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드론 및 딥러닝을 활용한 식생 유지관리 시스템 개발

        가현길,문성호 한국도로학회 2025 한국도로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초록집 Vol.2025 No.03

        병충해의 조기 발견과 그에 따른 조치의 중요성은 농업 및 생태계 보전에 있어서 핵심적이다. 그러나 초기에는 일반적인 카메라나 센 서로는 변화의 정도를 관측하기 어렵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초분광 모듈을 활용하여 파장대별 식물 데이터를 관측함으로써, 딥러닝 모델을 통해 가로수 식생의 건강 상태를 판별, 병충해 여부를 초기에 확인 가능하다. 이를 통해 조기에 병충해에 대해 조치함 으로써 더 큰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농업 및 생태학 분야에서 식물의 건강을 모니터링하고 보전하는 데 적극적 으로 연구되고 있다.

      • KCI등재후보

        아스팔트의 성능개선을 위한 고분자 재료의 특징과 현황

        가현길 한국아스팔트학회 2023 한국아스팔트학회지 Vol.13 No.1

        Domestic asphalt pavement is intensifying damage due to various reasons such as traffic volume and temperature changes. As a way to solve the damage of asphalt pavement, a modified asphalt mixture mixed with a modifier of asphalt is used. In particular, as an improvement measure to prevent plastic deformation among the types of damage to asphalt pavement, modified asphalt is used in which various modifiers are mixed into the asphalt. Asphalt modified materials mainly produce the effect of plastic deformation suppression by modifying the high temperature characteristics, which is asphalt vulnerability. In the case of modifiers used in Korea, there are various types of modifiers such as chemcrete, gilsonite, SBS, SBR, EVA, LDPE, etc. In this study, the types of asphalt modifiers were list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odifier were analyzed. In addition, the resistance to cracking and plastic deformation was comparatively analyzed through the indoor test results of hot mix asphalt and modified asphalt mixture.

      • 드론 및 딥러닝을 활용한 도로 유지관리 시스템 개발

        가현길,문성호 한국도로학회 2024 한국도로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초록집 Vol.2024 No.03

        도로의 포장 상태의 노후화나 관리미흡으로 인하여 시민의 사유 재산 중 주요한 요소인 자동차 등의 손상이나 자동차 사고 로 이어질 수 있어 큰 사회적 비용이 발생할 뿐 아니라, 시민들의 불편과 불만을 초래할 수 있다. 최근 도로 포장의 경우 포트홀 발생 건수와 그에 따른 민원 및 소송 건수가 증가해 행정력 및 예산이 낭비되고 있으며, 서울시의 경우 포장도로 노후화 추이가 증가함에 따라 유 지 관리 비용 또한 증가하고 있다. SOC 시설물 안전성 강화에 대한 사회적 요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한정된 예산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첨단 유지관리기술 도입이 시급하다.

      • 소음예측 프로그램을 이용한 저소음포장의 소음감소효과에 대한 평가

        가현길,공유석,이시원,문성호 한국도로학회 2017 한국도로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초록집 Vol.2017 No.10

        최근 서울 도심 지역에 급격한 자동차 수 증가로 인한 도로교통소음의 심각성이 사회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각 기관들은 도로교통소음을 해결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안을 내놓고 있으며, 2017년 3월 서울시는 저소음포장을 소음감소대책으로 내놓았다. 여러 가지 소음감소대책 중 저소음포장이 최근 들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이유는 방음벽과 방음터널의 경우 도심의 미관을 파괴하고 소음대책이 필요한 지점에 따라 소음저감 효과가 상이하게 발생하는 반면, 저소음포장의 경우 소음대책이 필요한 지점에 상관없이 일정한 소음저감 효과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소음예측 프로그램을 통하여 저소음포장의 소음감소효과를 평가를 하는 것을 목적을 두고 있다. 소음예측은 Korea Environment Institute 가이드라인에 기초하여 수행되었다. 저소음 포장에 대한 감소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소음지도 모델링을 진행하여야 한다. 모델링의 경우 일반포장에서의 실제 교통량과 통행속도를 입력하여 나온 시뮬레이션 값과 실제 지점에서 소음을 측정한 값이 3dB차이가 나지 않아야 검증된 모델로 규정하고 있다. 이렇게 검증이 된 모델을 사용하여 소음예측을 진행하였을 때, 일반 포장이 설치 된 도로를 저소음포장으로 교체 설치하여 소음감소도를 분석하게 된다. 또한 저소음포장이 한 층 및 두 층으로 포장되었을 경우에 대해 소음감소도를 분석하였고, 여러 조건의 속도와 교통량을 입력하여 각 조건별로 감소도를 분석하였다. 여러 가지 상황에서 어떤 경우에 가장 많은 감소도를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그림 1.은 특정 교통량과 특정 속도에 대한 소음예측을 한 것이다. 그림 2.의 경우는 그림 1.과 같은 교통량과 속력을 입력하였지만 포장이 저소음포장을 두 층으로 바꿔 설치 된 것이다. 그림을 비교해보면 저소음포장을 설치한 경우 7dB의 감소도를 볼 수 있다. 이를 포함한 많은 경우의 수에서 저소음포장에 대한 소음감소도를 분석하였다

      • 드론 및 딥러닝을 활용한 도로변 식생관리 시스템 개발

        가현길,문성호 한국도로학회 2024 한국도로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초록집 Vol.2024 No.10

