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강화 신봉리유적 석기의 석재 산지와 의미

        황창한(Hwang, Changhan) 부산고고학회 2014 고고광장 Vol.- No.14

        강화도는 육지와 분리되어 있는 독립된 도서로서 석제유물의 산지추정 및 석재의 근·원거리 조달 방식의 연구에 적합한 지리적 특징을 갖추고 있다. 강화도 내에서 산출되지 않는 암석이 자연적인 영향으로 반입될 수 없으므로 직간접적인 인적 활동에 의한 결과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강화도 신봉리유적에서 출토된 청동기시대의 석기를 분석한 결과 5종의 암석이 확인되었다. 이중 활석, 편암, 이암 등 3종의 암석이 강화도 내에서 산출되지 않는 암석으로 확인되었다. 지질도를 참조하여 현지를 답사한 결과 이 암석들의 산지는 강화도의 동쪽에 위치한 김포일대와, 태안반도 내륙으로 비정되 었다. 비교적 근거리인 김포일대의 통진층과 문수산층에는 석검, 석촉, 석창 등을 제작할 수 있는 퇴적암류가 분포하는데 유적에서 미완성품과 석재가 공반된 점으로 볼 때 직접 산지에서 재료를 획득한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 편암으로 제작된 반월형석도와 활석제 방추차는 인근지점에서 유사한 암석이 산출되지 않고 남쪽으로 태안반도 내륙에서 산지가 확인되며 모두 완제품으로 확인된 점이 특징이다. 따라서 방추차와 반월형석도는 완제품 상태로 반입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활석제 방추차와 같이 도구의 효율성과 무관한 특징적인 재질로 제작된 것은 집단의 전통성이 강하게 반영된 것으로볼 수 있다. 특히 용도의 특성상, 여성성이 강조되는 방추차 등으로 볼 때, 족외혼의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도서 생활에 적응한 청동기시대 신봉리유적 사람들은 선박을 이용해 김포, 태안반도까지 인접하여 나열된 도서를 징검다리삼아 왕래가 가능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Ganghwa is an independent islands are minute - distance and land. The study of the region estimation, the island has a good geographical features. It is possible to see the rock that is not identified in Ganghwa within if confirmed, as introduced by the activities of people. Result of analysis of the stone tools Bronze Age excavated from Ganghwa Shinbong-ri ruins, rock five were confirmed. It is not calculated by the three Ganghwa Island in talc, schist, and mudstone in this. Results by referring to the geological map, and local exploration, production center of this rock is located in the east of Ganghwa, Gimpo and whole area, it is estimated to Taean peninsula inland. Stone sword, a flint arrowhead, Stone spear has been identified in the ruins is estimated that using the sedimentary rocks distributed in the whole area of Gimpo east. It is estimated that when viewed from the point where the material and unfinished goods were excavated together in ruins, that it has won the material directly from the production center. On the other hand, Spindle cars fabricated talc a blade tool and was made in the schist are confirmed mountains of Taean peninsula inland, the point has been identified in the finished product, all of which are characteristic. Thus, the islands of the a blade tool and Spindle cars likely that it is carried in the finished product is high. It can be seen artifacts fabricated talc schists and is intended to legitimacy of the population is reflected in unrelated material characteristic and efficiency. It will be able to look at the Banchucha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women in particular, consider the possibility of exogamy. It is estimated that was possible back and forth using the boat people Shinbong-ri ruins.

      • SCOPUSKCI등재

        국내부존 Monazite 로부터 희토류금속의 추출

        황창,현성호,이철태 ( Chang Il Hwang,Seong Ho Hyun,Chul Tae Lee ) 한국공업화학회 1992 공업화학 Vol.3 No.3

