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뇌졸중 환자의 균형, 인지, 일상생활 평가의 상관성 연구

        강보라,정은송,김재희,하유나 한국인지운동치료협회 2018 한국신경인지재활치료학회지 Vol.10 No.2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termine correlations between the Berg Balance Scale (BBS),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Korean (MoCA-K) and Modified Barthel Index (MBI) targeting stroke patients, and it seeks to analyze the influence among each factor to establish the fundamental research in evaluating the functional performance capability of stroke patients. The study was conducted between December 2017 and March 2018 and the target of the study was 34 stroke patients who are hospitalized and treated in Y rehabilitation hospital located in Goyang city. Following in criteria of how participants were selected. First, a person without the onset of 6months or more. Second, a person who can communicate and score over 20 points on MMSE-K. Third, a person without unilateral neglect. Fourth, a person without lower motor neuron lesion and orthopedic disease on the bilateral lower extremity. Fifth, a person without audiovisual problem and history of using drug or surgery that influence athletic function. sixth, patients who agreed on participating in the study. The evaluation was processed by measuring BBS, MoCA-K, and MBI with the occupational therapist and physical therapist. Also, one assistant was participated in measuring balanced ability for the safety reason. It was found that significantly correlates (p<.01) with BBS and MoCA-K (r=.459), BBS and MBI (r=.550), MoCA-K and MBI (r=.565).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it provided the basis for the active use of BBS, MoCA-K and MBI as a clinical evaluation tool and its usefulness. 목적: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BBS, MoCA-K, MBI와의 상관관계를 제시하고 각 변수들과의 영향력을 분석하여 뇌졸중 환자의 기능적 수행능력 평가에 기초연구가되고자 한다. 방법: 연구 대상자는 고양시에 소재하는 Y재활병원에 입원하여 치료받고 있는 뇌졸중 환자 34명을 대상으로 2017년12월부터 2018년 3월까지 실시하였으며 선정기준은 첫째, 뇌졸중으로 진단받고 6개월 이상 경과한 자, 둘째, 의사소통이 가능하며 MMSE-K 20점 이상인 자, 셋째, 편측무시가없는 자, 넷째, 하위운동신경 병변이 없고 양하지 및 척추에정형외과적 질환이 없는 자, 다섯째, 시청각계 이상이 없고운동기능에 영향을 주는 약물 또는 수술을 받지 않은 자, 여섯째, 환자본인이 연구 참여에 동의한 자로 하였다. 평가는재원 중 물리치료사와 작업치료사에 의해 BBS, MoCA-K, MBI를 측정하였으며 균형능력 평가 시 안전을 위하여 한명의 보조자가 동반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BBS와 MoCA-K r=.459, BBS와 MBI r=.550, MoCA-K와 MBI r=.565로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p<.01). 결론: 본 연구는 임상적인 평가도구로서 BBS, MoCA-K, MBI의 적극적인 활용과 그 유용성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 KCI등재

        개정 기업결합 심사기준에 대한 검토

        강보라 한국법제연구원 2012 법제연구 Vol.- No.42

        When assessing anticompetitive effects of Merger, the Revised Merger Guidelines consider not only the market share but also the several criteria which consist of M&A substantially restricting competition. The Revised Merger Guidelines specify the qualitative criteria for assessing anticompetitive effects. The Revised Merger Guidelines expand the real targets of merger review, improve the contents of unilateral effect and coordinated effect, reflect the effects of Buying Power, consider the existence of powerful buyers as the countervailing factor of anticompetitive effects and more specify the factors of new entrants. In addition, by changing the system of guideline and placing the factors alleviating anticompetitive effects in the separate chapter, the guidelines make it clear that the criteria are also applicable to vertical mergers and conglomerate mergers. In this regard, they complement a large part of the insufficiency of the existing guidelines. However, as mentioned above, there still remain unsolved problems, which are the concentration of economic power of conglomerate mergers, considering differentiated product markets, narrowly defining only the categories of customers specifically targeted for a price increase, flexibilization of market definition and considering the uniqueness of the innovation markets such as high-tech or pharmaceutical markets. Notwithstanding these flaws, the guidelines bring the significant advancements so that it can not be necessarily wrong and condemned. 개정 기업결합 심사기준은 기업결합의 경쟁제한성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시장점유율에 의한 양적 평가뿐만 아니라 실질적인 경쟁제한성을 가져오는지에 대한 질적 평가기준을 구체화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개정 기업결합 심사기준은 기업결합의 실질심사 대상을 확대하고, 경쟁제한성 판단 요소인 단독효과와 협조효과의 내용을 보완하고, 구매력 증대에 따른 효과를 반영하도록 하였으며, 경쟁제한성 상쇄요소로서 강력한 구매자의 존재를 고려하고, 신규진입 요소를 보다 구체화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개정 기업결합 심사기준의 내용을 살펴보고 미국과 EU와 비교하며 개정의 타당성 및 미비점에 대해서 논하고자 한다.

