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후 발생된 이소성임신 1 예

        박종민,이승재,민응기,강서옥,차영범,송주철 대한산부인과학회 199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3 No.12

        이소성임신은 최근 과배란유도에 따른 시험관아기시술 등 적극적인 불임치료 과정에서 종종 볼 수 있는 임신의 합병증으로, 세심한 관찰로 조기진단이 가능하며 적기에 자궁외임신의 치료를 하면 자궁내임신을 정상적으로 지속시킬 수 있는 바, 자궁외임신이 파열 전에 진단함이 매우 중요하며, 이러한 비정상임신의 발생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고위험군 환자에 있어서는 초음파 추적검사시 다발성 황체 등에 가려져 정확히 식별되지 못하는 자궁외임신의 존재 가능성을 항상 생각하므로써 진단 및 치료의 적정시기를 놓치지 않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되어 문헌의 고찰과 함게 저자들의 경험을 보고하는 바이다. The heterotopic pregnancy, a kind of abnormal pregnancy, is believed to result from the implantation of dzygotic embryos at widely separated sites and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would seems to enahnce the spontaneous occurrence of this event. Several studies reported an incidence of 1 in 30,000 spontaneous pregnancies, but recently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such as in vitro fertilization(IVF) or gamete intrafallopian transfer(GIFT) increase the incidence of this type of pregnancy up to 1%. We experienced a case of heterotopic pregnancy, combined intrauterine and left tubal pregnancy occured after in vitro fertilization and embryo transfer. Therefore, we presented this case with a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s.

      • KCI등재

        자궁경부종양 (Cervical Neoplasia) 의 Scrape 표본에서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한 Human Papillomavirus의 검출

        한원희,박종택,김학순,김승철,강서옥,차영범,송주철,문인걸,한인권 대한산부인과학회 199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5 No.9

        본 연구에서 저자들은 정상 control 25예, 자궁경부상피내종양(CIN) 22예, 침윤성 자궁경부 편평상피세포암(invasive squamous cell ca) 32예를 대상으로 하여 이들로부터 Pap smear시 동시에 얻은 자궁경부 scrape 표본을 가지고 PCR을 시행하여 HPV type-16, -18의 검출을 시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정상 control group에서 HPV type-16의 감염율은 44.0%였으며 자궁경부 이형상피증(dysplasia), 상피내암(CIS), 자궁경부 편평상피세포암(squamous cell ca) 각각에서는 62.5%, 83.3%, 96.9%의 감염율을 보였다(Table 3). 2. 정상 control group에서 HPV type-16의 감염율은 4.0%였으며 자궁경부 이형상피증(dysplasia), 상피내암(CIS), 자궁경부 편평상피세포암(sqamous cell ca) 각각에서는 18.8%, 0.0%, 15.6%의 감염율을 보였다(Table 3). 3.HPV type-16 과 type-18의 동시감염(coinfection)율을 보면 정상control group에서 4.0%였으며 자궁경부 이형상피증(dysplasia), 상피내암(CIS), 자궁경부 편평상피세포암(squamous cell ca) 각각에서는 12.5%, 0.0%, 15.6%의 동시 감염율을 보였다(Table 3). 4. Pap smear의 결과와 HPV type-16,-18의 감염율을 비교한 결과는 table 4와 같아 Pap smear의 class가 높을수록 HPV DNA의 positivity는 점차 높아지는 양상을 보였으며 정상의 Pap smear(class I,II) 결과를 보인 경우에도 상당수의 환자(class I : 42.9%, classII : 66.7%) 에서 HPV DNA는 양성을 보였다. 이상의 예비적 실험결과, PAP smear를 시행시 자궁경부종양(cervical neoplasia)의 scrape 표본을 동시에 얻어, 종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한 HPV DNA를 검출하는 방법은 자궁경부암의 고위험군 환자를 검색하는데 큰 도움이 될 뿐 아니라, 앞으로 용이하게 널리 사용될 수 있으며, 아주 민감하고, 신속한 검색방법이라 사료된다. 한편 HPV type-16은 자궁경부 편평상피세포암의 발생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되며, 본 연구에서와 같이 HPV type-18은 type-16과 달리 자궁경부 편평상피세포암에서는 검출율이 아주 낮은 것으로 보아, 아마도 자궁경부암 발생에 있어서 HPV type-16과 -18의 역할이 서로 상이할 것으로 추측할 수 있겠다. 한편 정상 세포진검사(Pap smear)결과를 보인 환자 상당수에서 HPV DNA가 검출됨에 관하여서는 예의 주목하여야 할 것이며, 이 환자들의 장기간 추적검진을 통하여, 이 환자들이 과연 자궁경부암으로 향후 진행할 것인지에 관한 연구는 HPV가 자궁경부암의 발생원인이라는 현재의 가설을 밝히는데 매우 중요한 자료가 될것으로 사료된다. Epidemiological studies suggest that a venereally transmitted infectious agent such as HPV`s could play a important role in the etiology of human cervical carcinoma. Over 60 different types of HPV have been identified. However, only certain types are commonly found in female genital genital lesions, including HPV-6 and HPV-11, associated with condylomata accuminata, and HPV-16 and HPV-18, associated with cervicaldysplasia and carcinoma. Various methods have been successfully used for the detection of HPV in genital lesions, including antigenic analysis, Southern blot hybridzation, dot blot hybridization and in situ hybridization. HOwever these methods are cumbersome and often lack sensitivity. A very sensi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procedures capable of amplifying specific DNA sequeces by up to millionfold was recently developed for detection of HPV DNA. In this study, we performed the PCR procedures to detect HPV-16,-18 in cervical scrape speciments obtained from 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a (CIN; 22 cases) and invasive squamous cell carcinoma (32 cases) and normal cervix (25 cases). And we compared the prevalence of HPV`s with the histologic diagnosis and findings of Pap smears. The results were as follow; 1. The detection rate of HPV-16 DNA in normal cervix, dysplasia, CIS and invasive squamous cell carcinoma were 44.0%(11/25), 62.5%(10/16), 83.3%(5/6), 96.9%(31/32), respectively. 2. The detection rate of HPV-18 DNA in normal cervix, dysplasia, CIS and invasive squamous cell carcinoma were 4.0%(1/25), 18.8%(3/16),0%(0/6), 15.6%(5/32) respectively. 3. The co-infection rate of HPV-16 and -18 in normal cervix, kysplasia, CIS and invasive squamous cell carcinoma were 4.0%(1/25), 12.5%(2/16), 0%(0/6), 15.6%(5/32) respectively. 4. The results of comparison of comparison between the prevalence of HPV`s and the findings of Pap smears were as follows; ------------------------------------------------------------------------------ Pap smears --------------------------------------------------------------------- HPV DNA Class I Class II Class III ClassⅣ ClassⅤ No.(%) No.(%) No.(%) No.(%) No.(%) ------------------------------------------------------------------------------ Type 16 9/21(42.9) 4/6(66.7) 8/14(57.1) 8/9(88.9) 28/29(96.5) Type 18 1/21(4.8) 0/6(0.0) 3/14(21.4) 0/9(0.0) 5/29(17.3) ------------------------------------------------------------------------------ In cervical scrape specimens, detection of HPV DNA using the PCR is considered to be very rapid, easy and sensitive method for detection of HPV DNA and also helpful to screen the women with a high risk of cervical cancer. And HPV maybe a important factor in the development of cervical cancer, but the roles of HPV-16 and HPV-18 in the development of cervical cancer maybe different each other.

