾼 판결이 있더라도 국세기본법 제45조의2제2항에서 정하는 후발적 경정청구를 할 수 없음을 명확히 밝혔다. 기존 판결의 연장선에 있다고 보인다. 그런데 위 대법원 2014. 1. 29. 선고 2013두18810판결은 문언에 불구하고 경정청구의 가능성을 넓히는 쪽으로 해석한 반면, 이 판결은 문언에 충실하게 해석하였다. 어떤 사유가 있을 때 후발적 경정청구를 할 수 있느냐에 대해서는 명확한 기준이 필요하다. 그러한 기준을 제시하지 않은 채 개별적인 판단에만 치중하면 예측 가능성을 낮추는 문제가 있다. 대법원 2014. 2. 27. 선고 2013두19516판결은 장기의 부과제척기간 적용시 ‘사기나 그밖의 부정한 행위’가 되기 위한 주관적 요건으로 조세 포탈의 결과에 대한 인식이 필요하다는 점을 명백히 밝힌 최초의 판결이다. 허위 문서의 작성과 같은 행위가 있었고 그에 따라 조세 포탈의 결과가 있었다고 하여 언제나 장기의 부과제척기간이 적용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 것이다. 대법원 2014. 6. 26. 선고 2012두911판결은 세무조사대상의 선정에 흠이 있다면, 그 세무조사에 기초한 과세처분은 위법하다고 하였다. 하자의 승계에 관한 이론에 비추어 보면, 세무조사결정 그 자체를 다투어야 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중복하여 실행된 세무조사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과세처분은 위법하다는 것이 대법원의 일관된 입장이고, 이러한 논리를 연장하면 세무조사에 존재하는 위법사유를 가지고 그에 근거한 과세처분을 다툴 수도 있다는 결론에 이를 수 있다. 다만, 세무조사와 관련된 모든 실체적. 절차적 위법을 과세처분 자체의 위법사유로 주장할 수 있다고 일반화하기는 이르다. 대법원 2014. 7. 24. 선고 2011두14227판결은 소득처분으로 인하여 소득이 귀속되는 소득의 귀속자가 자신에 대한 소득금액변동통지를 대상으로 다툴 수 없다고 한 최초의 판결이다. 소득금액변동통지 자체를 다투게 하기보다는 소득세 과세처분을 다투면서 소득금액변동통지에 존재하는 위법도 주장할 수 있도록 하는 편이 납세자에게 더 유리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대법원 2014. 5. 16. 선고 2011두9935판결은 부가가치세 영역에서 실질과세의 적용을 긍정하였다. 다만, 부가가치세에서는 ‘거래의 실질’이 문제가 되는 것이라는 점, 거래마다 거래징수와 세금계산서 교부 등이 이루어진다는 점, 매입세액 공제 때문에 사업자 사이의 거래는 과세하든 않든 차이가 없다는 점 등을 고려하면 다른 세목에 비해 엄격하게 적용해야 한다. 대법원 2014. 1. 16. 선고 2013두18827판결은 영업권이 “재산적 가치가 있는 무체물”로서 부가가치세의 과세대상이 되는 거래의 목적물인 재화에 해당한다고 한 최초의 판결이다. 돈을 더 벌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 때문에 주고받는 웃돈에 대해서 영업권의 대가라는 이름을 붙인 것일 뿐이라는 점에서 영업권은 물건도 아니고 권리도 아니다. 이점에서 대법원의 근거는 재검토가 필요하다. 다만, 영업권의 대가로 받은 돈도 공급가액에 포함해야 한다는 측면에서 보면 결과적으로는 같은 금액을 과세하게 된다.

