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最勝太子別壇供養儀軌』 연구(1)*

        강대현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 2022 불교 철학 Vol.10 No.-

        『최승태자별단공양의궤』는 북방 비사문천의 삼남 최승태자와 관련된공양법을 적은 의궤이다. 2010년 일본 학자에 의해 처음으로 소개된이 의궤는 1133년 필사된 것으로, 신라 현초의 저작으로 여겨지는 기록이 의궤의 오서에 기록되고 있다. 총 1,570여 자로 이루어진 이 의궤는 만다라 중앙의 10천왕, 제2원의 22왕, 최외원의 5장군 등을 배치한후 화신의 모습을 나타낸 최승태자의 인상착의 및 소지하고 있는 법구등을 통해 그의 위신력을 보여준다. 이어서 만다라 작단이 거행되는데, 높이 1척 너비 4주의 만다라를 건립하고 갖가지 장엄단을 갖춘 후 삼밀수행을 행한다. 의궤 부분의 마지막에는 중생의 현실적인 식재 및증익을 도모한 최승태자 공양의 공덕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른바 오서 에서 ‘보수사 현초가 이 의궤를 지었다.’라고 혹자가 전하는 내용과 함께 알 수 없는 저자에 의해 1133년에 이 의궤가 필사되었음을 밝히고있다. 본고에서는 『최승태자별단공양의궤』의 내용 분석보다는 원전의판독에 중점을 두었으며, 형식적인 구성을 살펴보기 위해 不空譯, 『北 方毘沙門多聞寶藏天王神妙陀羅尼別行儀軌』(T1250)를 비교하였다. 비록 이 의궤의 중요성이 가볍지는 않지만, 우선적으로 이 의궤의 찬술자 및 필사자에 대한 객관성 확보와 더불어 원문의 온전한 판독을 통한 완벽한 해석 등이 선결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고려시대 밀교종파 지념업[총지종] 연구

        강대현 한국불교학회 2021 韓國佛敎學 Vol.98 No.-

        The history of Korean esoteric Buddhism can be found mainly in Buddhism of the Goryeo period. Evidence for this is that many of the Buddhist services were established under royal protection. In addition, regarding esoteric Buddhism that is discussed in Korean Buddhism, Sininjong (신인종) and Chongjijong (총지종) are representative sects. Among them, Chongjijong was not found until the Joseon period. During the Goryeo period, as a mark of its sectarian character, the name of Jinyeomup (지념업) appeared. In other words, jinyeom (지념), which refers to “the recitation of a dhāraṇī in concentration meditation before the Buddha-sphere” and eop (업), which means sect or school was combined to make the term Jinyeomup. Furthermore, the term chongji, which means “to maintain” or “to be able to stop” came to be known as the sect, Chongjijong. During the Goryeo period, along with Cheontaejong, Hwaeomjong, Jaeunjong, Namsanjong, etc. Jinyeomup maintained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Goryeo royal family. This is known because a collection of poems called the Dongmoonsun (동문선) includes a message from the king to a meditation master of Jinyeomup, Joyu (조유) who recognizes Jinyanggong (진양공) and his ability to overcome illness through the practice of esoteric ritual. In addition, the main activities of the Jinyeomup in the Goryeo period were assessed in the contents of the esoteric practitioners of the Chongjijong, which appears in the chronicles of King Taejong (태종실록). These practitioners would memorize mantras of the Chongjijong with the intention of saving sentient beings. 한국 밀교의 역사는 주로 고려시대의 불교적 양상에서 찾을 수 있다. 왕실의 비호 아래 개설되었던 수많은 밀교도량이 그 증거 중의 한가지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한국불교에서 거론되는 밀교종단은 신인종과 총지종이 대표적이다. 이 중 총지종은 조선시대에 이르러서야 그 이름을 찾아볼 수 있다. 고려시대에는 종파적 성격의 지념업이라는 이름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즉 ‘선정 속에서 진언다라니염송을 통한 불경현전(佛境現前)’을 뜻하는 ‘지념’과 종파 내지 문파를 뜻하는 ‘업’이 결합하여 지념업으로 부르던 것이 다라니를 통한 능지(能持) 또는 능차(能遮)의 뜻을 담고 있는 ‘총지’와 더불어 총지종이라는 종단 명칭이 된 것이다. 고려시대에는 천태종ㆍ화엄종ㆍ자은종ㆍ남산종 등과 유가업, 화엄업, 율업, 소승업 등의 명칭과 함께 지념업 또한 고려 왕실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밀교수법으로 진양공의 병환을 물리친 지념업 선사 조유에게 왕이 내린 교서가 시문선집 『동문선』에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조선 『태종실록』에 나타난 총지종의 밀교행자가 밀원에 번갈아 들어가 진언을 외었던 내용과 총지종은 인명구제를 설치목적으로 하였다는 관련 기사 등에서 고려시대 지념업의 주된 활동상을 가늠해볼 수 있었다.

