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중국혁명과 북·중·소 관계, 1946~1950

        한상준 국립순천대학교 인문학술원 2024 인문학술 Vol.0 No.12

        국공내전 시기 북·중·소 관계는 밀착되었다. 중국혁명의 성공은 중공의 생존과 직결된 문제였다. 따라서 중공은 중국혁명의 성공적인 완수를위해 소련 및 북한과의 관계를 강화시켰다. 우선 중공은 국공내전 기간 ‘소련일변도’ 정책을 추진하였다. 국공내전의 승리와 중국혁명의 성공을 위해 중국은 소련의 협조와 지원이 절대적으로 필요했기 때문이다. 1948년 이후 중국혁명 성공 가능성이 뚜렷해지자, 중공은 소련에 대한 밀착을 더욱 강하게 추진하였다. 1949년 10월 중화인민공화국의 탄생은 중국혁명의 성공이 맺은 결실이었다. 신중국 수립직후 마오쩌둥은 소련을 방문하여 중·소 간 새로운 동맹조약을 맺었다. 그리하여 체결된 「중소우호동맹상호조약」은 중공이 추진했던 ‘소련일변도정책’의 최종적인 완성을 의미했다. 중국혁명의 성공 여부는 북한의 생존과 안전에 관련된 중대한 문제였다. 따라서 국공내전 시기 북·중의 이해는 근본적으로 일치하였고, 북중관계는 밀착·강화되었다. 특히 중공이 북한 지역을 후방기지로 활용할 수있었던 점은 중공의 동북지역 전투 승리에 상당한 기여를 하였다. 그런데 정치·안보적 이유뿐만 아니라 경제적 관점에서도 북중은 서로의 협력을필요로 하였다. 한편, 1949~1950년 약 3만 5천여 명의 중국인민해방군소속 조선인 부대가 북한으로 들어갔다. 조선인 부대는 북한의 군사력을크게 강화시켰다. 그런데 중국이 조선인 부대를 북한에 보냈던 내부적 배경에는 국내 경제의 어려움에 따른 감군의 필요성도 존재하였다. 중공은 국공내전에서 승리하면서 중국혁명을 완수하였다. 중국혁명의결과 공산주의 혁명이 동아시아 주변으로 확산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되었다. 그런데 중공정권은 공산주의 혁명을 주변으로 확산시키는 데 적극적이지 않았다. 왜냐하면 중공의 성격과 당면 목표가 이전과는 달라졌기때문이다. 중국혁명 성공 이후 중국공산당은 ‘혁명정당’에서 ‘집권정당’으로 바뀌었고, 중공이 추구했던 혁명의 목표도 무력을 통한 정권 창출이 아니라 사회주의 체제의 안정적인 건설에 있었다. During the Chinese Civil War, relations between North Korea, China, and the Soviet Union became close. The survival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depended on the success of the Chinese Revolution. Therefore, China strengthened ties with the Soviet Union and North Korea for the successful completion of the Chinese Revolution. First of all, China consistently pursued the policy of ‘Soviet unilateral policy’ during the civil war. This is because China absolutely needed the cooperation and support of the Soviet Union for the victory of the civil war and the success of the Chinese revolution. As the success of the Chinese revolution became more certain after 1948, the Chinese Communist Party tightened its ties to the Soviet Union. The birth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in October 1949 was the result of the success of the Chinese Revolution. Shortly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New China, Mao Zedong visited the Soviet Union and tried to sign a new treaty of alliance between China and the Soviet Union. The “Sino-Soviet Treaty of Friendship, Alliance, and Mutual Assistance” thus concluded meant the final completion of the “Soviet Unilateral Policy” promoted by China. North Korea’s survival and security were crucial to the success of the Chinese Revolution. As a result, North Korea’s and China’s interestsduring the national civil war were fundamentally consistent with each other, and relations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were strengthened. In particular, China’s ability to use the North Korean region as a rear base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China’s victory in the battle in the Northeast region. However, not only for political and security reasons, but also from an economic point of view, North Korea and China needed mutual cooperation. Meanwhile, a troop of about 35,000 Korean soldiers belonging to the Chinese People’s Liberation Army entered North Korea between 1949 and 50. The Korean troops greatly strengthened North Korea’s military power. However, the internal circumstance for which China sent Korean troops to North Korea was the need to reduce troops due to domestic economic difficulties. Through its victory in the civil war, the Chinese Communist Party completed the Chinese Revolution. The Chinese revolution laid the groundwork for the communist revolution to spread around East Asia. However, the communist regime did not actively seek to spread the communist revolution. This is because the nature and immediate goals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have changed from those in the past. After the success of the Chinese Revolution, the Chinese Communist Party transformed itself from a ‘revolutionary party’ to a ‘government party’, and its goal for the revolution was not to create a regime through force, but to build a stable socialist system.

