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일 교육방송을 활용한 DaF 수업

        강명희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19 獨語敎育 Vol.74 No.74

        Diese Arbeit beschäftigt sich mit deutschen Bildungssendungen als Lehrmaterial im DaF-Unterricht. In Deutschland wurden in den frühen 60er Jahren neue Unterrichtsmethoden eingeführt, um das Medium Fernsehen in Schulklassen zu nutzen. In regelmäßigen Abständen werden Schulfernseh- sendungen übertragen, damit die Lehrer sie als Unterrichtsmaterial im Unterricht verwenden können. „Planet Schule“ des SWR/WDR Fernsehens und „ARD-alpha“ des Bayerischen Fernsehens bieten verschiedene Sendungen für den Schulunterricht an. Diese Bildungssendungen umfassen alle unterrichteten Schulfächer wie z.B. Geschichte, Naturwissenschaften, Kunst, Sprache und Gesellschaft und sind auch für den Einsatz im DaF-Unterricht geeignet. „Planet Schule“ deckt die unterschiedlichsten Themen ab und bietet viele Programme zur deutschen Sprache, Literatur und Kultur an. Auf der Internetseite von „Planet Schule“ kann man verschiedene Videoclips, dazugehörige Unterrichtsmaterialien und Übungen herunterladen. In der vorliegenden Studie werden die für den DaF-Unterricht geeigneten Sendungen vorgestellt und darüber hinaus einige Lehrmethoden, die im Unterricht angewendet werden können, vorgeschlagen. 독일어 학습과 관련된 인터넷 정보는 매우 다양하고 광범위하다. 전문적인 교육 사이트부터 독일 관련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한 사이트 및 동영상 공유 사이트까지 전통적인 책을 통한 정보 외에도 우리가 직접적으로 손쉽게 얻을 수 있는 독일어 학습 자료들은 넘쳐날 정도이다. 이러한 인터넷 자료들은 교수자나 학습자 모두에게 더없이 유용하고 편리한 학습 도구로 활용될 수 있지만 정작 이를 선별하는 과정은 그와 같은 편리함을 무색하게 만들 정도로 많은 시간을 소요하게 만든다. 필자는 이미 10여 년 전에 당시 학생들에게 새로운 미디어 환경으로 호응을 얻기 시작한 유튜브를 예로 들어 이러한 점을 지적하고 수업에 적합한 동영상 자료들을 선별하여 교수 방안과 함께 소개한 바 있다(강명희 2010 참고). 그사이 노트북, 태블릿, 스마트폰, 블로그, 트위터,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스냅챗 등과 같은 디지털 기기와 매체의 진화는 이러한 정보와 자료들의 범람을 더욱 가속화 시켰고 선별의 어려움은 그만큼 더 가중되었다. 인터넷은 청소년을 비롯하여 젊은 층의 학습자들에게 친근한 매체로서 접근성, 다양성, 창의성, 재미 등 많은 장점을 지닌 학습 자료들을 제공하고 있다. 아울러 지속적으로 제공되는 새로운 학습 자료들은 학습자들의 주의를 환기시키고 지루하지 않은 수업을 원하는 교수자들에게도 더없이 좋은 자료들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수많은 자료와 정보들 가운데 어떤 것이 실제로 유용한 지에 대한 판단은 쉽지 않고, 이를 위해 교수자 및 학습자 개개인이 할애해야하는 유무형의 소비는 피로감을 유발시킬 정도이다. 특히 전문가들이 아닌, 아직 해당 분야에 대한 사전 지식이 부족한 학습자들의 경우에는 더더욱 유용성, 실효성과 관련된 효과를 미리 가늠하기가 쉽지 않다. 인터넷에는 검증되지 않은 것들도 포함해서 수많은 자료들이 있고, 이들 중에 학습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유용한 자료들을 파악하고 이를 수준에 맞게 응용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는 것도 이제는 교수자들의 중요한 과제 중 하나로 여겨진다. 이로써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독일어 학습 자료들 가운에 특히 양질의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는 독일 교육방송 프로그램들을 소개하고 이를 대학의 DaF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수 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독일은 새로운 매체를 수업에서 교육적으로 활용하는 것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지고 새로운 교육 환경에 맞는 콘텐츠 개발과 서비스 제공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Wampfler 2017 참고). 특히 지역공영 방송사들을 통해 제공되는 교육 프로그램들은 학교에서 교수자와 학습자들이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되고, 전문적인 감독 하에 철저히 교육에 적합한 내용들로 검증된 학습 자료를 제공한다. ‘수업용 TV 방송 Schulfernsehen’이라 지칭되는 독일의 교육방송은 한국의 EBS처럼 독립된 방송국이 별도로 존재하지는 않지만 기존 방송채널을 통해 교육 프로그램을 제작 방송하면서 일종의 교육 플랫폼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수업용 TV 방송’은 무엇보다 학습과 교육을 목적으로 제작된 만큼 다른 인터넷 자료들과 비교할 때 교육적 신뢰도가 높고 전문적인 교수법에 대한 정보와 관련 유인물들까지 제공하고 있어 교수자들의 수업준비 시간을 단축시키고 그만큼 양질의 수업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본 논문에서는 ...