        병충해의 조기 발견과 그에 따른 조치의 중요성은 농업 및 생태계 보전에 있어서 핵심적이다. 그러나 초기에는 일반적인 카메라나 센서로는 변화의 정도를 관측하기 어렵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초분광 모듈을 활용하여 파장대별 식 물 데이터를 관측함으로써, 딥러닝 모델을 통해 가로수 식생의 건강 상태를 판별, 병충해 여부를 초기에 확인 가능하다. 이를 통해 조기에 병충해에 대해 조치함으로써 더 큰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농업 및 생태학 분야 에서 식물의 건강을 모니터링하고 보전하는 데 적극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 KCI등재후보

        재생첨가제를 적용한 순환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의 공용성능 평가에 관한 연구

        가현길,문성호,Ga, Hyun-Gil,Mun, Sung-Ho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022 토지주택연구 Vol.13 No.4

        Reclaimed aggregates through waste asphalt are produced and utilized for waste resource utilization. This study conducts quality tests and performance evaluations for mixtures with Rejuvenator applied to reclaimed asphalt concrete. Through quality testing and performance evaluation, the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re is any problem in using reclaimed asphalt concrete by replacing general hox mix asphalt. As a result, the values of ordinary hot mix asphalt are similar to those of reclaimed asphalt, suggesting that the substitution does not create critical engineering issues. Using reclaimed asphalt concrete has the advantages of increasing economic efficiency and utilizing waste resources.

      • KCI등재

        순환 가열 아스팔트의 용도별 기계적성능 평가 및 경제성 분석 연구

        문성호,가현길,이시원,박용부,Mun, Sung Ho,Ka, Hyun Gil,Lee, Ci Won,Park, Yong Boo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019 토지주택연구 Vol.10 No.4

        The government is encouraging the notice of obligatory reclaimed asphalt as a result of the economic and social positioning of green growth to reduce the amount of waste resources and to solve natural resource problems by recycling continuously generated waste resources. Howev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application guideline for each application to apply reclaimed asphalt to the site because quality control of the reclaimed asphalt is difficult and the specifications are ambiguous as well. Therefore, in this study, the mix design, quality test, performance test, and finite element analysis about reclaimed Asphalt Pavement were conducted to develop application guideline for reclaimed hot asphalt. The mix design was carried out for the comparative general hot mix asphalt mixture, the reclaimed hot mix asphalt mixture using the additive, and the reclaimed hot mix asphalt mixture without the additive. Indirect tensile strength and tensile strength ratio tests were used to characterize the reclaimed hot mix asphalt mixture. Using the results of dynamic modulus test and FWD test for KPRP analysis and finite element analysis, the performance life was evaluated for general pavement and pavement using recycled aggregate. Finally, the life cycle cost analysis was us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economics of reclaimed asphalt concrete pavement.

      • KCI등재

        그래핀 나노플레이트 및 카본블랙을 첨가한 아스팔트 혼합물의 공용성 평가

        고동영,가현길,이시원,문성호 한국도로학회 2021 한국도로학회논문집 Vol.23 No.5

        PURPOSES : Graphene nanoplates, which have recently been in the spotlight in various fields, are a layer of graphite used in pencil leads, with carbon arranged in hexagonal honeycomb shapes. The graphene is 0.2 nanometers thick, and it possesses high physical and chemical stability, high strength, and conductivity. These graphene nanoplates have been studied for application in various devices such as semiconductors and batteries, and in the construction sector, where they are used as additives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cement concret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hys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graphene-modified asphalt mixtures. METHODS : In this study, the graphene input content of asphalt mixture samples was determined using an asphalt performance grade (PG) tes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test, their strength, stiffness, thermal properties, and electrical conductivity were evaluated. Indirect tensile strength test and dynamic modulus (DM) test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strength and stiffness, and thermal conductivity tests and electrical conductivity evaluations were conducted for determining the functionality of the graphene-modified asphalt mixtures. The thermal conduction test was used to measure the external temperature change over time by placing a general heated asphalt mixture and graphene-modified asphalt with the same raw material-specific mixing ratio inside the temperature chamber in order to measure the heat conductivity. The electrical conductivity was evaluated using a digital multimeter to measure the resistance of DC voltage and DC current via a 4-probe method. RESULTS : The performance grade (PG) test results showed that, for a dynamic shear rheometer (DSR), both tests met the baseline and that physical changes in the binder did not appear evident with graphene addition. Furthermore, each content met the baseline for the bending beam rheometer (BBR). The increasing ratio of flexural creep stiffness approached the maximum when 7.5% graphene was used. In indirect tensile strength test, an average of thrice the indirect tensile strength for graphene-modified asphalt was 0.92 N/mm2, which was approximately 0.04 N/mm2 higher than the average measured three times that of hot mix asphalt mixture, with the same raw material mixing ratio. In the thermal conduction tests, the temperature and the rate of change of temperature of the graphene-modified asphalt mixture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hot-mix asphalt mixture. Lastly, the results of the electric conductivity test using the 4-probe method showed that the electrical conductivity increased slightly as the graphene content increased, but overall, it showed very low electrical conductivity. CONCLUSIONS : In this study, the potential for enhancing the physical and functional performance of graphene nanoplates applied to asphalt mixtures was demonstrated. However, it is practically difficult to arrange graphene particles continuously within an asphalt mixture, which is believed to have very low electrical conduc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