        함회토류광물로부터 3가지 회토류성분의 추출공정이 국산 monazite에 대한 적절한 추출공정을 찾기위해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3가지 공정은 황산법, 알칼리법및 황산암모늄 분해법이었다. 실험결과로부터 황산법 및 알칼리법이 국산 monazite에 더욱 효과적인 추출공정이었음이 조사되었다. 국산 monazite에 대한 황산법의 적절한 반응조건은 반응온도 210℃, 반응시간 40분, monazite에 대한 H_2SO_4의 고액비 1.5, 황산의 농도 95%였으며, 이 조건하에서 98%의 회토류성분이 추출되었다. 또한 알칼리법에 대한 적절한 반응조건은 반응온도 140℃, monazite에 대한 NaOH의 무게비 3.0, NaOH의 농도 50%, 침출시간 3시간이었으며, 이 조건하에서 97%의 회토류성분이 추출되었다. Three type extraction processes of rare earth metal component from rare earth metal bearing ore were tested to find an appropriate extraction method for domestic monazite ore. Three processes tested in this study were sulfuric acid digestion, caustic soda leaching and decomposition with (NH_4)_2SO_4. From the overall results, both caustic soda leaching and sulfuric acid digestion were better extraction processes for domestic monazite ore. The proper conditions of sulfuric acid digestion for domestic monazite ore were reaction temperature 210℃, reaction time 40 min, weight ratio of H_2SO_4 to monazite ore 1.5 and concentration of H_2SO_4 95%. Under these conditions, 98% of rare earth metal component was extracted and also the reasonable conditions for caustic soda leaching were reaction temperature 140℃, weight ratio of NaOH to monazite 3.0, concentration of caustic soda solution 50% and leaching time 3hrs. Under these conditions, 97% of rare earth metal component was extracted.

      • KCI등재후보

        무문토기시대(無文土器時代) 마제석족(磨製石鏃)의 제작기법 연구

        황창한 ( Chang Han Whang ) 호남고고학회 2004 湖南考古學報 Vol.20 No.-

        지금까지 우리나라 무문토기시대의 석촉에 대한 연구는 계통을 고려하지 않은 단선론적인 입장에서 형식분류가 이루어졌으며, 석촉의 본질적인 문제에 접근할 수 있는 제작기법 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였다. 본고에서는 무문토기시대의 마제석촉을 신석기시대의 전통을 계승하는 형식과 청동촉의 영향에 의한 형식으로 분류, 각각 계통이 다른 것으로 파악하였다. 두 계통은 矢柄과의 착장방법에 따라 전통성을 계승하며 변화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한편 석촉의 제작방법을 검토함으로서 무문토기시대 전기간에 걸쳐 어떻게 제작기법이 변화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전기무문토기시대 에는 신석기시대의 찰절기법을 계승하여 석재를 잘라서 마연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중기무문토기시대에는 선형으로 석재를 제작한 후 마연하여 완성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제작기법의 변화를 효율적인 석촉 생산에 대한 모색으로부터 기인한 것으로 보았고, 사회적인 변동요인과 유관하게 연동하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이러한 제작기법은 외부에서 도입된 것이아니라 전통적인 방법에서 계승된 것이다. Studies on the typological characteristics of polished groundstone projectile points are common, but studies on the essentials such as methods for projectile point-making have been insufficient. In this paper I demonstrate that there are two separate traditions of Mumun polished groundstone projectile points: one kind was passed on from Neolithic technology, and the other kind was influenced by forms of bronze projectile points. I look closely at the how the production process of projectile points changed over the course of the Early Murnun Period. In the Early Murnun, the groundstone technology of the Neolithic was used in which stone material was broken up, ground and polished. Beginning the Middle Mumun Period, stone tool blanks were produced in the first part of production. In the following part, grinding and polishing was done to make the final product.. The change in projectile point production methods appears to have originated both as an attempt to make production more efficient as well as being related to the general social change of the period. As such the methods used in production were not introduced from outside the Korean Peninsula. Rather, production methods for polished stone projectile points was passed down as a local tradition.