      • KCI등재

        독일 청소년 언어 연구 발달사 - 20세기 이후 연구방법 및 연구자를 중심으로

        강명희 한국독어학회 2015 독어학 Vol.31 No.-

        In vorliegendem Aufsatz wird zunächst ein Blick auf die Forschunggeschichte zur deutschen Jugendsprache geworfen. Außerdem finden die verschiedenen Forschungsmethoden und herausragende Sprachwissenschaftler seit dem 20. Jahrhundert Erwähnung. Bereits für das Mittelalter kann die Erforschung der Jugendsprache in Deutschland festgestellt werden. Diese frühe Jugendsprachforschung manifestierte sich hauptsächlich in Form einzelner Wörtersammlungen der 'Studentensprache'. Beachtenswerte Forschungsergebnisse zur Studentensprache sind indessen ab Anfang des 20. Jahrhunderts nicht mehr zu verzeichnen. Später wurde die Jugendsprache von den Gymnasiallehrern für pädagogische Zwecke untersucht und dadurch als 'Schülersprache' bezeichnet. Die Forschungen zur 'Studenten-' und 'Schülersprache' weisen jedoch eine Grenze hinsichtlich der Tatsache auf, dass beide die Sprache der Jugendlichen außerhalb des institutionellen Erziehungsbereichs nicht enthalten. Ab den 30er Jahren ist die Tradition der Jugendsprachforschung in Deutschland ungefähr dreißig Jahre lang wegen des Nationalsozialismus und des Zweiten Weltkriegs unterbrochen. Anfang der 60er Jahre wurde die deutsche Jugendsprache dann als 'Halbstarkendeutsch' oder 'Teenager-Jargon' abgetan, und als Spracherscheinung heftig kritisiert, die die Norm der Standardsprache bedrohe. Ende der 60er Jahre bis Anfang der 70er Jahre zeigte sich die deutsche Jugendsprache als 'Sprache der 68er' bzw. als 'Apo-Sprache', was bezeichnend ist für den Charakter der politischen Sprache unter dem Einfluss der Studentenbewegung. Erst in den 80er Jahren wurde die Jugendsprache als ein ernst zu nehmender sprachwissenschaftlicher Forschungsgegenstand betrachtet, was zu verschiedenen empirischen Forschungsergebnissen führte. Nach den 90er Jahren wurde die Jugendsprache als ein Fachgebiet der Soziolinguistik in den verschiedensten Bereichen mit Nachdruck untersucht. Ausser der geschichtlichen Entwicklung der Jugendsprachforschung behandelt vorliegender Aufatz die wichtigen Forschungsmethoden und namhafte Sprachwissenschaftler, etwa H. Henne mit dem Schwerpunkt Wortbildungsebene, P. Schlobinski mit Pragmatik, E. Neuland auf der Ebene der Soziolinguistik, sowie H. Ehmann unter dem Blickwinkel der Lexikographie. 