      • UFO-Zoom: 화면으로부터의 수직 거리를 이용하여 Zoom을 수행하는 3차원 제스처 기반 화면 탐색 방식 제안

        강보라,정민근 대한산업공학회 2011 대한산업공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11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화면 탐색 방식 UFO-Zoom을 제안하였다. 보통 2차원 터치 기반 화면 탐색 방식과 다르게 UFO-Zoom은 화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Panning하고 있는 동안 화면 위 손가락의 수직 거리를 이용한 Zooming 수행이 가능하다. 따라서, 경우에 따라 Panning과 Zooming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분리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서로 다른 3가지 크기의 정보 공간에서, UFO-Zoom, SDAZ, Pan & Zoom 방식의 사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타겟 검색 및 선택 작업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UFO-Zoom이 정보 공간의 크기가 클수록 다른 방식들보다 짧은 작업 수행 시간과 높은 주관적 만족도를 보였다. 또한, 피실험자들은 UFO-Zoom이 재미있고, 빠르고, 사용하기 쉬우며, 직관적이라는 의견을 제시했다.

      • KCI등재후보

        중국의 자진신고자감면제도(壟斷寬恕制度)에 대한 연구

        강보라 한국경제법학회 2009 경제법연구 Vol.8 No.2

        부당공동행위 즉 카르텔은 그 행위가 은밀하게 이루어져 그 증거발견에 어려움이 있어 적발이 쉽지 않다. 그리하여 경쟁당국은 카르텔 참가사업자가 스스로 신고하거나 조사에 협조할 경우 일정한 조치를 감면해 주는 자진신고자 감면제도(Leniency Program)를 운영하고 있다. 중국에서도 올해 2009년 4월에 ‘독점협의행위금지에대한유관규정(关于禁止垄断协议行为的有关规定)’에서 자진신고자감면에 대한 규정 초안을 제정하고 의견수렴에 있다. 이에 대해 본 논문은 주요국의 자진신고자감면제도와 중국의 자진신고자감면제도를 비교ㆍ검토하면서 중국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Cartels usually require the elements of collusion, secrecy and deception. The requisite secret cooperation between participants often enables the existence of arrangements or understandings with little documentary evidence or the competition authority's awareness. In these circumstances, the discovery of and the proof of the existence of cartels can be more difficult than other forms of corporate misconduct. There is such greater justification for a leniency program which is granted to a firm or a person whose confession makes the authority's proof easier. The leniency program not only provides incentives to enterprises to disclose illegal behaviour, but also is a powerful disincentive to the formation of cartels. The leniency program uncovers conspiracies that would otherwise go undetected and also makes the ensuing investigations more efficient and effective. In April 2009, the Chinese Competition Authority, the State Administration for Industry and Commerce (SAIC) circulated draft rules of the leniency program under the Provisions on Prohibiting Monopoly Agreements for collecting public opinions(Draft Rule No. 1) as well. Therefore this paper compares the Chinese Leniency Program with them in major countries like the U.S., EU, Japan, Australia and Korea and carries out researches on the problems of the Chinese program and their remedies.