      • KCI등재

        청동기시대 마제석촉의 지역성 연구

        황창 한국문화유산협회 2012 야외고고학 Vol.0 No.13

        활과 화살은 인류가 개발한 도구 중에서 가장 혁신적인 발명품중 하나이다. 우리나라에 서는 신석기시대부터 확인되는 석촉으로부터 활의 존재를 추정할 수 있다. 청동기시대의 유 적에서 출토된 다량의 석촉은 여러 연구자에 의해 형식분류 되었으며, 이를 통해 계통 및 지 역성, 제작기법 등 연구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는 형식분류 자체에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지역성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는데 이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생각된 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석촉의 속성은 물론 화살대와 결합되는 착장방법을 주요한 속성으로 인식하고, 이에 따라 새롭게 형식분류를 실시하였다. 먼저 석촉은 무경식과 이단경식석촉으로 계통을 설정하고, 화살대 끝을 갈라서 결구하는 무경식의 착장법과, 화살대에 꽂아서 결구하 는 이단경식석촉 착장법을 속성으로 삼았다. 분석결과 이단경식석촉은 꽂는 착장법을 계승하 여 송국리형의 첨근식으로 변화하는 한편, 무경식착장법을 받아들인 절충형으로 변화한다. 석 촉의 지역성은 태안-대전-밀양-양산-부산을 잇는 선을 경계로 호남, 영남남부지역에는 첨근 촉, 중부지역의 일체형석촉, 그리고 대구를 중심으로 한 경북내륙과 경주, 포항, 울산지역의 절충형석촉 등 세 개의 지역권 설정이 가능하다. 청동기시대의 화살대는 대나무와 싸리나무 를 사용한 것으로 추정되었는데, 결과적으로 석촉의 형식은 화살대 재료의 식생에 의해 결정 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또한 이러한 식생의 변화와 연동한 화살촉 형식의 지 역성은 송국리문화권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이 간취된다. The bow and arrow represent one of the most innovate inventions in tools developed by the human race. In Korea, the use of the bow and arrow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presence of stone arrowheads, for the Neolithic period. Various types of stone arrowheads have been excavated at sites dating to the Bronze Age. Form classification has been carried out on these Bronze Age arrowheads, and research has also ben undertaken on their genealogy,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production techniques. But it may be argued that the existing research is problematic in terms of its form classification. In addition, the causes of their regional characteristics were not examined. Therefore, a new attempt at form classification was carried out in this article which utilizes not only attributes of the arrowhead but also the way in which the arrowhead and shaft were attached. Firstly, arrowheads wer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two categories: tangless arrowheads and tanged arrowheads, and the way in which each was attached to the shaft - the former by inserting the arrowhead into the divided shaft end and then binding it, and the latter by sticking the arrowhead tang into a cut in the shaft end - was also utilized in form classific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tanged arrowhead tradition developed in creative ways, ultimately leading to the pointed tanged Songguk-ri type arrowhead. It also adopted the insert-and-bind mode of attachment and developed into the hybrid type of arrowhead. In terms of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arrowheads, three possible regional groups could be established. The southern part of Korea witnessed the use to the pointed arrowhead, the central part(demarcated by the Taean-Daejeon-Miryang-Yangsan-Busan boundary) the all-in-one(comprehensive) arrowhead, and the inland region of North Gyeonsang province(centered around Daegu, Gyeongju, Pohang and Ulsan) the hybrid type. These regional differences were also associated with the type of material used to make the arrow shaft. It was confirmed that arrow shafts were made using bamboo or bush clover and it can be assumed that the form of the arrowhead was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type of material used for the shaft. Also, it was verified that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arrowheads, which was related to the vegetation(i.e. types of wood avaliable) wa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Songguk-ri culture area.

