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확장된 집합커버문제 해결을 위한 유전자알고리즘

        강병천(Byung-Chun Kang),한치근(Chi-Geun Han) 한국정보과학회 1998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25 No.2

        상품을 생산하는 설비와 저장하는 창고, 그리고 이를 판매하는 지정의 효율적인 지정이 기업 활동에 중요한 요소가 된다. 이와 같이 적절한 위치를 결정하는 것은 확장된 집합커버(set covering)문제의 응용된 형태이다. 본 논문에서는 유전자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확장된 집합커버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수렴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평활화(smoothing) 방법을 이용한 비선형보정방법을 적용하였으며, 기존의 그리디 휴리스틱, 선형보정방법보다 제안한 방법이 우수함을 실험계산을 통하여 밝혔다. Deciding locations of facilities that produce goods, warehouses that store them, and agencies that sell them is an important factor of business activities for a company. Deciding proper locations is an application of the Extended Set Covering Problem. In this paper, we propose a genetic algorithm that solves the Extended Set Covering Problem. In order to increase the speed of convergence of the solution, a nonlinear scaling method that uses a smoothing technique is adopted, and through the computational experiments, it is found that the proposed method is better than an existing greedy method and a linear scaling method.

      • 유전자알고리즘을 이용한 확장된 Set Covering문제의 해법

        강병천(Kang Byung-Chun),한치근(Han Chi-Geun) 한국정보과학회 1996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3 No.2A

        위치 설정 모델링(Location Modeling)은 실세계에서 광범위하게 적용되어지는 문제이다. 실예를 든다면 소방서, 변전소의 위치 설정 문제, 응급센타의 위치 설정 문제, 통신망에서의 기지국 설정 문제등이 있다. 이러한 문제들의 가장 기본적인 모델은 Set Covering문제이고 대부분의 문제들은 Set Covering문제의 응용문제이다. 확장된 Set Covering문제는 기존의 Set Covering문제에 부가적인 목적식이 더해진 문제이다. 기존의 Set Covering문제는 주어진 그래프 내의 임의의 노드에 대해 Cover 가능한 범위가 주어진 상태에서 전체의 노드를 Cover할 수 있는 최소 노드의 위치를 설정하는 문제이고, 이러한 조건하에 이미 위치 설정된 설비(Facility)를 최대로 활용한다는 조건이 부가된 문제가 확장된 Set Covering문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확장된 Set Covering문제를 유전자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풀었으며 기존의 Greedy Heuristic방법에 의한 해의 비교를 보여준다.

      • KCI등재

        지하수 포화 석회석 채굴공동에서의 골재 충전 및 임시배수시 발생하는 지하수 유동 평가

        최우석(Woo-Seok Choi),강병천(Byung-Chun Kang),김은섭(Eun-Sup Kim),신동춘(Dong-Choon Shin) 한국암반공학회 2017 터널과지하공간 Vol.27 No.4

        지하수위 변동은 석회석 폐광산에서 발생하는 지반침하의 주된 요인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로 포화된 석회석 채굴공동에서 발생하는 지하수 유동을 자연상태와 골재 충전, 임시배수로 구분하여 지반 안정성에 미칠 영향을 3차원 지하수 유동 해석을 통해 평가하였다. 해석 결과 골재 충전시 지반 및 소류지의 지하수위가 상승하였지만 강우나 소류지 농업용수 사용으로 발생하는 수위차 보다 작고 유속 또한 자연상태의 유속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임시배수시에는 지반 및 소류지의 지하수위가 급격하게 하강하고 공동 내 유속이 최대 25배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지반침하 위험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luctuations in groundwater level are the major cause of ground subsidence in the abandoned limestone mine. In this study, evaluation of groundwater flow under three different cases of natural condition, aggregate-filling, temporary drainage in groundwater-saturated limestone mine cavities was executed by 3-dimensional analysis. In the case of aggregate-filling, although the water level both in the upper ground of mine cavities and an agricultural watershed was elevated, it was lower than the water level fluctuation of an agricultural water use and rainfall and the flow rate was similar to the flow rate of natural condition. In the case of temporary drainage, as the water level in the upper ground of mine cavities and an agricultural watershed decrease rapidly and the flow rate has increased by 25times, so the risk of ground subsidence increased.