      • 대학 인성 교육, 그 방향성에 대하여 :국내 외 대학 인성 교육 프로그램 현황을 중심으로

        강보라,이사라 서울여자대학교 여성연구소 2013 여성연구논총 Vol.28 No.-

        한국에서 정규 교육을 받아 온 우리에게 ‘인성 교육’이란 용어는 그리 낯설지 않다. 오히려 굳이 강조하거나 이슈화하지 않아도 이미 누구나가 그 필요성을 인정하고 있을 정도로 친숙한 개념이다. 그러나 최근 들어 우리는 인성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언론의 보도를 심심찮게 들을 수 있고 인성 교육 프로그램을 도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음을 체감할 수 있다. 그렇다면 왜 요즘 들어 인성 교육이 더욱 강조되는 것일까? 이전까지의 교육에서 인성 교육이 부재 했던 것도 아니거니와, 특히 한국 사회에서는 인성 교육을 교육의 기초 덕목으로 삼아왔음에 대해서는 의심의 여지가 없는데도 불구하고 교육 내용과 그 현장의 뜨거운 감자로 인성 교육이 빠지지 않고 계속하여 회자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학벌 위주의 사회 풍조와 서열화 된 입시 위주의 교육으로 황폐화된 학생들의 인간성 회복, 더불어 사는 사회와 EQ와 공감 능력을 갖춘 새로운 리더 상에 부합하는 인재 양성 등이 필요하다는 것이 그 질문에 대한 간략한 대답이 될 것이다. 그런데 주목할 만한 것은 최근 들어 인성 교육의 대상과 범위가 보다 확대되어 가고 있다는 것이다. 중등 교육 과정에서 도덕과 윤리라는 이름의 커리큘럼으로 학생들에게 ‘도덕’적이고 ‘윤리’적인 인간을 제시하고 교육했던 것에 그치지 않고, 고등교육인 대학 과정에서도 인성 교육 필요성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2010년 경 카이스트 대학 학생들이 잇달아 자살을 하는 사건이 발생하면서 국내 교육계 에서는 대학 인성 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공공연히 언급하기 시작했다. 대학의 목표가 학문적 성취를 넘어 감성과 인성을 중시하는 교육 트렌드로 옮겨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일례이다. 더불어 이러한 움직임은 국내 대학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다. 해외에서는 이미 인성 교육에 대한 다양한 세미나가 개최되고 있으며 인성 교육의 중요성, 특히 대학 교육 에서의 인성 교육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는 논문들이 계속해서 발행되고 있다. 이는 대학 인성 교육에 대한 재고가 전 세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인성 교육에 대한 공감대가 확산되는 것에 비해 실제로 대학에서 학생들의 인성 함양을 위하여 무슨 프로그램으로 어떠한 내용을 가르치고 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목표는 명확하나 그 과정은 미비한 시점이다. 그 결과 대학 인성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강조의 목소리에 부합하는 프로그램이 국내외 대학에서 현재 어떤 방식으로 실행되고 있는 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 될 수 있다. 인성 교육과 관련한 구체적 강좌나 과정들의 유무와 그러한 프로그램들에서 인성 교육이 어느 정도의 비중을 실제로 차지하고 있는지를 체계적으로 검토하여 분석 하는 작업이 필요한 것이다. 현재 대학 인성 교육이 가지고 이는 제도적 틀과 내용을 파악한 다음에야 비로소 대학에서의 인성 교육의 참 의미와 그 이론적 내용을 실천으로 옮길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해 국내외 대학의 인성 교육 프로그램을 조사하여 그 현황과 보완점에 대해 고찰한 후 장차 대학 인성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Today, in the world, there are hardly any problems which could be solved by only individual’s ability or through a biased viewpoint because individuals and groups as well as nations, societies, and cultures are deeply connected to each other having diverse, complicate and interdependent forms. Higher educations have been becoming systemically well structured more and more with programs dealing with majors and students’ future careers, so students through those programs are expected to understand the human and the world better with broad knowledge and new ideas. Compared with increas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which students need to learn, however, educations building students’ characters and teaching them wisdom as well as knowledge-needed to live though this competitive society- are rarely found in higher education systems. In this conditions, there is a rising awareness now that we should focus on not only the ability to search expert knowledge in highly specialized academic fields but also the character education more. Many universities in and out of our country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the character education, but it is hard to find any specific programs and curses. Therefore, in this paper, we analized domestic and foreign higher education systems in two steps: finding domestic and foreign character educations in universities and giving and showing the road ahead we could take. In the first step, we tried to find the cases of character education to drag out the theoretical model into the practical level and we also provided some possible improvements in the second step.

