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아시아의 전환기 경험과 새로운 세기의 시대정신

        강상규(Kang Sang-gyu)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0 한국학연구 Vol.32 No.-

        본 연구는 21세기 지구적 차원에서 맞이하고 있는 거대한 전환의 흐름을 동아시아와 한반도의 맥락에서 더듬어보고 재구성하려는 의도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질문을 담고 있다. 19세기 이후 동아시아에서는 어떠한 패러다임의 전환이 있었을까? 거대한 전환의 과정에 한반도와 다른 동아시아 국가들은 어떠한 위기의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어떠한 대응을 했던 것인가? 당시 동아시아 삼국의 각기 다른 선택은 이후 어떤 다른 결말로 이어졌는가? 동아시아의 19세기와 20세기, 21세기는 어떻게 이어지는가? 전환기로서 19세기와 21세기는 무엇이 다른가? 그러면 애초에 역사는 왜 움직이는 것이며, 전환기란 무엇인가? 그렇다면 한반도에게 전환기란 무엇인가? 바꿔 묻는다면, 한반도는 통시적으로 볼 때 전환기적 상황에서 구체적으로 어떠한 역사적 경험을 하였는가? 이러한 문제들은 최종적으로 다음 질문으로 귀결된다. 새로운 세기의 한반도는 어디로 가야하며 동아시아와 한반도의 역사적 경험에서 무엇을 배울 것인가? 동아시아의 19세기는 상이한 문명 곧 ‘동서문명’의 충돌이 이루어진 거대한 전환기로서, 보통 ‘서세동점’의 시기로 표현된다. 그것은 외부로부터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기왕의 고유한 패러다임을 밀어내는 과정이었으며, 기존의 문명기준이 새로운 문명기준에 의해 전복되는 과정이기도 했다. 이것은 중화문명권의 관점에서 보면, ‘문명 기준’이 완전히 ‘역전’ 되는 사태가 발생하였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했다. 동아시아의 19세기가 문명사적 전환기로서 외래의 문명기준에 의해 고유의 문명기준이 뒤집히는 ‘문명기준의 역전’의 시기였다면, 동아시아의 20세기는 ‘근대 따라잡기’의 세기라고 해야 할 것이다. 동아시아 국가들이 20세기에 구체적으로는 서로 매우 다른 궤적을 밟은 듯 보였지만, 각국의 위기의식과 대응방식이 겨누는 창끝이 결국 ‘근대 따라잡기’라는 동일한 하나의 과녁으로 모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한반도는 역사적으로 전환기적 상황마다 동아시아의 정치적 긴장관계의 초점으로 떠오른 경험을 가지고 있다. 그만큼 인류 보편의 문제를 근원적으로 성찰하고 발상의 전환을 가능케 하는 능력이 우리에게 절실하게 요구되는 것이다. 전환기 한반도의 ‘역사적’ 경험과 ‘구조적’ 사례들은 한반도가 국제정세의 변화에 얼마나 민감하며 또한 취약할 수 있는지, 그리고 이와 아울러 한반도의 역할이 역설적으로 얼마나 중요한지를 선명하게 드러내준다. 한국의 정치가 국제정치 혹은 세계정세에 대한 안목을 왜 동시에 필요로 하는지를 극명하게 보여주는 부분이기도 하다. 뿐만 아니라 21세기를 이해하기 위해 보다 장기적인 역사적 시야가 필요한 이유를 명확히 보여준다. This study investigates and reconstructs the enormous stream of transformation which is faced globally in the 21st century, in the context of East Asia and the Korean Peninsula. The main questions the research has in mind include: What sort of changes in paradigm has been made in East Asia since the 19th century?; What sense of crisis did the Korean Peninsula and East Asia have in the process of the great transformation, and what measures did they take?; What has become of the different choices made by the three countries in East Asia?; How are the 19th, 20th, and 21st centuries in East Asia connected? What a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19th and 21st century as a transformational period?; Why does the history change at any rate, and what is transformation?; What does transformation mean to the Korean Peninsula? That is, what specific historical experiences has the Korean Peninsula gone through in transformational circumstances in terms of its diachrony? These questions eventually lead to the next question: Where does the Korean Peninsula have to go in the new century, and what would it learn from the historical experiences of itself and East Asia? The 19th century of East Asia is a great transformation at which distinct civilizations, 'civilizations of the East and the West,' collided. It is usually called an age of the 'western powers gradually moving to the east.' It was a process of the new paradigm from outside driving out the existing native paradigm, and also a process of the existing criteria of civilization being overthrown by the new criteria.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hinese civilization, this means that the 'standards of civilization' became completely reversed. The 19th century in East Asia is a transformational period in civilization, defined as a 'reversal of civilization canons' in which the native standards of civilization were subverted by the foreign standards, whereas the 20th century in East Asia can be called a century of 'catching up with modernity.' Each of the East Asian countries seems to take its own line, but their senses of crisis and countermeasures converge on 'catching up with modernity.' The Korean Peninsula has emerged as a focus of political tension in East Asia whenever there is a transformation in history. The 'historical' experience and 'structural' reas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a transformational period clearly show how sensitive and vulnerable the Peninsula can be to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situation, and paradoxically how important its role is. This shows that the Korean politics simultaneously needs an outlook on the international/world politics. In addition, it needs a longer-term vision for history in order to understand the 21st century.