오늘날 다양한 매체의 발전과 더불어 그 어떤 세대보다 빠르게 소비자로부각되고 있는 청소년은 실로 소통의 중심에 있는 세대로 간주되고 있다. 본래 ‘표준 언어 Standardsprache1)’와 구분되는 여러 자질을 지닌 ‘청소년 언어Jugendsprache’는 그 개념과 대상에 대한 불확정한 상태에도 불구하고 일차적으로 ‘청소년들이 사용하는 언어’로 정의되고 있다 (강명희 2012: 2ff). 대개청소년 언어는 청소년 특유의 기존 관습에 대한 저항의 관점에서 ‘성인 언어Erwachsenesprache’로 대변되는 일반 언어에 대한 반항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청소년에 의해 의식적으로 이루어지는 언어를 통한 사회적 규범에 대한 경계설정과 저항으로도 볼 수 있다. 특히 SMS, Chat, E-Mail과 같이 새로운 매체를통한 의사소통 영역에서는 청소년들의 언어 사용에 따른 특징과 결과물들이두드러진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외부적인 언어 사용 환경의 변화와발전에 따라 청소년 언어는 다양한 사회 언어적 변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그만큼 청소년 언어가 미치는 사회적, 언어적 영향력도 크다고 볼 수 있다. 청소년들의 사고와 문화를 이해하고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어가기 위해서는 먼저 이들이 사용하는 언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선행되어야 하며, 언어학적측면에서 청소년 언어에 대한 지속적인 고찰과 연구는 청소년 문화에 대한이해의 차원을 넘어서서 현대 언어학의 중요한 연구 과제라고 볼 수 있다. 청소년 언어 연구는 청소년이라는 언어 사용자를 중심으로 사회언어학의 영역에서 사용 맥락과 배경, 조건 등에 대한 연구가 함께 이루어질 수 있으며, 청소년들이 사용하는 발화를 중심으로 하는 화용론적 관점, 관용구, 조어론, 문체론, 사전편찬 등 다양한 언어학적 연구 영역과 외연관계를 맺고 있다. 그밖에 교육, 매체, 소비, 유행, 집단 심리 등의 키워드를 통해서도 많은 연구 분야의 접점을 제공하고 있다. 이로써 청소년 언어는 연구 대상으로서 거대한 아카이브를 제공하면서도 동시에 그만큼 밀도 높은 연구 결과를 제시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문제도 안고 있다. 독일에서 이와 같은 청소년 언어라는 개념은이미 중세 때부터 등장하기 시작하였고 그 역사적 출발과 궤를 함께하여 현재에는 사회학, 언어학, 교육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 활동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언어학 영역에서 독일 청소년 언어의 연구는어휘적, 화용론적, 사회언어학적 문제제기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고, 이와 더불어 사용 언어의 차이로 인해 일반인들과 청소년 사이에 초래될 수 있는 소통의 장벽을 막기 위해 시대별 사전 편찬도 함께 이루어져 왔다. 최근 유럽통합 이후 독일 청소년 언어 연구는 유로존에 속하는 국가 간의 이해와 소통을 위해 상호 비교 측면에서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독일청소년 언어 연구의 발달과정에 대한 조망은 한국의 청소년 언어 연구에도하나의 범례로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지며, 본고에서는 우선적으로 독일 청소년 언어 연구의 초기 형태와 시대별 발달 과정에 대해 살펴보고 아울러 청소년 언어가 본격적인 학문의 대상으로 확립되기 시작한 1980년대 이후의 주요 연구방법과 연구자들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강명희 2008, 2014).