      • KCI등재

        문화·예술행사와 부가가치세 과세

        강성모(Kang Sungmo) 한국세법학회 2012 조세법연구 Vol.18 No.2

        문화·예술의 진흥과 발전을 위한 여러 갈래의 지원 방안 중의 하나로 일정한 요건을 갖춘 문화·예술 관련 재화와 용역의 공급에 대하여는 부가가치세를 면제한다. 이를 뒷받침하는 근거를 다각도에서 검토하고, 관련 법령에 대한 적절한 해석론과 입법론을 제시하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문화국가의 원리는 헌법의 기본원리 중의 하나이다. 또한 문화·예술은 양의 외부성을 만들어 내고, 가치재로서의 성격도 가진다. 이러한 점은 문화·예술에 대한 지원을 정당화하는 요소가 된다. 그러나 그 목적 달성을 위한 수단은 적정한 범위 내의 것이어야 하고, 특히 세제 차원에서의 지원은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그 범위를 확대하는 것에는 신중해야 할 필요가 있다. 현행 법령은 명확하지 않은 부분이 많고,그러한 이유 때문에 많은 해석상의 논란이 발생하고 있다. 사실, 문화·예술은 그 자체의 속성상 정의하거나 범위를 한정짓는 것이 불가능에 가깝다는 측면도 무시하기 어렵다. 최근 공연예술은 예술창작품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판결이 있었고, 이와 관련한 많은 논쟁이 예상된다.문언의 해석으로서는 위 판결의 결론이 타당하지만, 예술창작품의 범위를 미술·음악 또는 사진에 속하는 창작품으로 한정하는 부가가치세법 시행령 제36조 제1항의 규정은 개정될 필요가 있다.그러나 문화·예술행사의 공급이 면세되기 위한 요건 중의 하나인 ‘영리 목적’을 삭제하는 것은 그 효과와 역효과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반드시 뒷받침되어야만 가능하다. One of the policies that most countries adopt to promote and advance culture and the arts is to provide exemptions from value added taxes on supplies of goods and services related to culture and arts that meet certain condition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wofold:to review the legal rationale behind the policy of V.A.T. exemption on cultural and artistic events from multiple perspectives, and to make recommendations for interpreting existing legal grounds and making new laws. ‘Kulturstaat’is one of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the constitutional law for many countries. Culture and the arts are often sources of positive externalities and can be regarded as merit goods in certain contexts. These characteristics often justify a country’s support for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However, there are necessary constraints on the degree and types of instrumental support that a state can render to promote culture and the arts, given the fact that a state gathers its resources from limited tax revenues. Therefore, expanding the scope and boundaries of support for culture and the arts in any country requires a cautious approach. The existing laws that support culture and the arts are quite vague, and are often the cause of interpretative disputes. A reason for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nature of culture and the arts per se, which cannot be defined and established in a clear-cut manner. A recent court decision invited controversy by excluding performing arts from “creative works of art”. While a literal reading of the existing legal provisions may support the court decision, it does not obviate the need for an amendment of Article 36, Section 1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Value Added Tax Act, which restricts the scope of“creative works of art”to those of fine arts, music, and photography. Nevertheless, the discussion of whether or not to use the purpose of“profit-making”as a condition for imposing or abolishing value added taxes on supplies of cultural and artistic events must first be supported by empirical research that demonstrates the benefits and harms of adding such condition.

