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리스크 기준 포트폴리오 리밸런싱의 성과

        강병진,윤선중 단국대학교 미래산업연구소 2023 산업연구 Vol.47 No.1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iveness of a risk-contribution rebalancing strategy in reducing portfolio volatility by maintaining a constant contribution of individual assets to the total risk within the portfolio. The study analyzes a five-asset portfolio consisting of domestic equities, domestic bonds, foreign equities, foreign bonds, and commodities. The empirical results reveal that the risk-contribution rebalancing strategy is effective in reducing volatility when there is a low degree of risk concentration among assets. However, when specific assets exhibit high degree of risk concentration, the risk-contribution rebalancing strategy may not effectively reduce volatility and could even increase it. This finding holds even when the asset class is expanded to include crypto assets or equity sector indices. Therefore, unlike the traditional value-based rebalancing strategies that consistently demonstrate a reduction in volatility, regardless of portfolio characteristics, the use of risk-contribution rebalancing strategies requires a careful consideration of portfolio characteristics. 본 논문은 포트폴리오 내에서 개별 자산들이 전체 리스크에 공헌하는 비중을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써, 특정 자산에 대한 과도한 리스크 노출을 지양하고 포트폴리오의 변동성을 줄이고자 하는 이른바 ‘리스크 기준 리밸런싱(Risk–Contribution Rebalancing)’의 성과를 분석하였다. 국내주식, 국내채권, 해외주식, 해외채권, 원자재 등 5개 자산으로 구성된 포트폴리오를 대상으로 실증분석한 결과, 리스크 기준 리밸런싱은 당초 포트폴리오 내에서 자산들 간 리스크 편중도가 약할 경우에는 변동성 완화에 효과적이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변동성 완화 효과가 미미하거나 오히려 변동성을 확대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있는 자산 종류를 가상자산(crypto asset) 또는 주식 섹터(sector)별 지수로 확장한 경우에도 여전히 강건하게 유효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포트폴리오의 특성과 무관하게 변동성 완화 효과가 일관되게 나타나는 전통적인 리밸런싱 기법과는 달리, ‘리스크 기준 리밸런싱’을 적용할 때에는 포트폴리오 특성에 대한 고려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

      • 변동성 스프레드의 정보효과

        강병진 한국재무학회 2008 한국재무학회 학술대회 Vol.2008 No.08

        본 논문은 Bakshi and Madan(2006)이 제시한 변동성 스프레드 결정요인 모형을 실증분석 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보완하였다. 새롭게 제시된 실증분석 모형에서는 주관적 확률분포함수의 왜도 및 첨도가 아닌 위험중립 확률분포함수의 왜도 및 첨도에 의해 변동성 스프레드를 표현함으로써, 표본기간 선정의 자의성, 자료의 중첩(overlapping), 미래 지형적 특성(forward looking property)의 상실 등과 같은 실증분석에서의 한계를 극복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1) 옵션 투자자들의 위험회피성향을 분석하고, (2) 변동성 스프레 드 효과를 반영한 조정 내재 변동성을 도출하여 이의 미래 실현 변동성에 대한 예측성과를 분석하였다. S&P 500 지수옵션 시장을 분석한 결과, 우리는 다음과 같은 사실들을 발견하 였다. 첫째 옵션 투자자들은 예상대로 위험회피적(risk averse) 성향을 나타냈으나, 기존의 모형을 사용하였을 때와 비교하면 그 경향이 크게 약화됨을 발견하였다. 둘째 조정 내재 변 동성을 사용하였을 때의 변동성 예측오차가 일반적인 내재 변동성이나 역사적 변동성을 사 용하였을 때보다 더 작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또한 회귀분석 결과 일반적인 내재 변동성 과 역사적 변동성은 미래 실현 변동성에 대한 불편 추정치(unbiased estimates)가 아닌 반 면, 조정 내재 변동성은 불편 추정치임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장기투자자산으로써 파생상품의 경제적 가치-주가연계증권

