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 벽화 보존의 현황

        강대일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전통문화연구소 2013 한국전통문화연구 Vol.11 No.-

        일본에는 다카마쓰즈카 고분벽화를 포함하여 벽화들이 다수 분포하고 있으며 각 벽화에 대한 보존 처리와 이후의 관리가 계속 이루어지고 있다. 여기서는 주요 벽화의 보존 처리 역사 및 관리 현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일본 벽화 보존의 시초가 되는 법륭사 금당벽화 보존은 최초의 합성수지 처리 및 문화 재의 보존수리위원회의 형태 구축 등 일본 보존과학의 틀을 제공했고, 문화재보호법과 문 화재 방화의 날(1월 26일) 제정으로까지 이어졌다. 1949년 법륭사 금당벽화가 화재로 인 해 소손되자, 일본에서는 법륭사국보보존위원회를 조직해 소손벽화를 조사하고, 아크릴 수지를 이용하여 벽화를 보존처리 한 후 벽체에서 떼어내어 별도의 수장고에 보관하였다. 현재 떼어낸 벽화는 법륭사 내 대보장원에서 보관하고 있다. 일본에는 사찰 벽화 외에도 고분에 벽화, 부조, 선각 등의 장식을 한 ‘장식고분 벽화’ 가 큐슈북부지방을 중심으로 널리 분포하고 있다. 이를 보존하기 위해 보존시설, 보호각, 출입문, 울타리 등을 설치하고, 전시 활용과 벽화 보존의 조화를 위해 기간 한정 공개 및 비 공개, 혹은 상시 보존시설 설치 등 여러 방법을 강구하고 있다. 장식고분 벽화 중 중요한 벽화로는 다카마쓰즈카 고분벽화, 기토라 고분벽화, 토라즈 카 고분벽화 등이 있다. 다카마쓰즈카 고분벽화는 일본의 특별사적으로, 발견된 후 여러 조사를 수행하여 벽화의 현지 보존ㆍ수리 방침이 채택되고, 1976년부터 1985년까지 본격 적인 수리 작업이 진행되었다. 그러나 1980년경부터 아크릴 수지 작업 부분에 곰팡이가 대 량 발생하여 서벽 백호의 묘선이 퇴색되고, 이후 1980년 중반부터 석실 내 온도가 증가하 면서 2001년 공사가 끝난 후 곰팡이가 다시 다량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결국 2005년에 기존의 현지 보존 방침이 불가능해져 석실 해체 수리 방침으로 전환하고, 2007 년 8월에 벽화 전체를 해체하고 가설수리시설에 운송해 보존처리하고 있다. 다카마쓰즈카 고분의 남쪽에 있는 기토라 고분은 1983년에 발견ㆍ조사되었다. 기토 라고분의 벽화는 탈락 위험이 있어 2004년 해체 수리 방침을 채택하고, 벽화의 표면에 HPC와 레이온지를 접착·보강하여 해체하였다. 해체된 벽화는 별도의 공간에서 보존처리 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 토라즈카 고분은 일본의 국가 사적으로 발견 당시 응회암에 벽화 가 직접 산화철로 칠해져있고, 천정석 등의 간극으로부터는 식물의 뿌리가 늘어져있었다. 개구부를 발포스티롤로 폐쇄한 후 주위에 점토 블록을 쌓아올려 석실내부 환경을 관찰하 면서 보존하는 대책이 강구되었고, 그 결과 미생물수가 발굴전의 상태로 돌아간 것이 확인 되었다. 현재는 석실 내부의 상황을 고려하여 1년에 2번 공개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2007년 고분벽화실을 설치하고 자국의 중요 벽화에 대해 국가에서 직접 특별 관리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이를 벤치마킹하여, 중요한 문화유 산에 대해 국가 주도로 태스크포스 팀을 설치, 전문적이고 효율적으로 이를 관리해나가야 할 것이다. There are many mural paintings including mural paintings of takamatsu tumulus in Japan and various measures have been studied to prevent the deterioration and conserve the mural paintings. This paper describes conservation history and management status of some major paintings. Conservation of horyuji kondo wall painting is thought to be the beginning of wall painting conservation. For this conservation, synthetic resins was used for the first time, typical form of investigative committee of conservation was made and it influenced enactment of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After fire accident in horyuji condo in 1949, Japan government established investigative committee of conservation and the burnt painting was cured by injecting urea resin and acrylic resin and transfered to store in the Daihozoin (Great Treasure Gallery) of Horyu-ji Temple. Also, there are many ‘decorated tumulus’, which means the tombs decorated with mural paintings or incising, especially concerntrated in Kyushu region. One of them is mural painting of Takamatsuzuka tumulus. After discovered, Japan Cultural Affairs Agency had researches and decided to conserve paintings in situ. But since 1980, several problems including fungi had occurred, the conservation committee for Takamatsuzuka tumulus developed protective measures against biological problems of the tumulus. The committee studied various protective measures but finally concluded in 2005 that it was difficult to conserve mural paintings in situ and recommended removing the stones for the restoration of the mural paintings. Following this decision, the stone chamber was dismantled and the mural paintings were moved to a restoration facility in 2007. Kitora tumulus, located in the south of Takamatsuzuka tumulus, was discovered and researched in 1983. the mural paintings on plaster had become partly detached from the stone support. Thus it was decided to relocate the paintings in 2004 and relocation was undertaken by attaching HPC and rayon papers to surface of paintings. Now the paintings are conserved in a controlled environment. And Torazuka tumulus, one of national treasure in Japan, is decorated by depicting in tuff with Iron oxide and when it was discovered, roots of plant penetrated through cracks in surface of ceiling stone. For conservation of the paintings, opening of the tumulus was closed with blowing styrole with clay blocks accumulated around the opening. After the measure, environmental check had been conducted regularly. Now the tumulus is exhibited two times a year considering environment inside the tombs. Japan government established ‘Office for Protection of Tumuli and Murals’ in 2007 for mural paintings’ management nationally. So we should benchmark japan’s case and make up TF team and care for our important cultural properties professionally and efficiently.

