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강문숙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2024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 Vol.6 No.4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 prospective teachers' perceptions of AI education and AI teachers. Method: For this purpose, after conducting a discussion class, data obtained through questionnaires, reflection journals, and interviews were collected and a constant comparison method among qualitative analysis methods was performed. Results: First, about AI education and AI teachers, prospective teachers responded, ‘The positive and good things are helpful: supporter,’ ‘I am concerned about the negative and skeptical things: Concerns,’ and ‘I am looking forward to the fun and interesting things: Expectator.’ Awareness of AI education and AI teachers will either be helpful or act as a complex factor in education, such as concerns and expectations. However, AI teachers were perceived as merely assisting learning, and were negative and skeptical about emotional support, social skills, and creativity development. Conclusion: These results reflect the perceptions of prospective teachers, suggesting that systematic education using AI can be implemented in teacher training colleges, and that development and research of AI curriculum or AI-based educational programs are necessary.
강문숙 대한사고개발학회 2018 사고개발 Vol.14 No.2
This study is based on awareness that traditional knowledge-intensive lessons still prevalent in university education today need to replaced with alternative instructional innov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aning of aesthetic education based on narrative storytelling as one of the innovations. For this, after the instruction of 10 weeks, data from 30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collected throughout the course of study. A qualitative case study was implemented during an approximately one year period of time, and various qualitative data was collected through the process of participant observation, interviews and simulated class activities, and from the sources including reflective journals, portfolios, stories and multimedia contents used. Analysis of the data provided every hint that leaners must have experienced inner motivation, interests, and dynamic aesthetic overflowing through narrative storytelling. And these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narrative storytelling is an efficient instructional medium carrying much potential of aesthetics of imagination and metaphors, aesthetics of creation, aesthetics of encounter, and aesthetics of story.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commend narrative storytelling as an effective method for promoting aesthetics of education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본 연구는 오늘날 대학교육에서 여전히 전통적 지식주입식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에 대한 성찰에서 비롯된 것으로, 내러티브 스토리텔링을 대학수업에 적용한 후 학습자들의 경험에서 나타난 미학교육의 의미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J시 H대학교 30명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10주에 걸쳐 내러티브 스토리텔링을 수업에 적용하고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학습자 인터뷰, 참여관찰, 성찰일지, 포트폴리오, 스토리, 멀티미디어, 모의수업 실연 등의 자료이며 질적 분석의 근거로 하였다. 연구결과, 학습자들은 내러티브 스토리텔링을 통해 내적 동기와 흥미, 서로 협력하는 역동적이고 심미적인 체험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내러티브 스토리텔링 수업에서 상상과 은유의 미학, 생성의 미학, 관계의 미학, 이야기 미학의 의미가 존재하였다. 따라서 내러티브 스토리텔링은 교사양성과정에서 미학교육을 실천할 수 있는 효과적이고 유용한 대학교육의 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HRD(인적자원개발)를 위한 예비유아교사의 보육실습 실태 및 어려움에 대한 연구
강문숙,김두규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8 교육혁신연구 Vol.28 No.1
Purpose: The purpose this study was to analyzed the actual conditions and difficulti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HRD(Human Resource Development). Method: This study was surveyed 112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finished in childcare practice at the four University(D, K, H, J) in P city. To collect the data,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interviewed and written the childcare practic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s the childcare practice in child care centers, in which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s investigated the actual conditions according to have their experience during their practice period. The questionnaires was developed to ask the present for child care practice, child care practice curriculum(before education, regular education, after education), and difficulties. These actual conditions and difficulties