      • KCI등재

        울산지역 청동기시대 편마암류 석기의 산지연구

        黃昌漢 한국문화유산협회 2010 야외고고학 Vol.0 No.9

        지금까지 청동기시대 석재유물의 산지추정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고의 첫 번째 목적은 울산지역의 청동기시대 유적에서 출토된 석재유물 중에서 편마암, 또는 규질편마암으로 동정되고 있는 석부류의 산지를 추정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이를 통해서 고고학적 해석을 시도하는 것이다. 울산지역은 편마암이 산출되지 않을 뿐 아니라 유수에 의한 유입도 불가능한 지역이므로 산지추정에 적합한 대상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유물을 파괴분석하여 시료로 제작하는 것은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울산지역 출토 편마암류 석부와 유사한 대응암석을 채집하고, 그 암석과 유물의 동일성 여부를 지질학전공자를 통해 검증 받는다. 결론적으로 대응암석을 파괴분석하여 정확한 암석명과 산지를 결정한다. 울산지역출토 편마암류 석부와 동일한 암석은 평해, 울진지역의 태백산편마암복합체에서 확인되었다. 분석결과 석류석 화강암질 편마암, 석류석-근청석-흑운모 편암, 우백질 화강편마암, 규암으로 판명되었다. 이 암석 중에서 규암과 석류석 화강암질 편마암은 평해, 울진지역의 태백산편마암복합체에서 산출되는 특징적인 암석이다. 따라서 울산지역의 편마암류 유물의 산지는 평해, 울진지역으로 판정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울산지역의 편마암류 유물의 편년은 전기 후반에 집중되며 후기 전반까지 지속되다가 검단리단계인 후기 후반에 거의 확인되지 않는다. 울산지역으로의 유입배경은 동북지방 루트의 청동기문화와 지속적인 교류를 나타내는 증거로 추정된다. 편마암류 석부는 기능은 물론 의미적인 요소가 복합적으로 내재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편마암류 석부는 제작이 어려워 효율적인 석재는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내구성이 좋아 도구로서의 기능은 우수하다. 동시에 석류석이 다량 포함된 석부와 보석세공과 같이 전면을 광택 있게 제작된 석부는 위세품적 성격도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교류의 대상으로는 민족지적인 예를 참고로 할 때 혼인 등에 의한 인적교류를 통해 유입되었을 가능성을 추정하였다. The provenance of Bronze Age stone artifacts has rarely been studied. Therefore, the first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provence of stone axes excavated from Bronze Age sites in the Ulsan region which have been identified as gneiss or quartzitic-gneiss. Secondly, I will try to provide an archeological explanation based on the results. Gneiss is not present in the Ulsan region, nor can it have been transmitted into the region by running water. As it was difficult to undertake destructive analysis on the actual stone artifacts, I collected rock samples similar to the material of the gneiss stone axes found in the Ulsan region and confirmed their identity with the help of a geologist. It is the provenance of these rock samples which were identified through destructiv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stone samples identical to the gneiss stone axes of the Ulsan region came from the Taebaeksan gneiss complex of the Uljin region. The samples were identified as granitic gneiss, garnet-cordierite-biotite schist, leucocratic granitic gneiss and quartzite based on the analytical results. Of these rocks, quartzite and garnet granitic gneiss are characteristic of the Taebaeksan gneiss complex of the Uljin and Pyeonhae regions. It is therefore reasonable to assume that the provenance of the gneiss objects of the Ulsan region was the Pyeonghae and Uljin regions. Chronologically, the gneiss artifacts of the Ulsan region are concentrated around the later half of the Early Bronze Age and continue into the early half of the Late Bronze Age. However, they are rarely found in the Geomdanri phase, which is the later half of the Late Bronze Age. It is assumed that the introduction of these artifacts into the Ulsan region is associated with continuous interaction with the Bronze Age culture of the northeastern region. The gneiss stone axes are assumed to have been complex in both function and meaning. Given that gneiss is difficult to work with, it would not have been an efficient material for manufacturing stone tools. However, its durability may have been useful in terms of the function of the stone tools. In addition, stone axes containing garnets and those with polished surfaces may have been used as items of prestige. Ethnographic examples suggest that these items have been exchanged as part of practices of human interchange, such as marriage.

      • KCI등재

        靑銅器時代石器製作의 兩極技法硏究 : 제작실험을 중심으로

        黃昌漢(Whang, Changhan) 한국상고사학회 2009 한국상고사학보 Vol.63 No.-

        본고는 청동기시대의 유적에서 출토된 마제석기 미완성품의 제작기법에 관한 연구이다. 먼저 각 유적에서 출토된 미완성석기를 검토하고 제작실험을 실시한 결과 마제석기의 제작에는 兩極技法이라는 중요한 기술이 내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양극기법은 대석에 가공물을 놓고 망치돌을 수직으로 가격하여 박리를 유도하는 기법인데, 크게 兩極分割, 兩極打擊, 兩極敲打로 구분할 수 있다. 양극기법의 발생은 구석기시대로 추정되지만 석인기법 위주로 발전한 구석기시대에는 크게 활용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신석기시대의 경우에는 조기와 전기에는 어망추, 석부 등에서 일부 확인되다가 전기~후기로 갈수록 보습, 굴지구 등으로 확대되는 양상이다. 청동기시대로 접어들면서 본격적으로 양극기법이 활용되는데 조기와 전기전반에는 중대형 유물인 마제석검, 석도, 석부류 등에서 주로 확인되며 전기후반~후기에는 소형석기인 석촉까지 확대된다. 이러한 양극기법의 활용은 사회적인 요구를 반영하여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를 통해 마제석기의 효율적인 생산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이는 생산성의 향상으로 이어져 사회발전 속도를 가속화 시켰을 것으로 추정된다. This research is about manufacturing techniques of incomplete grinding stone tools which were excavated in the sites of the Bronze Age. Firstly, examine unfinished stone tools from each site and make an experiment on producing each of them. These experiments indicated that there were important skills while producing grinding stone implements : bi? polar technique. Bi? polar technique is a technique which put a processing stone on the anvil and hit it straight down with a hammer? stone to induce exfoliation. This technique can be divided into two different methods : Bi? polar hit, which produces flakes, and bi? polar technique was originated from the Palaeolithic period, however, during that time, blade? technique was mostly used rather than bi? polar technique. In Early Neolithic Period, through fishing net? sinkers and stone? axes, bi? polar technique was identified and when it gets to the late Neolithic Period, this technique expanded to plow shares, shovels and digging tools. The application of this bi? polar technique enabled to produce polished stone tools effectively, and this led to the increase of productivity that speed up social development.