      • KCI등재

        자궁경부암과 전이 임파절의 파라핀포매 (Paraffin-Embedded) 조직에서의 중합효소 연쇄반응 (Polymerase Chain Reaction) 을 이용한 HPV의 검색

        한원희,김희숙,홍성란,박종택,김승철,강서옥,송주철,김홍기,문인걸,한인권 대한산부인과학회 199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4 No.3

        1989년 1월부터 1990년 6월까지 제일병원 산부인과에서 자궁경부암으로 진단받고 근치적 자궁적출술 및 임파선 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 중 임파절에 전이된 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이미 파라핀에 포매되어 병리과에 보관되어 있는 자궁경부 및 전이된 임파절 등 총 38개의 파라핀포매 조직절편을 얻어 종합효소 연쇄반응을 이용한 HPV type 16, 18번의 검출을 시행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HPV type-16은 9명 중 8명에서 검출되어 89%양성률을 보였다. 2) HPV type-18은 모든 조직절편에서 음성이었다. 3) 자궁경부암에서 HPV type-16이 검출된 경우는 동일 환자의 전이 임파절에서도 모두 양성으로 검출되었고, 자궁경부암에서 HPV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동일 환자의 전이 임파절에서도 검출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자궁경부암의 원발부위와 전이 임파절에서의 HPV의 유병률(prevalence)은 100% 일치하였다. 이러한 상관 관계는 자궁경부암에서 기인한 전이암의 병리학적 분석(pathologic analysis)에 도움이 될 뿐 아니라 자궁경부암의 발생원인을 규명함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그리고 종합효소 연쇄반응은 빠르고 정확하다는 장점 이외에, 검체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동결조직 및 세포뿐만 아니라 임상적으로 구하기가 쉬운 파라핀 포매(paraffin-embedded) 조직에서도 특정 유전자의 검색이 가능하므로 후향적(retrospective)연구에도 매우 유용하리라 사료된다. During the last several years, attention has been increasingly focused on the HPV and its relationship to cervical neoplasia. Several methods have been used for detection of HPV in genital lesions, including Southern blot analysis, dot blot analysis, and in situ hybridization. But these methods are cumbersome and often lack sensitivity when the amount of virus or viral DNA if reduced with increasing dysplasia. Recently PCR procedure was developed. This PCR procedure can amplify specific DNA sequences by up to a millionfold. In this study, we analysed HPV DNA type 16/18 using PCR in 38 paraffin-embedded tissues of cervical squamous cell carcinomas and their metastatic lymph nodes obtained from 9 patients who had undergone radical abdominal hysterectomy and regional lymph node dissection due to cervical carcinoma. It had been already proved by other authors that the specificity of the PCR is unaffected by the methods of fixation used before embedding into paraffin. We used 10% formalin as a fixativ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eight of nine patients, HPV type-16 DNA was detected in the cervical squamous cell carcinomas and also in their lymph node metastases. 2. All of the nine patients were negative for the HPV type-18. Conclusively, HPV DNA positivity in cervical squamous cell carcinomas was correlated well with HPV prevalence in their metastatic lymph nodes, resulting in a 100% agreement of HPV type-16, 18 prevalence. This direct relationship between the presence of HPV in both the primary cervical carcinoma and its metastasis may become a tool in the pathologic analysis of metastatic tumor derived from the cervix. And the methodology used in this study can offer the rapid and sensitive analysis of HPV and possibility of retrospective studies on archival materials.