were categorized by content analysis method by qualitative research method. Results: First, according to the type of childcare training institute, the before, regular, and after childcare practice for childcare practice differed. Most before education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ayment of childcare training expenses, and guidance were conducted regularly. Second, th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were also able to gain professional knowledge and practical knowledge to care and teach young childhood through childcare practice experience. But the because of the busy schedule of supervising teachers, unconcern,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and and sudden changes in daily childcare practice schedule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ressed difficulties. Moreover lack of information to care and teach infants and toddles were mentioned as an another difficulties. Thus, establishing more structured and education opportunities to supervising teachers should be given to create advanced professional teaching experience to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Conclusion: This study offered the realistic understanding and effective information about the actual conditions and difficulties of childcare practice for HRD. So the practical implication for planning the standards for child care practice can be suggested.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교사양성과정에서 예비유아교사가 경험한 보육실습 실태와 어려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P시의 4개의 대학교(D, K, H, J)에서 보육실습을 마친 예비유아교사 112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하여 보육실습 기간 동안에 경험한 바에 따라 보육실습 실태를 조사하고자 설문조사를 통한 기술통계를 하였고, 연구의 질적인 부분을 찾아보고자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을 인터뷰, 저널쓰기를 하였다. 설문지는 보육실습, 보육실습 교육과정(사전, 정규, 사후) 내용이었고, 인터뷰와 저널은 어려움에 대한 내용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실습 기관의 유형에 따라 보육실습을 위한 사전, 정규, 사후 보육실습이 다르게 나타났다. 대부분 보육실습에 대해 실습기관 선정, 사전교육 실시, 보육실습 지도비 납부, 순회지도 실시 등 주차별 보육실습은 일정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예비유아교사는 보육교사로서 필요한 전문적인 지식과 실천적 지식을 함양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보육실습기관마다 실습의 내용이나 일정이 다르고, 실습지도교사의 바쁜 일정과 다양한 역할, 무관심, 부정적인 정서표현 때문에 실습지도를 충실히 받을 수 없었던 어려운 부분들이 지적되었다. 앞으로 보육실습은 체계적이고 보편화된 보육실습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하고 실습지도를 담당하는 보육교사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교사교육의 기회가 자주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예비유아교사들은 영아에 대한 사전지식과 필요한 정보의 부족으로 인하여 영아반 수업진행이 또 하나의 어려움으로 언급되었다. 그리고 보육교사양성기관에서는 영유아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충분히 제공해 줄 수 있는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보육실습의 실태 및 어려움에 대한 현실적인 이해와 효과적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보육실습을 위한 기준을 계획하는 데 있어서 실질적인 함의를 제안하였다.
강문숙,황해익 한국보육지원학회 2008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4 No.2
보육의 질을 결정짓는 요소 중 보육교사의 질은 보육시설이라는 조직 속에 서 교육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핵심적인 역할이다. 본 연구는 보육 교사가 현장에서 실제로 수행하는 일들을 알아보기 위해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면담한 결과 보육교사의 직무는 10개의 영역과 146개의 내용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육교사의 직무 중 10개의 영역에 있어서 보육 활동 실제, 영유아 보호 관련 업 무, 사무 관련 업무의 내용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보육교사가 어린 영유아를 보호하고 교육해야 하기 때문에 보호자의 역할과 부모교육 담당자로서 의 역할까지 수행해야 하며, 영유아를 보육하는 직무 이외에도 평가인증과 구청 감사에 의한 공문서, 여성부 요청 자료나 각종 보고서 작성, 홈페이지 관리와 같 이 사무 관련 업무가 많아 그 내용 또한 다양하고 많음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보육교사가 하는 일들을 분담해 줄 수 있는 인력의 지원이 절실히 요구되며, 본연 의 직무인 영유아를 보호하고 전문성 신장에 전념하여 보육의 질이 향상 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업무방안이 제시되어져야 할 것이다.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예비교사들의 영유아, 교사, 원장에 대한 이미지 분석: 보육실습 전과 후를 중심으로
강문숙,김두규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7 교육혁신연구 Vol.27 No.3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s pre-service teachers images as infant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principals and their changing patterns before and after educare practice.