      • 푸드 브릿지(Food Bridge)

        강보라 한.중.일 비교문화연구소 2009 한·중·일 비교문화연구소 간행물 Vol.2 No.-

        한국과 일본의 문화교류가 활성화되고 있는 가운데, 2000년대 초부터 형성되기 시작한 한류열풍이 2009년에 이르기까지 10년 동안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그와 함께 한국과 일본 양국의 음식문화에 대한 관심도 나날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늘어나는 양적 관심에 비해 질적으로 체계화된 시스템이 부재하다는 사실은 한국과 일본 양국 간의 식문화 교류에 큰 난관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일 식문화의 차이와 교류현황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상업성을 배제한 채 음식 자체 뿐 아니라, 그를 둘러싼 역사와 예법 나아가 나라의 정체성을 대표 하는 문화 전반에 걸친 교류를 이끌어낼 수 있는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전문가 인터뷰를 통한 인체치수 활용 현황 파악 및 개선 방향 제안

        강보라,한성호,문희경,정동영 대한인간공학회 2015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4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llect opinions about the anthropometric data measurements from experts in the academic and industry and to propose a future direction for "Size Korea" of ‘Korea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The importance of anthropometric data measurement has increased in a variety of industry areas to make the optimized products/service for users and to give high user experience, based on the recent new technology development. The interviews with experts were conducted to collect information and opinions about the status of anthropometric data measurement and further directions. The interviewees consist of ergonomic professors and experts in the related industry such as clothing, vehicles and ICT. The experts mentioned the necessity of globalization of anthropometric measurement in common. On the other hand, the professors mentioned the necessity of providing the disabled/elderly-specified information and the industry experts mentioned the importance of improving reliability. Based on the opinions, the future directions of ‘Size Korea’ has been discussed about the direction to move forward in the mid-term and long-term perspective.

      • KCI등재

        국내 디지털 도서관 연구 동향 분석

        강보라,김희섭,Kang, Bora,Kim, Heesop 한국정보관리학회 2017 정보관리학회지 Vol.3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디지털 도서관 관련된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 대표 학술지 4종으로부터 최근 10년(2007년-2016년) 동안 발표된 디지털 도서관 관련 논문 272편을 대상으로 해당 논문의 저자가 직접 부여한 영문키워드 578개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NetMiner V.4를 사용하여 연결중심성과 매개중심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연구 주제의 양적인 측면에서는 'Academic Library', 'Reference Service', 'Public Library', 'E Resource', 'E Book' 순으로 나타났고, 둘째, 연구 주제의 영향력 측면에서는, 'Academic Library', 'Reference Service', 'Information Behavior', 'E Resource'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주제의 확장성 측면에서는, 'Academic Library', 'Metadata', 'Information Behavior', 'E Resource', 'Librarian' 등의 순으로 파악되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n the digital libraries in Korea. To achieve this objective, a total of 578 author-assigned English keywords were collected from the 272 major LIS journal articles published in Korea during last ten years-period, i.e., 2007-2016.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NetMiner V.4 to discover their 'degree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As the results, 'Academic Library', 'Reference Service', 'Public Library', 'E Resource', and 'E Book' showed the most frequently conducted research topics, and 'Academic Library', 'Reference Service', 'Information Behavior', and 'E Resource' were the most influencing research topics. Finally, 'Academic Library', 'Metadata', 'Information Behavior', 'E Resource', and 'Librarian' seemed the most widely intervening research topics in this research.

      • 전문가 인터뷰를 통한 인체치수 활용 현황 파악 및 개선 방향 제안

        강보라,한성호,문희경,정동영 한국경영과학회 2015 한국경영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4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llect opinions about the anthropometric data measurements from experts in the academic and industry and to propose a future direction for ‘Size Korea’ of ‘Korea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The importance of anthropometric data measurement has increased in a variety of industry areas to make the optimized products/service for users and to give high user experience, based on the recent new technology development. The interviews with experts were conducted to collect information and opinions about the status of anthropometric data measurement and further directions. The interviewees consist of ergonomic professors and experts in the related industry such as clothing, vehicles and ICT. The experts mentioned the necessity of globalization of anthropometric measurement in common. On the other hand, the professors mentioned the necessity of providing the disabled/elderly - specified information and the industry experts mentioned the importance of improving reliability. Based on the opinions, the future directions of ‘Size Korea’ has been discussed about the direction to move forward in the mid-term and long-term perspec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