      • KCI등재
      • KCI등재

        An American Tale: the Conflicts of American Society in Charles Brockden Brown’s Wieland

        한상준 미래영어영문학회 2015 영어영문학 Vol.20 No.3

        미국혁명 후, 1790년대 미국은 계속된 내란 속에서 종교, 정치, 전통적 갈등은 연방국가로서의 존립을 위협하였다. 그중에서 계몽주의와 캘비니즘 사이의 갈등, 그리고 외국인법과 보안법을 둘러싼 연방당과 공화당의 갈등이 이 작품의 배경을 이루고 있다. 브라운은 윌랜드 가문 3대를 추적하여 당시에 실제로 발생한 한 가정의 문제를 미국의 전통적 갈등으로, 보편적 가치로 확장하고 있다. 독일 색슨가의 귀족인 윌랜드 할아버지는 상인가문의 여자와 결혼하여 가문의 지위와 부 대신, 사랑을 택한 의식 있는 인물로 등장하며, 윌랜드 아버지는 영국에서 자수성가한 인물로 퓨리탄처럼 신생국 미국에서 인디안을 선교하러 온다. 그의 종교적 신념은 필라델피아 근처에서 농장을 경영하는 동안 약해졌으나, 다른 사람과 교제를 피하며 근처에 사원을 짓고 매일 기도를 드리던 중에 ‘자연적 인간 발화’라는 이상한 현상으로 타 죽는다. 나레이터이자 등장인물인 딸, 클라라는 이것이 신의 징벌이라고 생각하여 작가는 가문의 갈등이 전통적인 것임을 보여준다. 복화술을 쓰는 카윈이라는 이방인이 윌랜드 집안에 나타난 후, 일련의 사건은 등장인물들의 판단을 흐리게 하며, 외국인법과 보안법을 배경으로 한 연방당과 공화당 사이의 정치적 갈등을 상기시킨다. 클라라와 결혼을 염두에 둔 프리윌은 이성적인 인물인데 반해, 오빠, 윌랜드는 신의 계시로 자신의 가족을 살해하여 제물로 바치려는 정신병자로 이들을 통해 종교와 이성간의 갈등인 계몽주의와 캘비니즘의 대립을 보여주고 있다. 브라운은 한 집안에 나타난 기괴한 사건에서 미국의 전통, 종교, 정치를 아우르는 갈등에 대해 구체적인 원인이나 해결책을 제시하는 대신, 독자들의 더욱 분별 있는 판단을 바라고 있다.

      • 칠레 북부해안에 발달된 제4기 해안단구(고해수면)와 신구조운동

        한상준 한국제4기학회 1995 제사기학회지 Vol.9 No.1

        칠레 북부해안에는 여러개의 해안 단구들이 발견되는데 이는 지구조 운동과 하께 해수면 변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단구의 형성시기는 전부 밝혀지지는 않았으며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다,. 안토파가스타에서 이끼케까지 9개지역에서 발견되는 여러단구에 대한 탄 소 연대측정 전자스핀 공명법, 우라늄측정, 아미노산 연대측정 방법들을 이용하여 그 형성시 기를 측정하였다, 그결과들은 기본적으로 3∼4개의 뚜렷한 단구를 선정하여 지역간에 서로 대비하였다, 대부분의 단구들은 산소 동위연소 연대(Oxygen Isotope State) 3에서 11범주에 들어가는데 이것은 계단식 단구들이 단지 지구조 운동만으로 형성된 것이 아니라 전지구 기 후 변동과 밀접하게 관련된 전세계 해수면 변동에 의해 강한 영향을 받았음을 시사한다. 특 히 플라이스토세에 형성된 일련의 해빈 사구들은 플라이스토세 초기에서 중기사이 반복된 간빙기를 나타낸다.