      • KCI등재

        한국 불교의식집 圖像의 현황 및 유형 ‒『韓國佛敎儀禮資料叢書』를 중심으로 ‒

        강대현 한국불교학회 2018 韓國佛敎學 Vol.85 No.-

        한국 불교의식집에 나타나고 있는 여러 도상은 비록 일반적인 불교회화와는 약간의 거리가 있지만, 한 시대의 정신문화를 함께 향유하는 구성원들의 共時的 소통을 드러내 보임에는 부족함이 없다. 그러므로 조선후기 불교의식집에 나타나고 있는 도상은 당시의 다원적인 문화의식의 토대에서 형성된 사상⋅철학 내지 신앙 등의 융합상을 나타낸 것이며, 이는 또한 종교⋅철학⋅신앙 등에 대한 정신문화적 수용의 폭이 그만큼 넓어졌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를 본문에서는 ‘순수 불교 도상’, ‘중국의 사상⋅철학적 요소가 융합된 도상’, ‘풍속 및 신앙적 요소가 혼합된 도상’, ‘기타 도상’ 등의 네 범주로 분류하여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이러한 조선후기에 간행된 한국 불교의식집의 도상에 대한 현황 및 유형별 구분은 향후 각각의 도상이 함축하고 있는, 불교는 물론 이외의 사상 내지 철학 등이 융합되어 있는 당시의 정신문화적 다원성을 자 세히 분석하는데 유용한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Although some of iconographies in the collections of Korean Buddhist rituals are remarkably different from other Buddhist paintings, they surely reveal the spirit of the communications between Buddhist members in order to join a contemporary trend. Thus, as the iconographies in the collections of Korean Buddhist rituals in the late Joseon period represent the ideas forming the basis of pluralistic cultural consciousness in philosophical or religious attitudes through harmonious convergence, they reveal the widened cultural spirit of acceptance for different religious or philosophical ideas. So the author classified them into the four categories of ‘the pure Buddhist paintings’, ‘the iconographies showing the influence of the elements of Chinese philosophy’, ‘the iconographies showing the influence of aboriginal religious factors’, and ‘the other iconographies’, in briefly surveying them in this article. This survey of iconographies in the collections of Korean Buddhist rituals according to their contemporary conditions and classifications can be said to be highly useful for detailed analysis of the spirit of cultural pluralism then.

      • 불복장 복장물의 관정(灌頂)에 대한 연구

        강대현 불교의례문화 연구소 2020 무형문화연구 Vol.0 No.1

        Bulbokjang refers to the whole process of putting symbols of buddha seed-nature into a newly made Buddha statue. In order to include the minimum requirements that Buddhists must have, five-incenses and other objects used in this process must undergo an esoteric Buddhism rituals of the consecration with water. Consecration with water has more meaning than ‘authorization’ of a teacher's disciple or equalization with a teacher by implicating the meaning of ‘purified by sprayed water’ or ‘It becomes sacred.’ Josanggyeong, which is a protocol of the rite of Bulbokjang, uses 13 items of the ‘list of assistant items’ of the Miaojixiang dajiaowang jing Volume 1 as ‘list of bokjang items, and the consecration with water to these objects is essential. In the Miaojixiang dajiaowang jing, the world-honored one first addresses 13 assistances and consecrations of adamantine absorption, including five grains, when he addresses the Mahasamaya Secret Internal Phenomena before consecration with water to various Buddhist saints, including Maitreya Bodhisattva. Through this kind of assistance and consecration, the dignity of world-honored one and his disciples has a symbolic meaning. And in the original Miaojixiang dajiaowang jing and the 13 lists in the Josanggyeong, as well as assistance of mantra and con- secration with water related to the Vajradhatu-mandala, elements of the Garbhadhatu mandala were included. 불복장은 새롭게 조성되는 불상 등에 불종성의 상징물을 납입하는 일체의 과정을말한다. 이 과정에서 사용되는 복장물인 오보병, 오곡, 오향 등은 불자(佛子)가 갖춰야 하는 최소한의 요건 함장을 위해 관정이라는 밀교의식을 거쳐야 한다. 관정은 ‘뿌려진 물에 의해 정화됨’ 또는 ‘신성화 됨’의 의미를 내포함으로써 스승의 제자에 대한‘인가’ 내지 스승과의 동격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불복장의식의 의궤인 조상경에서는 대교왕경 권1의 ‘가지물목’ 13가지를 ‘복장물목’으로 전용하고 있는데, 이들의 관정은 필수적이다. 대교왕경에서는 세존이 미륵보살 등 제대보살에 대하여 관정을 주기 이전에 ‘마하삼매야비밀내법(摩訶三昧耶秘密內法)’을 설할 때 금강정(金 剛定)에서 오병 등의 13가지에 가지와 관정의 절차를 먼저 설한다. 이러한 가지와 관정을 통해서 세존과 제자들의 존격은 같아지는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그리고 원전인대교왕경과 이를 인용한 조상경에서의 13가지 물목에는 금강계만다라와 관련된 진언가지 및 관정은 물론 태장만다라의 요소 또한 포함되어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