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델파이 조사를 활용한 능력중심사회의 개념 설정 및 구성 요소 추출

        허영준,박동열,강서울 한국직업교육학회 2015 職業 敎育 硏究 Vol.34 No.6

        Our society as well as government tries to escape an academic background-oriented society where individuals' competencies are evaluated by their academic background or specs, and then to establish a competency-oriented society which could provide fair opportunities and where individuals could perform their competencies. There is, however, a limitation that the concept of a competency-oriented society is ambiguous. Thu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establish the concept of a competency-oriented society and to extract its components. To achieve those aims, preceding studies were analyzed, the concept of a competency-oriented society and its components based on the theory ‘Social Quality’ in sociological dimension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preceding studies were extracted, and the appropriacy and validity of the concept of a competency-oriented society and its components were surveyed and prioritized using a Delphi method. As a result, the concept of a competency-oriented society is defined as “the society of being able to perform one's competencies without discrimination by offering fair opportunities to develop competencies for everyone and implementing competency-based hiring, VET, personnel management practices, etc. by constructing national system recognizing one's competencies with utilizing comprehensively various components without limiting specific components such as educational background and academic ability, etc. Also, The components of a competency-oriented society are identified based on the theory “Social Quality” in four dimensions: socioeconomic security, social cohesion, social inclusion, and social empowerment and 10 sub-components are extracted using a Delphi survey in three rounds. The 10 sub-components were prioritized by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analytic technique, three of which are ‘diversification of competency accreditation’, ‘solving and prevention social discrimination’, and ‘providing systematic career guidance services’ in priority order. Based on those results, the functions and roles of a competency-oriented society are proposed. 정부는 물론 우리 사회는 현재 개인의 능력이 학력이나 스펙으로 인정받던 학력중심사회를 탈피하고, 공정한 기회 부여와 개인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능력중심사회를 구현하고자 한다. 그러나 능력중심사회의 개념이 명확하지 않다는 한계점을 안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능력중심사회의 개념을 설정하고 구성 요소를 추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선행연구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사회학적 차원에서 ‘사회의 질’이론에 근거한 능력중심사회의 개념과 구성요소를 추출하여, 이를 3차에 걸친 델파이를 통해 적절성과 타당성 및 구성요소의 우선순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능력중심사회를 ‘학력이나 학벌 등의 특정한 요소로 국한하지 않고 다양한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개인의 능력을 인정하는 국가적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모든 구성원에게 능력개발에 대한 공정한 기회가 주어지고 능력중심의 고용, 직업교육훈련, 인사관행 등이 이루어져 개인이 가진 능력이 차별 없이 발휘될 수 있는 사회’로 정의하였다. 또한, 이러한 능력중심사회가 갖추어야 할 구성요소를 ‘사회의 질’ 관점에서 접근하여 ‘사회적 안전성’, ‘사회적 응집성’, ‘사회적 포용성’, ‘사회적 역능성’의 4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여 정의하고, 3차에 걸린 델파이 조사를 통해 각 영역의 구성요소를 각각 도출하였다. 도출된 10개의 구성 요소는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분석 기법을 통해 가중치와 우선순위를 분석하여 ‘능력 평가인정의 다양화’, ‘사회적 차별 해소와 방지’, ‘체계적인 진로지도 서비스 제공’ 순으로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능력중심사회가 가져야할 기능과 역할에 대해 제시하였다.

      • KCI등재

        청년층 직업계고 졸업자의 경력경로 형성 경험과 특성

        류지은,김성남,안재영,강서울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23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55 No.1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areer path-related experiences and characteristics of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and to explore the forming process of career paths. To this end, we interviewed 20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and drew six categories, 20 themes, and 59 sub-themes. The six categories consist of three for experiential characteristics(entrance to vocational high school and employment, work-life experience, career development experience) experienced by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in the career path and three for contextual characteristics(individual level, social level, societal level) that influenced the entire career path. We found that the career path of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differs depending on what kind of experience the individual has with the job, and the work experience and career development experience interact to form the individual's career path. In addition, the career goals, the social context surrounding them, such as home, school, and companies, and the government's employment support and "work first-then to college" policies affect the career path of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ustomized employment support and quality improvement of "work first-then to college" programs are necessary for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to settle in the labor market and promote career development. 이 연구는 직업계고 졸업자의 경력경로 형성 경험과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직업계고 졸업자의 경력경로 형성 과정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직업계고 졸업자 20명을 대상으로 면담 조사를 실시하고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6개 범주, 20개 주제와 59개의 하위 주제를 도출했다. 6개 범주는 직업계고 졸업자들이 경력경로 형성 과정에서 겪는 경험적 특성 3개 범주(① 직업계고 진학과 취업, ② 직장생활과 일 경험, ③ 경력개발 경험)와 경력경로 형성 과정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친 맥락적 특성 3개 범주(① 개인적 차원, ② 사회적 차원, ③ 사회제도적 차원)로 구성되었다. 직업계고 졸업자의 경력경로는 개인이 직업과 관련해 어떤 경험을 하느냐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장생활 및 일 경험과 개인의 경력개발 경험이 상호작용하며 개인의 경력경로를 형성하고 있었다. 또한 직업계고 졸업자의 경력목표와 이들을 둘러싼 가정, 학교, 기업 등의 사회적 맥락, 정부의 취업 지원 및 선취업 후학습 정책 등이 직업계고 졸업자의 경력경로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직업계고 졸업자의 노동시장 안착과 경력개발 활성화를 위해 맞춤형 취업 지원과 후학습 프로그램의 질 제고 등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프로젝트 기반 수업에서 문제해결력과 정의적 성취 간 관계