      • KCI등재후보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 교과서 개발과 교사의 전문성 개발의 과제

        강명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7 No.1

        본 연구에서는 수학과 개정 교육과정에 기초하여 교과서 개발과 교사 전문성 개발과 관련하여 당면한 주요 쟁점을 탐구함으로써, 개정 교육과정이 교실수업 수준에서 성공적으로 구현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미 교과서 개발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하여 교과서 개발에 있어서 핵심과제로 교육과정의 의도를 다양하고 창의적으로 구체화시키는 문제, 수학적 사고력 촉진을 위한 내용구성과 교수·학습방법 개발의 과제, 교과서 개발의 심의 기준 및 평가문제를 중심으로 교과서 개발의 방향과 내용에 관해 논의하였다. 수학과 개정 교육과정의 의도와 내용으로 볼 때 교사의 전문성 개발은 가장 중요한 필수요건이 아닐 수 없다. 수학 교사의 전문성 개발 교육프로그램으로 한국교육과정 평가원이 개발·연구 중에 있는 PCK개발모형과 Borasi와 동료들에 의해 개발·운영되고 있는 탐구적 접근(inquiry approach)방법을 중심으로 개정 교육과정에 적합한 수학 교사의 전문성 요소를 탐색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토대로 체계적인 교사 전문성 개발 방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issues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s textbooks and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eachers to reflect the new mathematics curriculum and explore successful ways of classroom reform. Considering that a new curriculum of mathematics textbooks is already in development, the study discusses the main issues of creatively implementing the foundational beliefs of the new curriculum in a non-conformist way, organizing the content and designing teaching methods to elicit mathematical thinking from the students, and designing a set of criteria to evaluate the textbooks. Regarding the direction of the new mathematics curriculum,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mathematics teachers is essential. Two approaches in professional development, the PCK method of KICE-TLC and the inquiry approach method of Borasi and her colleagues were reviewed in terms of elements suitable to the new mathematics curriculum. On the basis of this discussion, this study makes recommendations regarding systematic methods for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mathematics teachers.

      • KCI등재

        고등학생의 사회적 지지, 메타인지, 내재적 동기, 일상적 창의성 간의 구조관계

        강명희,윤성혜 대한사고개발학회 2017 사고개발 Vol.13 No.1

        Everyday creativity refers to the thoughts and activities used to solve problems in new and unique ways and to make useful and appropriate products. As high school students prepare for life as adults, everyday creativity is important for them to develop. This study therefore aimed to reveal the variables affecting everyday creativity and provid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Based on previous studies, this study chose social support, metacognition and intrinsic motivation as the core factors that affect the everyday creativity of high school students. The authors surveyed 3 high schools in Seoul metropolitan area via convenience sampling from the 5th week of April to the 1st week of May, 2016. The collected data from 255 high school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structural model that social support affects everyday creativity through metacognition and intrinsic motivation was identified appropriate. Metacognition and intrinsic motivation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everyday creativity. Social support was found to have an indirect effect on everyday creativity through metacognition and intrinsic motivation. Based on the results, to improve the everyday creativity of high school students, an educational strategies to promote social support, metacognition and intrinsic motivation is needed. 일상적 창의성은 제반 사태나 문제를 새롭고 독특한 방법으로 해결하고, 유용하고 적절한 산출물을 내는 데 필요한 역량으로,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서 성인으로서의 삶을 준비하는 고등학생이 가져야 할 역량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일상적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규명함으로써 일상적 창의성 함양을 위한 이론적․실천적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일상적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서 사회적 지지, 메타인지, 내재적 동기를 상정하였으며, 수도권(서울, 경기) 소재 3개 인문계 고등학교를 편의표집하여 2016년 4월 다섯째 주부터 5월 첫째 주에 걸쳐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고등학생 255명의 자료를 분석하여 이들 간의 구조관계를 분석한 결과, 사회적 지지가 메타인지와 내재적 동기를 매개로 일상적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규명되었다. 또한 변인 간의 직·간접 관계에 대한 분석 결과, 메타인지와 내재적 동기는 일상적 창의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들 변인은 사회적 지지와 일상적 창의성 간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고등학생의 일상적 창의성을 함양하기 위하여, 사회적 지지, 메타인지, 내재적 동기를 촉진시키기 위한 교육적 전략이 필요함을 역설하였다.