      • KCI등재

        중국인민지원군 철군의 원인과 중·북 관계

        한상준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2 아태연구 Vol.19 No.2

        At the end of 1956, North Korea demanded China to withdrawal the Chinese People's Volunteers from North Korea. Two reasons for North Korea's request for the withdrawal could be presented as follow: First, it was due to the intervention of China and the Soviet Union in "August incident" of 1956. North Korea held grievance against China after the intervention; Second, on November 1956, the collapse of Imre Nagy regime of Hungary by Soviet military forces had an effect on North Korea to require the withdrawal of the Chinese People's Volunteers. Around the end of 1956, China agreed to withdraw the Chinese People's Volunteers. There were two major reasons why China had decided to withdraw the troops. First, China wanted to avoid any conflict between China and North Korea, and tried to pursue stability in Northeast Asia. Second, China suspected that North Korea might have left the social camp, or been in conflict with China and the Soviet Union to take her own line. The withdrawal of the Chinese People's Volunteers was executed in 1958, but, in fact, the decision of the withdrawal was made in 1956. The issues surrounding the troop withdrawal clearly indicate that China and North Korea did not keep a cordial relationship that one may easily imagine. On the contrary, China and North Korea distrusted each other. In the matter of the troop withdrawal, North Korea had to consider the safety of its own regime, and China considered the issue from the perspective of its own national interests. In this respect, China and North Korea did not maintain relationship of the "lips and teeth" at least. 1958년 10월, 중국인민지원군은 북한에서 최종적으로 철군하였다. 기존의 학계는 중국인민지원군 철군 문제를 1950년대 중반 이후 중·북 관계를 이해하는 중요한 사건으로 주목하면서 일정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연구는 사료의 한계로 인하여 철군이 실제로 결정됐던 정확한 시기를 밝힐 수 없었고, 철군의 원인과 배경을 중·북 관계의 측면에서만 분석했기 때문에 중국인민지원군 철군에 관한 종합적인 이해가 미흡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새로운 사료를 바탕으로 1956년 말 북한이 먼저 철군요구를 제기하여 중국이 철군을 결정했다는 사실을 밝히고, 중·북 관계를 전체 사회주의 진영의 유기적인 관계 속에서 검토함으로써 중국인민지원군 철군에 관한 이해의 지평을 넓혔다. 당시 북한이 중국인민지원군의 철군을 요구했던 주요 원인은 1956년 ‘8월 종파사건’으로 인한 중·소의 공동 내정간섭과 1956년 11월 소련군에 의한 헝가리 정권의 붕괴가 북한에 끼친 영향과 충격으로부터 기인하였다. 반면, 중국이 중국인민지원군의 철군을 결정했던 주된 까닭은 중·북 갈등이 고조되는 것을 방지하여 동북아 국제정세의 안정을 추구했기 때문이었고, 또한 북한이 사회주의 진영을 이탈하거나 중·소와 대립하여 독자노선을 추구하는 것을 막기 위함이었다. 한편, 철군문제를 둘러싼 중·북의 입장은 양국 간 상호신뢰가 견고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그대로 보여주었다. 중·북은 표면적인 우호·협력 관계와는 상반되게 서로를 불신하고 의심하였으며, 철군문제에 있어 북한은 정권의 안위를 우선적으로 고려했고 중국은 국익의 관점에서 사안을 판단하였다. 따라서 중·북은 적어도 철군문제에 관하여 양국이 긴밀히 연결되어 서로의 이해를 같이하는 ‘순치상의(脣齒相依)’적 관계는 분명히 아니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