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Hypolipidemic, Hypoglycemic,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a New Pigmented Rice Cultivar “Superjami” in High Fat-fed Mice

        강미영,류수노,Catherine W. Rico,강미영 한국응용생명화학회 2014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Appl Biol Chem) Vol.57 No.5

        Effects of newly-developed pigmented rice Superjami,in comparison with those of its parental cultivars (Heugjinjubyeoand Suweon 425) and ordinary brown rice, on the lipid andglucose metabolisms and antioxidative defense status in high fatfedmice were investigated. The animals were randomly dividedand given experimental diets for eight weeks: normal control, highfat, and high fat supplemented with ordinary brown, Heugjinjubyeo,Suweon 425 or Superjami rice powder. Their body weight, plasmalipid profile, blood glucose level, and lipid peroxidation weremeasured. The enzymes and hormones involved in the lipid andglucose metabolisms were also analyzed. High fat feedingsignificantly increased the body weight,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blood glucose, and lipid peroxidation in mice. On the other hand,diet supplementation of the rice samples, particularly Superjami,markedly reduced the body weight gain, improved the lipid andglucose profiles, and suppressed oxidative stress through regulationof hepatic lipogenesis and adipokine production, inhibition ofglucose-regulating enzymes, and enhancement of antioxidant enzymeactivities. Superjami has greater hypolipidemic, hypoglycemic,and antioxidant status-improving effects than its parental cultivars. This study provides the first evidence of the physiological effectof Superjami, which may be useful in the prevention andmanagement of high fat diet-induced hyperlipidemia, hyperglycemia,and oxidative stress.

      • KCI등재

        Alcohol Dehydrogenase의 불활성화 기구

        강미영 한국조리과학회 1986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2 No.1

        Na_+는 체내에서 세포외액 (extracellular fluid)의 주요 양이온으로 세포내액과 세포외액은 세포막을 사이에 두고 Na_+와 K_+의 높은 농도의 차이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농도차이는 세포막에 있는 Na_+-K_+ ATP ase의 활동에 의하여 유지되며 Na_+는 체액의 osmolarity와 혈장의 부피 유지, 신경흥분, 근육수축 및 영양소등의 이동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체내의 Na balance는 renin-aldosterone system에 의하여 신장에서의 배설조절로 이루어지며, 최근 Na대사에 관여하는 natriuretic hormone이 발견되고 있다. Na의 과잉섭취는 역학적 연구와 동물실험에서 고혈압의 유발인자로 제시되고 있으나, 임상적 연구에서는 Na제한이 혈압강하효과가 있다는 보고와 없다는 보고가 있어 결과가 뚜렷하지 않다. 이는 고혈압 환자중에는 salt-sensitive한 group과 salt-resistant group이 있다는 것과 산업화된 사회들의 Na 섭취량이 이미 너무 높은 수준으로 Na 섭취증가와 혈압상승간의 관계를 현재의 연구 방법들로는 찾아내기 어렵다는 'saturation effect'로 설명한다. 그러나 Na 섭취를 1일 70∼100mEq.(NaCl 4.0∼5.8g)이하로 줄이면 고혈압 발생이 현저히 감소하고 Na 섭취량이 1일 30mEq.(NaCl 1.7g)이하이면 고혈압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Na섭취가 1일 400mEq.(NaCl 23.2g)이상이 되더라도 인구 중 50∼80%는 고혈압에 걸리지 않아 고혈압의 발생은 유전적 인자, 신장 기능의 부족에 의해 지배되고, Na 이외에도 K, Ca 등의 식이 인자 및 stress, 운동 등의 환경적 요인들이 영향을 미친다. Na 섭취량은 자연식품에 들어있는 양 뿐 아니라, 가공과정, 조리과정, 식사중에 첨가되는 양에 의하여 좌우되므로, Na 섭취량을 측정하기 매우 어렵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은 24시간 소변중 배설되는 Na의 양으로부터 추정하는 방법으로 우리나라의 경우, 이러한 방법으로 섭취량을 환산할 경우 1일 200∼260mEq.(NaCl 11.6∼15.1g) 정도이며 이중 80% 이상이 discretionary intake 인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앞으로 Na 섭취를 줄이도록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하겠다.

      • KCI등재

        소나무림에서 간벌이 딱정벌레류의 분포에 미치는 영향

        강미영,조민기,전권석,노일,이총규,문현식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3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7 No.4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a change in beetles abundance and their distribution in relation to thinning activity in a Pinus densiflora stand in Jinju, Korea, where thinning was conducted in 2006. Beetles were collected using pitfall traps from May to October 2012. The 631 individuals of 18 beetle species were collected in the thinned site, whereas the 228 individuals of 12 beetle species from the control site, which indicated that effects of thinning on abundance and distribution of beetles were significant. Most of abundant beetle species were Planetes puncticeps and Copris ochus in thinned site, and were Damaster smaragdinus and Sapalinus gigas gigas in control site, respectively. Seasonal occurrence of major beetles species in thinned site was similar to those in control site. Species diversity and evenness were slightly higher in thinned site than control site. 엽형의 유전을 결정짓는 엽장과 엽폭의 유전은 엽장의 경우는 긴쪽으로 초우성, 완전우성, 부분우성으로 여러 형으로 나타났다. 반면 엽폭은 넓은 쪽으로 초우성은 없고 완전우성과 부분우성이 있었다. 엽장을 엽폭으로 나눈 엽형은 대부분 양친의 엽형의 중간인 부분우성, 상대적으로 잎이 좁게 보이는 세장형 쪽으로의 초우성, 완전우성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