      • KCI등재

        청동기시대 혼펠스제 마제석검의 산지추정

        황창 부산고고학회 2011 고고광장 Vol.- No.9

        청동기시대 마제석검은 출현부터 사회적으로 다양한 변화가 있음을 암시하는 석제품이다. 이단병식 석검은 주로 흑색이암을 사용하여 각 집단에서 제작하지만, 이후는 혼펠스로 제작하여 유통된 것으로 추정된다. 석검을 제작할 수 있는 혼펠스 산지는 남한지역에서 고령의 의봉산 일대가 유일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혼펠스제 석검의 제작지는 산지 주변에서 확인된 대규모의 석기제작장으로 볼 때 고령 일대로 비정된다. 혼펠스제 석검은 유절병식석검부터 유경식석검 단계까지 지속되는 것으로 보인다. 즉 유절병식석검 단계부터 고령의 혼펠스산지를 석검제작에 본격적으로 이용하였다. 일단병식석검은 송국리문화가 성립되어 확산되는 시기와 궤를 같이한다. 이 단계부터 이곳에서 제작된 혼펠스제 석검은 본격적으로 송국리문화권으로 유통된다. 고령과 대구지역은 석기제작에 있어서 밀접한 관계가 있음이 상정되는데 석검의 쇠퇴기 이후에는 생산, 가공구 중심으로 제품을 생산한다. 석검의 제작집단은 유절병식석검을 제작했던 재지인일 가능성이 높지만 고령, 대구지역에서 확인된 송국리문화 집단의 석기 제작장 등으로 볼 때 어느 정도 기술이전이나 분업의 가능성이 추정된다. 특히 대구지역의 송국리문화 취락은 대부분 석기제작장을 운영하고 있었던 것으로 판단되어 전업집단의 설정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 된다. 여기서 제작된 석제품은 고령, 대구를 중심으로 내륙에 입지한 송국리문화 집단을 전초기지로 삼아 유통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영남지역 청동기시대 석제무기

        황창 한국청동기학회 2013 한국청동기학보 Vol.13 No.-

        The Bronze Age’s weapons were examined closely centering around settlements and tombs of Yeongnam region. These applied remains were sample drawn to each region. As the premise of the check, the Bronze Age was broken out wars because of farming and produced weapons. The weapons were divided into the original weapons and the weapon changed for use - people use the tools used daily life as weapons. Basically, the things assumed the form are a stone sword, a flint arrowhead and a stone spear. The stone sword has high symbol. But the latter period’s stone sword was inferred as usable practical weapons. The flint arrowhead and stone spear were both for hunting but assumed to change as weapons. These two weapons would be a shooting tool and used as weapons in case of emergency. Besides, it was presumed a stone ball as bola in a residential area the essential goods of life would be used as hitting weapons during wars. The weapons were checked change in production techniques. The techniques cut by friction were used from the New Stone Age to the early Bronze Age were changed to bi-polar techniques, hitting techniques are effective production techniques. We could check a class through the ratio of the weapons and a comparison aspect at each relic. The ratio of grave goods and the ratio of the residential district excavated article were provided in western-Gyeongnam range and Daegu area. About these phenomenons, the more developed an alluvion, the higher the importance of farming, the social tension was high. Due to these, we hypothesized weapons buried in a tomb were focused on a certain class and the ratio of the weapons was highly checked in life remains. 청동기시대 석제무기에 대하여 영남지역의 취락과 무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청동기시대에는농경의 발달에 따라 집단 간에 원시전쟁 수준의 싸움을 전제로 전용무기가 제작되었을 가능성을 상정하였다. 무기는 專用무기와 用途轉用무기로 구분할 수 있는데, 기본적으로 무기의 형태를 띠고 있는것은 석검, 석촉, 석창이 있다. 석검은 상징적인 위신재로서의 성격이 강하나 후기의 석검은 실제 무기로서도 가능한 것으로 추정된다. 석촉이나 석창은 생계를 위한 수렵도구이면서 유사시에는 무기로사용되는 즉 수렵구와 무기의 구분이 모호한 병용의 시대였을 가능성이 높지만 수렵용에서 무기로의기능적 변화를 추정해 보았다. 이외에 주거지에서 출토되는 석구를 볼라의 가능성으로 추정했으며,생활도구라도 유사시에는 타격무기로 용도전용이 가능한 무기로서 석부, 석겸 등을 들었다. 무기는제작기법에서도 변화가 확인되는데 신석기시대~청동기시대의 전기에 사용되던 찰절기법과 타격기법이 효율적인 생산기법인 양극기법으로 전환됨을 알 수 있다. 각 유구에서 확인된 무기의 비율과 조합양상의 차이는 계층화를 반영하는 것으로 보았다. 지역별로는 무기류의 부장비율과 주거지 출토비율이 대비되는 서부경남권과 대구권의 해석을 토대로 충적지가 발달한 지역일수록 농경의 비중이 높아 사회적 긴장이 높았으며, 이로 인해 무기부장이 일부계층에 집중되고, 생활유적에서는 무기의 비율이 높게 나타난다는 가설을 수립하였다.