      • KCI등재

        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한 제주도 북촌의 인공어초해역에서 어류 분포와 어초와의 관계

        강명희,Rina Fajaryanti,정봉규,윤은아,민은비,이경훈,오우석,신영재,최용석,이병호,황두진,박근창 한국수산해양기술학회(구 한국어업기술학회) 2019 수산해양기술연구 Vol.55 No.2

        Various artificial reefs provide the fish habitat and nursery, and contribute the improvement of fisheries productivity. The evaluation methods of fishery resources in the artificial reefs have been done by fishing, scuba diving, underwater camera, and scientific echo sounder/sonar. There are a number of studies using echosounders on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valuations of artificial reefs in various seas around the world. This study focused o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fishes around artificial reefs and the influential area of reefs off Bukchon, Jeju Island. Not only acoustic data but also various properties of artificial reefs were used in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o extract relevant results. As a result, the major material of reefs on this study site was concrete and the number of reefs with that material was the most. The volume of reefs consisted of steel only and steel with riprap was considerably large compared to other reefs. The average NASC in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fishes in artificial reefs was 31.6 m2/nm2 in April, and that was 61.3 m2/nm2 in June. The distance between the fish school and their nearest reef in June morning had a wide range from 750 to 3250 m. On the basis of the influence ray of artificial reefs, it had a tendancy of NASC to decrease with distance from the reef in the June morning. It is a preliminary study to present the geospatial analysis example to understand a better way of comprehensive artificial reef environments.

      • KCI등재

        초등학생들의 문제풀이 과정에 나타난 등호 이해유형에 관한 연구

        강명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이 사칙계산문제를 푸는 과정에서 나타난 등호 이해유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서울 소재 초등학교 4, 5, 6학년생 214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학생들은 좌변 계산식 문제, 양변 계산식 문제, 우변 계산식 문제, 혼합 계산식 문제를 풀고, 등호의 의미를 서술하였다. 등호의 뜻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은 관계성, 결과, 기타로 코딩되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호 ‘=’ 명을 정확히 대답한 학생은 총 응답자의 20.6%(44명)이며, 학년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각 문제별 정답률은 99.1%(좌변 계산식), 77.1%(양변 계산식), 92.1%(우변 계산식), 85.0%(혼합 계산식)이며, 각 문제에 대하여 학년별 정답자 수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학생들의 등호 이해유형을 분석한 결과 등호를 양변 관계성으로 이해한 학생들이 좌변 계산식에서는 64.5%, 양변 계산식에서는 80.8%, 우변 계산식에서는 76.2%, 혼합 계산식 앞쪽 등호에 대해서는 87.4%, 혼합 계산식 뒤쪽 등호에 대해서는 66.8%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각 문제에서 학년에 따라 등호에 대한 이해유형(관계성 vs. 관계성 외)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다섯째, 각 문제에서 수학능력자기평가 수준(상, 중, 하)에 따라 학생들이 이해하는 등호유형(관계성 vs. 관계성 외)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이 등호를 관계성의 의미로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equal sign as they solve arithmetic problems. 214 4th, 5th,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 four-problem set to diagnose students conception of equality was designed based on previous studies. Students solved an operations equals answer equation, operations on both sides equation, an operations on right side equation, and a two equal signs equation and explained how they understood the equal sign. Students responses on the equal sign were coded into three categories of a relational understanding, an operational understanding, and others.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proportion of students who named equality on the equal sign was 20.6%(44 students) and there 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grades. Second, the proportion of students who gave correct answers was 99.1%(operations equals answer), 77.1%(operations on both sides), 92.1%(operations on right side), 85.0%(two equal sign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grades in how correctly they solved the 4 types of problems respectively. Third, the proportion of students who understood the equal sign as a relational symbol was 64.5% for the operations equals answer, 80.8% for the operations on both sides, 76.2% for the operations on right side, 87.4% for the front equal sign of the two equal signs, and 66.8% for the back one of it. Fourth, for the four problem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ades and their understanding of the equal sign(relational vs. no relational) respectively. Fifth,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high, middle, low) of the perceived math abilities of the students and their understanding of the equal sign(relational vs. no relational) respectively. Based on these results, I make a number of proposals helping them understand the relational concept of the equal sign. Key words: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learning, equal sign, mathematical thinking