        최지연(Jiyoun Choi),강서울(Seoul Ka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24 열린교육연구 Vol.32 No.3

        본 연구는 프로젝트 기반 수업을 진행하는 마이스터고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문제해결력, 협력적 자기효능감, 정의적 성취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문제해결력과 정의적 성취 관계에서 협력적 자기효능감이 어떠한 매개효과를 가지는지를 검증하였다. 마이스터고 재학생 160명을 대상으로 SPSS, Process Macro Model 4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종속변인인 정의적 성취와 독립변인인 문제해결력(문제해결자신감, 접근회피스타일), 매개변인인 협력적 자기효능감은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협력적 자기효능감은 문제해결력과 정의적 성취 사이에서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제해결력의 하위 요인인 문제해결자신감과 접근회피스타일 역시 같은 결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성공적인 프로젝트 기반 수업을 위해서는 협력적 자기효능감이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으며, 그에 따른 교수 방법론적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problem-solving abilities, self-efficacy for group work, and affective achievements and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for group work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blem-solving abilities and affective achievements targeting Meister high schools which conduct project-based learning. Analyzing 160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using SPSS and Process Macro Model 4, the result shows that the dependent variable, which is affective achievement, the independent variable, which is the problem-solving ability (problem-solving confidence and approach-avoidance style), and the mediating variable, which is self-efficacy for group work, show a significant correlation. In addition, self-efficacy for group work is completely mediated between problem-solving abilities and affective achievement, and sub factors of problem-solving abilities which are problem-solving confidence and approach-avoidance style are as well. Based on the results, it is found that self-efficacy for group work is a very important factor for successful project-based learning. And then, implications from the teaching methodological side are suggested.

      • KCI등재

        직업계고 취업지원관의 직무모형 및 교육요구도 분석

        곽미선(Misun Kwak),김성남(Seoung-Nam Kim),강서울(Seoul Kang) 한국직업교육학회 2021 職業 敎育 硏究 Vol.40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직업계고등학교(이하 직업계고) 취업지원관 직무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취업지원관의 직무를 도출하고 직업계고 취업지원관들이 인식하고 있는 직무의 수행 빈도, 중요도 및 현재 수행 수준을 통해 교육요구도를 분석하여 직업계고 취업지원관의 역량을 높일 수 있는 교육과정의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취업지원관 및 취업부장교사와 함께 DACUM 직무분석을 하였다. 또한 직무모형의 타당성 및 직무 수행 수준을 살펴보기 위해 2020년 12월 16일부터 2020년 12월 31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425명이 응답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지원관의 직무는 크게 ‘취업환경 정보수집’, ‘취업처 발굴 및 관리’, ‘취업상담’, ‘취업준비과정 지원’, ‘취업 지원’, ‘사후관리’의 6개 책무로 도출되었다. 둘째, 직업계고 취업지원관의 직무 중 수행 빈도가 가장 높은 책무는 ‘취업처 발굴 및 관리(평균 4.50)’였으며,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책무는 ‘취업처 발굴 및 관리(평균 4.66)’, 현재 직무수행 수준이 가장 높은 책무는 ‘취업처 발굴 및 관리(평균 4.31)’로 나타났다. 셋째, 취업지원관 개인특성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 정규직 및 무기계약직 그룹의 수행 빈도, 중요도 인식, 수행 수준이 높게 확인되었으며, 산업체 경력이 많은 집단, 관련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는 집단이 ‘취업처 발굴 및 관리’, ‘취업상담’ 등의 수행 수준이 더 높았다. 넷째, 취업지원관의 직무 중 ‘취업상담’의 교육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중요도는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나 수행 빈도 및 수행 수준이 낮아 교육연수 프로그램 운영 시 우선적으로 진행해야 할 것이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정책에 활용할 수 있는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raw up basic data on the curriculum to derive jobs for job consultants and to analyze of educational needs through the frequency, importance, and current level of performance of duties recognized by job consultants. DACUM was conducted with job consultants and employment assistant teachers, and an online web survey was conducted from 2020.12.16 to 12.31 to examine the feasibility of the job model and the level of job performance, and 425 people respond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job consultants job was classified into six duties: collecting employment environment information, finding and managing a place of employment, job counseling, supporting job preparation process, and managing follow-up. Second, among the jobs of job consultants, the most frequent and important duty was ‘finding and managing a place of employment’. The highest level of current job performance was also ‘finding and managing a place of employment’. Third, looking at differences in personal characteristics of job consultants, it was found that regular and indefinite contract workers groups had higher performance frequency, importance awareness, and performance levels, and groups with industry experience and related certificates had higher levels of finding and managing employment. Fourth, the education demand for employment counseling was high. Although the importance was highly recognized, the performance frequency and level of performance are low, so it should be prioritized when operating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uggestions that can be used in policies we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