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4 of the pre-service teachers enrolled in edu-care department at B university in P city. To collect the data, pre-service teachers were interviewed and interviewed before and after the edu-care practice. For this purpose, we asked them to describe their images as pre-service teachers, infant and early childhood, principals before and after care practice. These images were categorized by content analysis method by qualitative research method. Results: According to the analysis, First, before the educare practice, pre-service teachers showed a white drawing paper, cute, pure of infant and early childhood positive image of love and care. After the educare practice, pre-service teachers showed a positive image with some negation included hateful, not childish, angel, need to trim, etc. Second, Before the educare practice, pre-service teachers showed a positive image of love and care for the image of teachers. After the educare practice, pre-service teachers showed a positive image with some negation included difficult, hard, educator, caregiver, etc. Third, before and after educare practice, pre-service teachers identity as principals have not changed, but they were nonetheless able to re-cognition their identity as principals through the educare practice. After child care practice, infant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images changed love, caring and so on.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educare teachers, principals professionalism needs to be reconceptualized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teachers education and educare center. Moreover, it is necessary for pre-service teachers to give opportunities to reflect their images and from new images through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연구목적: 본 연구는 예비보육교사들에게 영유아, 교사, 원장의 이미지를 은유적으로 표현한 후 그들의 이미지들이 보육실습 전과 후에 어떻게 변화하는지 그 변화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P시 B대학교 34명의 예비보육교사들이다. 자료수집을 위해, 예비보육교사를 대상으로 보육실습 전과 후에 성찰일지,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예비보육교사들이 표현한 보육실습 전과 후의 영유아, 교사, 원장의 이미지에 대한 은유들을 질적연구방법인 내용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실습 전, 예비보육교사는 영유아의 이미지에 대해 하얀 도화지, 귀여운, 사랑스러운 등 사랑과 돌봄의 긍정적인 이미지에서 보육실습 후에는 얄미운, 아이답지 않은, 천사, 잘 다듬어 주어야 하는 등 다소 부정이 포함된 긍정적인 이미지로 변화되었다. 둘째, 보육실습 전, 예비유아교사는 교사의 이미지에 대해 사랑과 돌봄의 긍정에서 보육실습 후 어렵고 힘든, 교육자, 양육자 등 다소 부정이 포함된 긍정적인 이미지로 변화되었다. 셋째, 보육실습 전과 후, 원장의 이미지는 긍정과 부정이 모두 포함되어 나타나, 변화가 거의 없었다. 이들에게 보육실습은 기존에 자신이 가지고 있었던 영유아, 교사, 원장의 이미지를 재인식하고 공고히 하는 계기가 되었다. 즉, 보육실습을 통해 예비유아교사들은 보육교사양성과정에서의 이론적인 내용습득과 보육현장에서의 실천적인 삶의 통합적인 과정을 통해 그들을 바라보는 이미지에 변화가 있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인적자원개발을 위해 보육교사양성과정과 어린이집에서 교사, 원장의 전문성에 대한 재개념화가 필요함을 제안한다. 게다가, 보육교사교육과정에서는 예비보육교사들이 영유아, 교사, 원장의 이미지를 드러내고 반성적 사고과정을 통하여 그들의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강문숙,유재봉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6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사교육에서 나타난 그 경험의 의미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예비교사 111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고 인터뷰와 저널쓰기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즉, 사교육 경험을 조사하고자 설문조사를 통한 기술통계를 하였고, 연구의 질적인 부분을 찾아보고자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저널쓰기와 인터뷰를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교사는 비교과 사교육과 교과 사교육을 대부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긍정적인 사교육 경험은‘ 호(好): 좋아하는 것, 원(願): 원하는 것, 자유(自由): 자유로운 분위기’의 의미로 나타났다. 셋째, 부정적인 사교육 경험은‘강(强): 강압적인 분위기, 압(壓): 압박감, 불안(不安): 스트레스’의 의미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사교육은 교과와 비교과 사교육의 긍정적인 경험에 대한 교육적 가치를 실현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사교육의 혁신과 질 제고를 위해 사교육에 대한 체계적인 개발과 더불어 다양한 분야에서 사교육을 개발하여 학생들에게 폭넓은 경험을 제공하고, 역량개발을 위해 개개인의 특성에 맞는 다양한 사교육이 이루어지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pre-service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11 of the pre-service teachers at H university. Data are collected through participants' journals and small group interview.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employed to conduct this study.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follows: First, most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d shadow education of the curriculum oriented shadow education and non-curriculum oriented shadow education. Second, positive shadow education experience appeared to mean 'preferences, wants, and free atmosphere'. Third, negative experiences of shadow education appeared to mean 'coercive atmosphere, pressure, stress and anxiety'. In conclusion, realizing the same educational value for the curriculum oriented and shadow education and non-curriculum-oriented shadow education system should be sought as the subject of tutoring. In order to the innovation and quality improvement of shadow education, systematic development of the class linked with shadow education should be sought and implemented in various fields.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내러티브 스토리텔링 수업연구