      • KCI등재

        난관근위부폐쇄의 비개복적치료에 있어서 자궁경관을 경유한 난관의 카테터삽입술의 의의

        노성일,박종민,이승재,조정현,권혁찬,강서옥,이도연,조병제 대한산부인과학회 199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5 No.7

        1989년 5월부터 1990년6월까지 제일병원 불임크리닉을 내원한 난관폐쇄에 의한 불임환자 46예를 대상으로 카테터를 이용하여 자궁경부를 통한 난관 재개통술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재개통 시술의 성공률은 방사선 투시하에 시술한 난관 56개중 35개의 난관 즉 62.5%에서 성공하였고, 자궁경하에 시행한 24개의 난관중 16개 즉 66.7%에서 성공하여 두군 간에 시술성적상에 차이가 없었고 전체적으로 63.8%의 성공률을 나타냈다. 2. 폐쇄된 부위에 따른 결과는 난관의 간질부위와 협부의 자궁근위부 1/3내에서 폐쇄가 된 경우에는 59개의 난관중에서 42개의 난관, 즉 71.2%에서 지속적으로 개통이 유지되어 난관협부의 원위부폐쇄의 재개통을 42.9%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3. 난관재개통술 후 임신율을 살펴보면, 난관폐쇄의 요인을 갖고 있는 25예의 환자중 6예에서 임신이되어 시술당 24%, 재개통 성공당 28.0%의 임신율을 보였으며, 단지 난관의 폐쇄만이 있었던 21예만을 대상으로 하였을때는 8예에서 임신이 되어 38.1%의 임신율을 나타내었고, 시술 후 자궁난관조영술상 일측 난관이라도 지속적인 난관의 개통을 유지한 17예중에 대하여서 47.2%였다. 전체 환자군중 추적기간(평균 12개월)내에 임신이 확인된 환자는 14예(30.4%)였다. 4. 합병증으로 재폐쇄가 3예, 천공(perforation)은 7례에서 발생하였으나 특별한 처치는 필요없었다. 이외에 출혈, 감염 및 자궁외임신은 없었다. The obstruction of the proximal fallopian tube occurs in 15% of hysterosalpingograms(HSG) performed for infertility. Conventional HSG or laparoscopy may not differentiate the cornual spasm or other temporary causes from true occlusion. We used the transcervical cannulation of the proximal fallopian tubes with a 3-F teflon catheter and a flexible guidewire, 0.015 inch(0.038 cm) in diameter muder the hysteroscopic or fluoroscopic guidance to evaluate and treat the patients with proximal fallopian tube obstruction. Fifty eight patietns with obstructions of the proximal portion of one or two fallopian tubes based on a hysterosalpingogram or a laparoscopic examination were selected for the procedure. Twelve patietns found to have patent oviducts by the selective salpingogram & the selective chromopertubation were therefore excluded from this study. Tubal patency of at least one fallopian tube was achieved in 27 patients(51 tubes), as demonstrated by hysterosalpingogram immediately after the transcervical cathterization procedure. The success rate of recanalization was 62.5%(35/56 tubes) under fluoroscopy and 66.7% (16/24 tubes) under hysteroscopy. In a mean follow-up of twelve months (range: from 8 months to 17 months), eight women with patient tubes after the procedure became pregnant. We conclude that transcervical catheterization appears to represent a useful, less invasive and safe technique to achieve patency in selected cases of proximal tubal obstru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