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학부설 외국인 유학생 대상 한국어교육 실태 분석: ○○대학교 국제언어문화교육원 대상으로

        감혜원(Heawon Kam),김현주(Hyunju Kim)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연구 Vol.34 No.1

        이 연구는 2005년 제정 공포된 ‘국어기본법’에 근거한 한국어교육에 대한 실태 분석과 한국어교육대상자인 외국인 유학생들의 한국어교육에 대한 만족도 및 요구분석을 실시하였다. 지난 20여 년 동안의 한국어교육이 외국인들에게 한국어를 보급한다는 측면과 한국문화를 세계에 알린다는 문화관광적 차원에서 접근하였음에 비추어 이제는 질 높은 한국어교육 프로그램을 어떻게 개발하여 제공할 것인가에 대한 교육학적 사고를 해야 할 시점이 되었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한국어교육 실태로서 ‘한국어교육 정책 추진과정’, ‘한국어 교육 기관’, ‘한국어 교육과정’, ‘한국어 교원 양성’ 등에 대하여 살펴보고, 한국어교육 수강생들의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와 요구사항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첫째, 한국어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단지 문화관광적 차원에서만 접근할 것이 아니라 교육학적 차원에서 전반적 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한국어교육에 대한 다양하고도 심층적인 연구를 수행하여 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수준을 높이는 데 피드백 되어야 한다. 셋째,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자, 한국어교원 등 한국어 교육 담당자들이 모여서 한국어 교육경험의 노하우를 공유하고 한국어 교육의 안정화 및 전문화에 기여할 수 있는 교육자료들이 개발될 수 있도록 지원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ed at an analysi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tatus based on the Framework Act on Korean Language, which was enacted in 2005, and a satisfaction and demand analysi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mong foreign students subject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is because it is time to develop and provide high-quality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s in light of not the cultural but the educational aspects. Therefore, this research investigated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Implementation Process ,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e , Korean Language Curriculum , and Korean Language Teachers Qualification Requirement as the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analyzed the satisfaction level and requirements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of the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the followings were suggested. firstly, the direc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considered on the educational level, not just on the cultural side to improve the qual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s. Second, various and in-depth studie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and feedback should be given to raising the quality level of education programs. Third, higher quality Korean language educational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by help of experienced Korean language teachers in a near future.

      • KCI등재

        일반고 학생의 진로진학지도 요구분석 모델 구안 : 근거이론적 접근

        김현주,감혜원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5

        The pa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2 students in the 3 groups of students who had career education and guidance counseling in general high school.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mi-structured in depth interviews. The collected data is composed of paradigm model components through open coding and axial coding based on grounded theory. The central category derived through selective coding was 'Overcoming the difficulties of choosing career, and major by self-guided career guidance'. In the story line of the reconstruction based on the central category, students recognized that the importance and value of guidance for career guidance was recognized through career guidance, and that they could overcome the difficulties of guidance for career guidance that they faced themselv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researcher has several ways to reflect the needs of students in order to establish career education and guidance counseling in general high school. 본 연구는 일반고 학생의 진로진학지도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과 요구사항을 수집하여 학생들의 진로진학지도를위한 개념적 모델로서 ‘일반고 학생의 진로진학지도 요구분석 모델’을 구안하고자 하였다. 이는 고등학교 현장에서이루어지는 진로진학지도에 학생들의 요구사항을 반영하고, 더불어 진로진학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이론적 모델로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었다. 연구대상은 일반고에서 진로진학지도를 경험한 학생 3개 그룹 12명이었으며, 반구조화된 심층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근거이론에 근거한 개방코딩, 축코딩을 통해 패러다임모델 구성요소들을 구안하였다. 선택코딩을 통해 도출된 핵심범주는 ‘진로진학 선택의 불안을 적절한 진로진학 지도를통해 진로진학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 형성하기’였다.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재구성한 이야기 윤곽에서 ‘학생들은 진로진학지도를 통해 진로진학지도에 대한 중요성 및 가치를 인식하게 되었고 자신들에게 당면한 진로진학지도상의 어려움들을진로진학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스스로 극복하기’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개념과 범주를 바탕으로 진로진학지도 요구분석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학생들의 요구사항이반영된 진로진학지도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연구자는 일반고에서 진로교육을 안착시키기위하여 학생들의 요구사항을 적절하게 반영할 수 있는 몇 가지 방안들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