강문숙 대한사고개발학회 2016 사고개발 Vol.1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narrative storytelling instruction for creativity-personal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the instruction. The narrative storytelling instruction was developed through analyzing of related literatures and consulting of educational specialists. After the instruction of 8 weeks, data from 28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collected throughout the course of study. The data were quantitative ones, including essays, reflective journals, portfolios, and interviews. Results were as followings: First, their creativity-personality was higher in all factors after the instruction. It showed that the narrative storytelling instruction was positively effective for creativity-personality improvement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econd, it showed that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d rich imagination, serious communication and creative mind in the instruction of narrative storytelling for creativity-personality. In addition, they solved positively their own problems and learned the importance of creativity-personality throughout the instruc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narrative storytelling instruction was positively effective for creativity-personality improvement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이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인성 함양을 위해 내러티브 스토리텔링 수업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효과와 수업의 의미를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문헌탐색에 기초하여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내러티브 스토리텔링 수업절차를 전문가 검토를 거쳐 개발하였다. 28명의 예비유아교사에게 적용하고 창의·인성 사전·사후검사를 하였으며, 수업과정에서 얻은 에세이, 성찰일지, 포트폴리오, 인터뷰 등의 자료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인성은 사전에 비해 사후결과 모든 요인에서 평균이 높게 나타나, 전반적으로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수업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은 기존 틀에서 벗어나 호기심을 자극하는 상상수업, 경험 이야기를 통해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을 길러주는 내러티브수업, 즐거움과 아름다움을 느끼고 서로를 배려하고 인내하는 소통수업, 타고난 예술적 재능이 아니라 이야기적 지식으로 재생산되는 창의성수업을 경험하였다. 또한, 예비유아교사는 최종 마무리단계에서 ‘유아교사되기’의 시연수업 경험을 통해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고, 창의·인성교육의 의미와 중요성을 학습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내러티브 스토리텔링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인성 함양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강문숙 대한사고개발학회 2014 사고개발 Vol.10 No.1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과학교수 상태불안과 특성불안이 어떠한지를 알아보고, 유아교사교육에 주는 시사점과 바람직한 과학교육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한 연구대상은 부산·경남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의 유아교사 300명을 무선표집하여 최종 253부(84.3%)를 분석하였다. 연구도구와 수집된 자료는 과학교수 불안을 측정하는 S-STAI 검사를 하고, 이를 일원분산분석과 Scheffé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의 경력에 따라 상태불안과 특성불안은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경력이 많을수록 과학교수 상태불안과 특성불안은 감소하고, 경력 1년 이하 유아교사는 과학교수 특성불안이, 경력 2년에서 5년은 상태불안이 더 높게 나타났다. 즉, 유아교사의 경력과 과학교수 불안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경력이 낮을수록 과학 수업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불안을 느끼고 있으며, 경력이 높을수록 과학 수업을 실시하고 있을 때 불안을 느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과학교수에 대한 자신감과 같은 정의적 특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과학교수 플랫폼과 같은 과학교수 연수 의 장(場)이 마련되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effective science education methods for early childhood teacher nurture curricula,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science anxiety according to childhood teaching careers, and to suggest the educational values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order to achieve these objects of the study, questionnaires were used to survey 300 teachers in charge of 5-year-old children’s classes in both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in Busan and Gyeongnam Province. Two hundred fifty three questionnaires were qualified for this study among the returned survey.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STAI) was used to assess the characteristics of anxiety, and all these variables were investigated using one-way ANOVA with Scheffé.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tate-anxiety and trait-Anxiety. The result of ANOVA revealed that the more work experience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the more cause of mathematics anxiety they alleviate. These results suggest to improve the attitude toward science and to decrease anxiety toward science education methods of early childhood teacher nurture curricul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