        강병진 한국파생상품학회 2019 선물연구 Vol.27 No.2

        In this paper, we examined the economic benefits of derivatives in the aspect of investment assets. Our study differs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it analyzed the differences in the economic benefits of derivatives between for short term investors and for long term investors, and focused on the equity linked securities (ELS) rather than plain vanilla derivatives. We found the following results from the analysis over 1 to 20 years of investment horizons for four different types of equity linked securities, including ‘Auto-callable ELS’, ‘Knock-out ELS’, ‘Digital ELS’ and ‘Reverse Convertible ELS.’ First, equity linked securities contribute to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optimal portfolio for most investors, except for some investors who have extremely low degrees of risk aversion. Second, these economic benefits of equity linked securities are consistently observed regardless of investment horizon. Third, investment demand for equity linked securities is higher for investors with a medium-level of risk aversion rather than for aggressive or conservative investors. In addition, equity linked securities are mainly used as substitutes for risk-free bonds rather than risky assets (i.e., stocks). Finally, most of our results are still valid even when different market environments are assumed or alternative decision rules are used to derive investors’ optimal portfolio. 본 논문은 투자자산으로써 파생상품의 경제적 가치를 분석하되, ① 표준파생상품이 아닌 주가연계증권을 대상으로, ② 단기와 중장기에 걸쳐 투자기간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조기상환형 ELS’, ‘넉아웃형 ELS’, ‘디지털형 ELS’, ‘RC ELS’ 등 4가지 유형의 상품을 대상으로 투자기간 1년~20년에 걸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들을 확인하였다. 첫째, 위험회피성향이 매우 낮은 일부 투자자 그룹을 제외하면, 주가연계증권은 투자자들의 최적 포트폴리오를 개선하는데 기여한다. 둘째, 이러한 결과는 대체로 투자기간에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확인된다. 셋째, 공격적․보수적 성향의 투자자보다는 중간 수준의 위험회피성향을 보유한 투자자에게 주가연계증권에 대한 투자 수요가 높다. 또한 이때 주가연계증권은 주식보다는 주로 채권의 대체재로써 기능한다. 넷째, 분석 환경을 달리 가정하거나 또는 최적 포트폴리오 도출을 위한 의사결정방식을 달리 가정한 경우에도 위 분석결과는 여전히 유효하다.

      • 비용부담형태에 따른 의치 만족도 비교

        강병진,조현 대한치과기공학회 2014 대한치과기공학회지 Vol.36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enture satisfaction by burdened cost types. Methods: All 588 subjects in Gyeongsangnam-do, Korea was surveyed randomly. The study was conducted for about 24 days from March 28th to April 20th, 2014. The objects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were offered selfreport questionnaires for this study. Results: Satisfaction with Half Price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upport Denture patients appears the highest point of 2.98 0.22, and The Governor Pledge Free Denture appears 2.90 0.17 the lowest. Also Pay Denture appears 2.96 0.21. Provincial authority regulated medical carelessness inefficiently and at all during the procedure, without having to pay the cost of individual. also provincial authority support low budget. This is the result from the lowest satisfaction of The Governor Pledge Free Denture patient. Conclusion: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The Governor Pledge Free Denture and The Total Pay Denture's satisfaction are higher tha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upport Denture. and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upport Denture are more uncomfortable than pay denture to use.

      • KCI등재

        이질적 기대와 옵션투자 수요

        강병진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금융지식연구소 2021 금융지식연구 Vol.19 No.1

        This paper derives the risk-neutral probability distributions from the market prices of index options, and then extend the theoretical study of Carr and Madan(2001) to examine how the demand for options of investors with heterogeneous beliefs can be determined. It helps to understand the option returns anomaly and the resulting puzzle of supply-demand imbalance of the index options market, which are difficult to explain with the traditional investment theory assuming a representative agent with a homogeneous expectation. Assuming two groups of investors with different heterogeneous expectations, we observed the following results in the S&P500 index options market from 2004 to 2017. First, each investor group has different expectations in mean, volatility, skewness, and kurtosis of underlying stock index returns, but among them, the mean returns shows the largest difference. Accordingly, the optimal investment strategy of each investor group significantly differs in the aspect of exposure to market risk rather than exposure to volatility. Second, the heterogeneous expectations between each investor groups tend to widen when market uncertainty increases, such as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 and the European Sovereign Debt Crisis in 2010 and 2011. Finally, even though considering their own different heterogeneous expectations for future stock markets, the performance of each investor group is not better than the simple strategy of buy-and-hold of stock index. 본 연구는 옵션의 시장가격으로부터 위험중립확률분포(risk-neutral probability distribution) 를 추정한 후, Carr and Madan(2001)의 이론연구를 확장하여 이질적 기대(heterogeneous beliefs)를 가진 투자자 집단들의 옵션투자 수요가 어떻게 다를 수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는 동질적 기대(homogeneous belief)를 가진 대표적 투자자(representative agent)를 가정하는 전통적인 투자이론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지수옵션시장의 수익률 이상현상(anomaly) 및 수급 불균형을 이해하기 위한 단초를 제공해 준다. 서로 다른 이질적 기대를 가지는 두 부류의 투자자 집단을 상정한 후, 2004년부터 2017년까지 S&P500 주가지수옵션시장을 분석한 결과 다음의 사실을 확인하였다. 첫째, 각 투자자 집단이 전망하는 주가지수 수익률 분포는 평균, 변동성, 왜도, 첨도 등에서 모두 차이를 나타내지만, 그 중에서도 특히 평균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인다. 그에 따라 각 투자자 집단의 최적투자전략도 변동성보다는 시장위험에 대한 익스포저에서 크게 차별화된다. 둘째, 각 투자자 집단 간의 수익률 전망 차이는 2008년 글로벌금융위기, 2010년 1차 유럽재정위기, 2011년 2차 유럽재정위기 등 시장 불확실성이 커지는 시기에 확대되는 경향이 뚜렷이 나타난다. 셋째, 각 투자자 집단의 서로 다른 전망에 기초한 투자성과를 분석한 결과, 주가지수를 단순 보유하는 전략에 비해 위험이 크게 상승하여 위험조정성과는 대체로 더 낮아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