      • KCI등재

        북해도 도립문화재센터의 출토유물 보존관리

        강대일,김익주,이토 켄지,우에다 나오미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전통문화연구소 2010 한국전통문화연구 Vol.8 No.-

        Among researchers in Japan and South Korea's archaeological excavations unearthed through metal, timber, and other relics recognized the need for conservation treatment are settled. And conservation science researchers suggest new ways to improve the conventional treatment method to restoration and adhesion skills for developing conservation treatment. However, both Japan and South Korea remain a priority of the conservation treatment, so study on the aging of the remains of storage managemant(storage environment artifacts or storage management) is almost no progress. Therefore, conservation treatment is essential and semi-permanent conservation will be possible by 'aging' checking and appropriate 'storage management' after conservation treatment. In order to promote this study, the specific details of the two countries remains secular change of custody status and the need to identify and preserve the remains of wood after treatment, as well as exhibitions, storage management facilities are subject actual observation. From July 7, 2010 to July 11, 2010, researchers observed 檜山郡江差 町, 江別市 Hokkaido buried cultural center, 余 市 郡 余 市 町 mainly of Hokkaido and the western region of each agency's facilities. And this is the survet results of the Hokkaido Archaeological Operations Center that a central agency of conservation treatment of Hokkaido. In addition, this report based on the Heisei 22 year research grants for scientific research (A) Project Title 'wood products research and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secular comparative study after conservation treatment' (research project No. 21251002 Kenji Ito Representative).

      • KCI등재
      • KCI등재

        원자력발전소 모터제어반 스위치기어실 화재 모델링 입력변수 불확실성 분석

        강대일,양준언,유성연 한국화재소방학회 2012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26 No.2

        This paper presents the uncertainty analysis results of fire modeling input parameters for motor control center in switchgear room of nuclear power plants. FDS (Fire Dynamics simulator) 5.5 was used to simulate the fire scenario and Latin Hyper Cube Monte Carlo simulations were employed to generate random samples for FDS input parameters. The uncertainty analysis results of input parameters a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model uncertainty analysis and sensitivity analysis approaches of NUREG-1934. The study results show that the input parameter uncertainty analysis approach may lead to more conservative results than the uncertainty analysis and sensitivity analysis methods of NUREG-1934. 본 논문에서는 원자력발전소의 모터제어반 스위치기어실 화재 모델링에 대한 입력변수 불확실성 분석을수행하였다. 화재모델링은 FDS 5.5를 사용하였고 FDS 입력변수 램던 샘플링은 라틴하이퍼쿠브 몬테칼로방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입력변수 불확실성 분석 결과를 비교하기 위해 NUREG-1934의화재모델링 결정론적 불확실성 분석과 민감도 분석 방법을 이용한 분석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본 연구의 모터제어반 스위치 기어룸 화재 모델링에 대한 입력변수 불확실성 분석방법이 NUREG-1934의 방법보다 보수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