      • KCI등재

        혼합형 STEAM 초등교원연수성과에 대한 교사의 정보활용능력과 인지실재감의 예측력 규명

        강명희,류혜선,김보경,유지원 한국교원교육학회 2013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0 No.3

        본 연구는 혼합형 STEAM 초등교원연수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학업성취도와 학습만족도를 연수성과의 준거변인으로, 정보활용능력을 예측변인으로, 인지실재감을 매개변인으로 상정하여 이들 간의 관계와 예측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2012년 2월부터 4월까지 실시된 혼합형 STEAM 초등교원연수 과정을 이수한 현직교사 80명 중 설문에 성실히 응답하고, 최종 과제를 제출한 70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교사의 정보활용능력, 인지실재감, 학습만족도는 자기보고식 설문지로, 학업성취도는 루브릭을 활용한 수업지도안 평가점수를 활용하였으며, 연수성과에 대한 정보활용능력의 예측력과 연수성과와 정보활용능력 간의 관계에서 인지실재감의 매개효과는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정보활용능력은 학업성취도(β = .31)와 학습만족도(β = .52)를 각각 정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분석되어 연수성과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인지실재감은 정보활용능력과 연수성과(학업성취도, 학습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어 학습과정에서 주요하게 다루어야 할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혼합형 STEAM 초등교원연수를 설계하고 운영하는 담당자들에게 학습과정 중 연수생들의 인지실재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촉진전략을 고안하여 실행해 나갈 것을 제안한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혼합형 STEAM 초등교원연수에서 규명된 것이므로, 향후 다양한 사례를 대상으로 실증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를 통해 타당성을 충분히 확보해 나가야 할 것이다.

      • KCI등재

        Acoustic Characteristic of Sailfin Sandfish (Arctoscopus japonicus) in Dokdo, Republic of Korea

        강명희,리나 파야리안티,Sangchul Yoon,황보규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020 Ocean science journal Vol.55 No.2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sailfin sandfish over a wide frequency range. The acoustic survey was conducted in February, May, and August 2015 off Dokdo, Republic of Korea using EK60 echosounder (18, 38, 70, 120, and 200 kHz) with the mid-water trawls. Target strength (TS) of sailfin sandfish as functions of frequency and tilt angle was modeled using the KRM (Kirchhoff-ray mode) backscatter model. The sailfin sandfish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by using the ΔMVBS (difference of mean volume backscattering strength) method and the net opening depth method, respectively. The acoustic signals were clearly concentrated at 20−100 m water depth. The MVBS tended to become lower as the frequency became higher. The MVBS of sailfin sandfish in the net opening depth was higher than that from the ΔMVBS method, yet both characteristics of frequency response were very similar. In comparison with the frequency response of the ΔMVBS method, that of the modeled TS was very similar in February and May. In particular, the sailfin sandfish were concentrated at 30−80 m depth and favored a temperature below 13°C. Lastly the greatest abundance of sailfin sandfish occurred in May. The highest distribution of sailfin sandfish was in the eastern part of Dokdo in February, in the west, northeastern, and southeastern areas in May, and in southeastern region in Augu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