      • KCI등재

        지하수로 포화된 채굴공동 보강을 위한 골재 그라우트 기둥공법의 그라우트 재료에 관한 실험적 연구

        최우석(Woo-Seok Choi),강병천(Byung-Chun Kang),신동춘(Dong-Choon Shin),김수로(Soo-Lo Kim),김은섭(Eun-Sup Kim) 한국암반공학회 2016 터널과지하공간 Vol.26 No.5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로 포화된 채굴공동에 골재 그라우트 기둥 공법의 적용을 위하여 그라우트재에 수중불분리제와 급결재를 혼합한 그라우트 재료에 대한 실험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기둥형성실험을 실시한 결과혼합골재에는 시멘트밀크와 수중불분리제를 혼합한 그라우트재가 기둥형성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쇄석골재에는 시멘트몰탈과 수중불분리제를 혼합한 그라우트재와 시멘트밀크와 급결재를 혼합한 그라우트재가 기둥형성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쇄석골재에 시멘트밀크와 급결재를 혼합한 경우는 기둥의 직경이 가장 크고 주입이 밀실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나 기둥형성에 가장 적합한 그라우트재와 골재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experimental study on cement grout materials containing anti-washout admixtures or accelerators in grout column for reinforcement technology in groundwater-saturated mining cavity was conducted. As a result, the cement milk containing anti-washout admixtures was suitable for mixed aggregates, and the cement mortar containing anti-washout admixtures and the cement milk containing accelerators were suitable for crushed stone aggregate in terms of forming grout column. Especially, in the case of crushed stone aggregate injecting the cement milk containing accelerators, the diameter of the grout column was greatest and the void of the crushed stone aggregate was filled with grout materials. Therefore the case of crushed stone aggregate injecting the cement milk containing accelerators is considered for optimal grout materials and aggregate.

      • KCI등재

        논문 : 지하수로 포화된 석회석광산의 지반침하 사례연구

        최우석 ( Woo Seok Choi ),김은섭 ( Eun Sup Kim ),강병천 ( Byung Chun Kang ),신동춘 ( Dong Choon Shin ),김수로 ( Soo Lo Kim ),백승한 ( Seung Han Baek ) 대한지질공학회 2015 지질공학 Vol.25 No.4

        본 연구는 충청북도에 위치하는 지하수로 포화된 삼성석회석광산에서 발생한 지반침하에 대한 사례연구로서, 대상 지역의 지반조사 및 지반안정성평가를 바탕으로 침하원인을 규명하고 향후 침하가능성에 관하여 검토하였다. 조사 및 안정성평가 결과에 의하면 채굴구역은 강우 유입으로 인한 전단강도 저하로 전반적으로 불안정하게 평가되었으며, 미채굴 구역의 침하발생 주요 원인은 지하수위 하강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침하 가능성과 관련하여, 채굴공동 천단의암반층 두께가 얇은 구간이나 인장절리 발달이 활발한 구간이 존재하고 채굴공동 주변의 지반상태가 불량하므로 침하가발생할 경우 침하의 영향은 주변 지반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연구지역 내 석회암 분포지역에서는 석회암층 내자연 용식공동의 함몰이나 양수 등 인위적 요인의 영향으로 인해 지하수위 저하나 강우침투에 의한 공동에서의 유로변화 및 수위변화가 발생할 경우 추가적인 침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보강 및 관리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Groundwater causing subsidence in limestone mines is uncommon, and thus relatively poorly investigated. This case study investigated the cause and possibility of future subsidence through an evaluation of ground stability at the Samsung limestone mine, Chungcheongbuk-do. The ground near the mine area was evaluated as unstable due to rainfall permeation, and subsidence in the unmined area resulted from groundwater level drawdown. Future subsidence might occur through the diffusion of subsidence resulting from the small thickness of the mined rock roof, fracture rock joints, and poor ground conditions around the mine. In addition, the risk of additional subsidence by limestone sinkage in corrosion cavities, groundwater level drawdown due to artificial pumping, and rainfall permeation in the limestone zone necessitates reinforcements and other preventative meas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