      • KCI등재

        2016년 부가가치세법 판례회고

        강성모(Kang Sungmo) 한국세법학회 2017 조세법연구 Vol.23 No.1

        2016년에 선고된 부가가치세법 관련 대법원 판결 몇 가지를 골라 분석하였다. 공급의 개념과 범위, 공급장소의 결정, 공급가액 산정, 공통매입세액의 안분, 사실과 다른 세금계산서 등의 여러 쟁점에서 중요한 판결이 많았다. 공급의 대가를 받을 권리를 양도하였다고 하더라도 납세의무자가 바뀌는 것은 아니라는 대법원 판결이 있었다. 중요한 것은 공급자의 지위 자체를 넘긴 것인지, 채권이 양도된 것인지를 따지는 작업일 것이다. 대법원은 매입세액을 공제받은 소형승용자동차를 비영업용으로 사용하다가 팔면, 비영업용으로 사용할 때 공급으로 간주가 되어 과세가 되고, 팔 때 다시 과세가 되는 것이 원칙이라고 하였다. 하나의 재화에 대해서 두 번 과세하게 되는 셈인데, 이러한 결과가 바람직한지는 의문이다. 의제매입세액 공제의 범위를 넓히는 등의 조치도 고려해야 한다. 용역의 공급장소와 관련하여, 여러 역무가 하나의 공급을 이루는 때에는 그중 ‘중요하고 본질적인 부분’을 따져 그 부분이 제공된 장소가 공급장소라는 것이 대법원의 태도다. 관련된 쟁점으로, 역무의 제공을 ‘하는’장소와 역무의 제공을 ‘받는’장소가 다를 때 어디를 공급장소로 할 것이냐가 문제가 된다. 소비지국 과세가 원칙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공급받는 자를 중심으로 판단해야 한다. 대법원 판례도 이러한 태도인 것 같다. 대법원은 홈쇼핑을 통해서 상품을 팔 때 할인쿠폰이 사용됨에 따라 적게 받는 돈은 공급가액에 포함할 수 없다고 하였다. 또한 인터넷 거래 공간을 제공하는 자가 자신을 통해 상품을 파는 자로부터 서비스 이용료를 받으면서 할인쿠폰 상당액만큼 돈을 적게 받으면 그 금액만큼은 공급가액에 포함할 수 없다고 하였다. 판매자는 구매자로부터는 돈을 적게 받지만 그만큼 다른 돈(예를 들어, 서비스 이용료)을 적게 내므로 경제적인 면에서는 차이가 없다. 그렇다고 해서 공급가액 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없다는 점을 명확히 한 것이다. 점수(포인트)사용과 관련된 전원합의체 판결은 의미가 크다. 이전의 거래에서 적립된 점수를 사용해서 대금을 적게 내면 그 적게 낸 돈만큼은 공급가액에 포함될 수 없고, 이러한 법리는 점수를 적립해 준 사업자가 서로 정산금을 주고받더라도 그대로 적용된다는 것이 요지다. 정산금은 소비자가 낸 돈의 일부다. 사업자가 자신이 적립해 준 점수 이상의 부담을 지는 것을 막기 위해 주고받는 돈 때문에 공급가액이 달라질 수는 없다. 과세사업과 비과세사업을 겸영하는 때에 공급매입세액을 어떻게 안분을 할 것이냐와 관련된 법리가 대법원 판결을 중심으로 형성되었고, 입법으로도 반영되었다. 이 쟁점과 관련된 몇 대법원 판결에는 찬성하기 어렵다. 비과세사업은 무엇인지, 어떠한 기준으로 안분을 해야 하는지 등과 같은 풀기 어려운 문제가 아직 많이 남아 있다. 세금계산서에 필요적 기재사항이 사실과 다르게 적히면 매입세액이 공제되지 않는 불이익을 받는다. 세금계산서 제도가 부가가치세 제도의 근간 중 하나라는 점을 생각하면 어쩔 수 없는 조치일 수 있다. 하지만 거래가 있었고 그 사실이 증명된 사안에서까지 지나치게 엄격히 적용할 것은 아니다. 공급시기 전에 발급된 세금계산서와 관련된 매입세액도 세금계산서를 작성하여 발급한 날과 공급시기가 같은 과세기간에 속하면 공제할 수 있다는 판결은 이러한 생각에 기초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반면, 공급자가 다른 사람의 명의를 빌려 세금계산서에 그 사람의 성명을 기재한 때에는 사실과 다른 세금계산서가 된다고 한 판결도 있다. 적절한 균형점을 찾으려는 고민의 결과로 이해된다. This article reviews a number of Supreme Court cases in 2016 that involve the Value-Added Tax Act. During such period, the Supreme Court produced a large number of significant judgments on various issues such as the concept and scope of supply, the determination of the place of supply, the determination of the value of supply, the distribution of purchase tax amount, and tax invoices with false information. In one of the cases, the Supreme Court held that the assignment of a supplier’s right to the payment for a supply does not transfer the liability for the supplied goods or service. The issue ultimately hinges on whether the supplier assigned its supplier status itself or only assigned its claim for the payment. In another case where a person received a deduction of input tax for a small passenger car;used the vehicle for non-business purposes;and, later, sold it to another person, the Supreme Court held that the use of the vehicle for non-business purposes is regarded as a taxable supply in itself, apart from the subsequent sale. In this case, its ruling is somewhat debatable as it effectively imposes the same tax on a single article twice. In addition, it is need to consider to increase the scope of the deduction of fictitious purchase tax amount. When multiple services rendered at different places constitute a single supply, in accordance with the Supreme Court, the place of supply is the place where the most important and essential service was rendered. A related issue is whether a value-added tax for a service should be imposed based on where the service was “provided” or “received.” As a value-added tax should be imposed where goods or a service is consumed, a value-added tax for a service should be imposed based on where the service was received. The Supreme Court seems to be taking the same stance. In another case that involves products sold through shopping channels, the Supreme Court held that the portion of a price discounted with a discount coupon is not included in the value of supply. In addition, in accordance with the Supreme Court, if an online distribution platform provider subtracts the amount discounted with discount coupons from the service fee to be received from a vendor, the discounted amount is not included in the value of supply. When a discount applies, the vendor receives a reduced amount from the consumer. The vendor does not suffer any financial loss as another payment(for example, its service fee to the platform provider) is reduced to the same extent. The Supreme Court’s ruling reaffirmed that the absence of financial loss has no bearing on the calculation of the value of supply. Moreover, it issued a highly significant en banc judgment with regard to top-up points. The gist of the judgment is that, when a price is discounted with points topped up from previous transactions, the discounted portion is not included in the value of supply. The doctrine applies even when the company/provider and the vendor exchanged payments to account for the points used. Such payment between the company/provider and the vendor is a part of the amount paid by the consumer. The value of supply should not be influenced by the money exchanged to limit its burden to the amount of the topped up points. Through a series of judgments, the Supreme Court has formed its doctrine on the distribution of input tax amount between taxable businesses and non-taxable businesses conducted by the same person. Its doctrine also found its way into relevant legislations. However, some of the Supreme Court’s judgments on this issue are questionable. Difficult issues, such as the scope of non-taxable businesses and the specific criteria for proportionate distribution, still remain. If a tax invoice contains false information, the corresponding input tax amount is not deducted. This action is justified by the fact that tax invoices form one of the foundations of the value-added tax system. However, it would not b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