      • KCI등재

        고종의 대내외 정세인식과 대한제국 외교의 배경

        강상규(Sang-Gyu Kang)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05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4 No.2

        대한제국의 대외관계를 다루는 대부분의 연구는 부국강병을 이루어내지 못한 고종의 어떠한 외교적 노력도 실패할 수밖에 없었음을 공통적으로 지적한다. 그러면 과연 고종은 흔히 알려진 것처럼 너무 어리석어서 이러한 사실을 예측하지 못한 것일까.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문제를 해명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었다. 첫째,조선의 지도층 특히 고종에게 ‘독립국가’를 만들려는 의식적인 행위가 존재하고 있었는가, 둘째, 만일 존재하고 있었다면 고종이 국가의 ‘자주’와 ‘독립’을 국정수행의 가장 중요한 목표로 인식하기 시작한 것은 언제부터인가. 본 연구는 이를 위해 우선 고종의 정치의식과 대외관이 어떠한 과정을 통해서 형성되었으며 대체로 어떠한 내용을 담고 있었는지에 주목하면서, 새로운 대내외 정책의 주요내용은 무엇이었는지를 분석한다. 그리고 그것이 대한제국의 외교에 어떠한 정치적 사상적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았다. Most studies to cover diplomacy of Daehanjeguk point out any kind of diplomatic effort of the King Kojong(r.1863-1907) which failed in 'rich nation and strong army' that there wasn't possibility to succeed. Well then, King Kojong was too foolish like having been known usually as expected, and wasn't there an ability to forecast this fact? This paper does in order to order a focus in elucidating two questions as follows. At first was there a conscious act with the existence in order to make 'independent country', in King Kojong? If there was it, when did he start to recognize national 'independence' as the most important aim? In order to approach two questions, this study did attention in process and the contents that political mind and foreign view of King Kojong were formed and analyzed trajectory of his domestic and foreign policy.

      • KCI등재

        어문학부(語文學部) : 동아시아 문명권에서 "주권"과 "국제" 개념의 탄생 -『만국공법』의 판본 비교와 번역

        강상규 ( Sang Gyu Kang ) 한국중국학회 2010 中國學報 Vol.62 No.-

        In our daily life in the sovereign nation, we are faced with international and global phenomena. These expressions, ``sovereign state`` and ``international relations`` are so much familiar to us; however, they became used in the East Asian Hanja (Chinese character) culture not too long ago. ``When`` were these terms introduced into the East Asian Hanja culture, and ``what process`` did they undergo to get established? What does it politically entail that the phenomena, which are called by these terms, become universal? This paper addresses these questions. For the purpose of the discussion, this paper initially examines the account and significance of such concepts as ``sovereignty`` and ``international`` that emerged in Europe. Then it looked into how such new notions were translated, disseminated, and accepted into the Hanja culture in the 19th century, when the ``West moves to dominate the East.`` It was the books of Mangukgongbeop, which correspond to the international law of today that played a matrical role to the birth of new political concepts in the great transformation of the 19th century. In this light, the paper investigated the various editions of Mangukgongbeop of those days. Based on this research, the analysis of historical context and meaning is presented with regard to the fact that a ``sovereign nation`` has appeared in the East Asian culture as a new concept for country, and the relationship ``among`` countries has changed into the ``international`` relationship which connotes independent and mutually parallel relations.

      • KCI등재

        19세기 동아시아의 패러다임 변환과 한반도

        강상규 ( Sang Gyu Kang ) 한국사회사학회 2006 사회와 역사 Vol.0 No.71

        Diplomatic history is not a chronology of negotiations between international actors. Rather, it analyzes the actor``s mental structure or weltanschauung. In the 19th century there was a clash of two different world order what is called Chinese world order and modern international order in East Asia. Paradigm shift of East Asia in the 19th century is the transformation from world order on the basis of ceremony to modern international order by a sovereign state. This means that a reversal of "standard of civilization" occurred from the viewpoint of East Asia. That granted, why the Korean intellectual wasn``t able to concentrate on ``rich state and strong army`` building? This article is to analyze what king of historical, psychological elements, and how disturbed Korean in their positive reception of the new paradigm in the 19th centu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