      • KCI등재

        靑銅器時代 柱穴 考察

        황창 부산고고학회 2022 고고광장 Vol.- No.30

        I supposed the timber was used through observation and review of column holes found in Bronze Age dwellings. An experimental archaeological method was tried to verify this.For all ages and countries, the timbers used in prehistoric architecture are mostly tall trees, shrubs and bamboo. Poaceae is also widely used. There are differences in logging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mber. A tall tree is felled in a ‘V’ shape, and abamboo is cut in a ‘凵’ shape. I have set up the hypothesis that depending on the building material’s logged form, the posthole would likely be confirmed in the same format. Bronze Age houses are divided into early square houses and circular ones. As a result of the examin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square type dwelling was a "V" type posthole, and the circular type dwelling was a " " type posthole. Therefore, I set up the possibility that the square system used tall trees as pillars and the circular system used them. In addition, the Bronze Age’s settlements are moved to hills in the former part and alluvial lands due to the spread of rice cultivation in the latter part. The alluvial land, which was lowland compared to hills, was easy for farming. However, the area is vulnerable to natural disasters such as floods. Therefore, the housing form and building materials would have had to change in conjunction with this. In other words, rather than saving trees from hills far from alluvial plains, it is more likely that bamboo, distributed closer to where they live, was used as a building material. As described above, the differences in the timber used as a building material were examined by examining postholes. I also briefly mentioned the changing factors about form of housing in the Bronze Age. 청동기시대 주거지에서 확인되는 주혈의 관찰과 검토를 통해 사용된 목재를 추정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고고학적 방법을 시도하였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선사시대 건축 목재는 대부분 교목, 관목이며 화본류인 대나무도 다수 사용되고 있다. 목재는 특성에 따라 벌목에서 차이를 보인다. 교목은 첨근형태(Ⅴ)로 대나무는 평근형태(凵)로 벌목된다. 이와 같이 건축재의 벌목된 형태에 따라 주혈도 동일한 형태로 확인될 가능성이 높다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청동기시대의 주거지는 전기의 방형계주거지와 후기의 원형계주거지로 구분된다. 검토결과 방형계주거지는 첨근형의 주혈, 원형계주거지는 평근형의 주혈이 주를 이루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방형계는 교목을 기둥재로, 원형계는 대나무를 기둥재로 사용하였을 가능성으로 추정하였다. 한편 청동기시대의 취락은 전기에 구릉을 중심으로 이루어졌고, 후기에 도작농경의 확산에 따라 충적지로 생활의 터전이 이동하게 된다. 구릉에 비해 저지대인 충적지는 농경생활에는 용이하였으나 수해 등 자연재해에는 상대적으로 취약한 지역이다. 따라서 주거 형태와 건축재도 이와 연동하여 변화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기존 생활에 따라 충적지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구릉에서 교목을 구하기보다 상대적으로 생활터전에서 가까운 곳에 분포하고 있는 대나무를 건축재로 활용하였을 가능성이다. 이상과 같이 주혈의 검토를 통해 건축재로 사용된 목재의 상이함에 대해 검토하였고, 나아가 청동기시대 주거 형태의 변화요인 등에 대해서도 간략히 언급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