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시즈히터 발열부와 온도감지센서 간격에 따른 화재 위험성 분석

        한승수,방선배,박진영 한국화재조사학회 2018 한국화재조사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04

        시즈 히터는 금속 보호관에 코일 형태의 전열선과 산화마그네슘(MgO) 절연 분말을 충진한 관 모양의 히터이다. 특징으로는 외부 물리적 충격에 잘 견디고 전기 열에너지 효율성이 높으며, 산업용, 가정용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 가능하다. 사용상 편의성으로 최근 시즈히터 사용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관련 화재 사고도 지속적으 로 발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시즈히터의 구조적 형태에 따른 화재 개연성을 연구 하였다. 시즈히터 발열부와 온도감지센서 사이의 간격 변화에 따른 발화 가능성을 연 구한 결과, 시즈히터의 발열부와 온도감지센서 사이의 간격이 증가할수록 온도감시센 서에서 감지하는 발열부의 온도와 발열부의 실제 온도 간 차이가 증가하여 화재 발생 개연성이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단독상사근염으로 발현한 비특이성안와염 1예

        한승수,김혜영.Seung Soo Han. MD. Hye Young Kim. MD 대한안과학회 2014 대한안과학회지 Vol.55 No.1

        Purpose: To report a case of idiopathic orbital inflammation presenting with isolated myositis of the superior oblique muscle. Case summary: A 57­year­old male presented with pain in his left eye and diplopia for three months. His past history was unremarkable except surgery for a thyroid nodule six months prior. At initial presentation, his corrected vision and intraocular pressure were normal. Biomicroscopy and fundus examination were unremarkable. Nasal side swelling of the left upper eyelid was observed, and 1.5­mm proptosis of the left eye was revealed on exophthalmometry. Two and four prism diopter right hypertropia were noted at up and right­up gaze, respectively. Axial and coronal orbital computed tomography (CT) showed enhancement of isolated superior oblique muscle hypertrophy in the left eye. Systemic work­up was negative for any inflammatory disease. A presumptive diagnosis of isolated myositis of superior oblique muscle was made, and the patient was started on 30 mg of oral prednisolone daily. Pain and diplopia disappeared and proptosis of the left eye decreased to 0.5 mm after one week of treatment. Orbital CT images obtained one month after treatment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size of the left superior oblique muscle. The steroid was tapered for two months, and the patient has shown no signs of recurrence for four months after cessation of treatment. Conclusions: Idiopathic orbital inflammation presenting with isolated myositis of the superior oblique muscle is very rare and has not been previously reported in Korea. A patient presenting with pain and diplopia was diagnosed as having isolated myositis of the superior oblique muscle based on CT scan, and good results were achieved with oral steroid therapy.

      • KCI등재

        민법상 組合의 부동산 취득 및 처분에 관한 小考 - 조합원 1인 명의의 등기에 관한 판례의 태도를 중심으로 -

        한승수 한국재산법학회 2022 재산법연구 Vol.39 No.3

        In our legal system, the association is the organization with the individuality of its members and the weakest character as organization. According to our precedents and theory by scholars, as the assocition's capacity of legal activity, litigation and registration is not admitted, when acquiring real estate, all members’ names must be registered as joint owners. In order to dispose of real estate, unlike the attitude of Supreme Court, it is reasonable to see that the consent of all members of the association is required. Unlike in handling business other than the disposal of real property, it is appropriate to decide that the provisions of real property law take precedence, and it seems to be consistent with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association. The precedents seem to have been approached as an extension of the emphasis on the character of organization. By the way, it is often seen that instead of registering in the name of all members, it is registered in the name of one member in actual transactions. This may be for procedural convenience, but according to Supreme Court’s precedents, in this case, the Act on the Registration of Real Estate under Actual Titleholder’s Name would be applied, so that the relevant legal rules make the cases complicated and rather controversial. In particular, caution is required as there may be room for a difference in the applicable legal rules in the land acquired by succession and the newly-built building. However, when the registration is completed in the name of one member, it can be seen differently if the members have agreed to perform the association's work in that way. In other words, in this case, it is not considered a title trust to which above act is applied, but it can be understood that it is valid to apply the association law to perform the its business. Moreover, In the case of registration in the name of a business execution member, it can also be resolved by rules of under the association law. 우리 법체계상 단체성이 가장 약하고 구성원의 개성이 인정되는 단체가 조합이다. 우리 학설과 판례상 일반적으로 조합의 권리능력, 당사자능력, 등기능력은 부정되므로, 부동산을 취득할 경우 조합원 전원이 등기명의자가 되고 합유라는 점이 기재되어야 한다. 부동산 처분을 위하여서는, 판례의 태도와 달리 조합원 전원의 동의가 요구된다고 보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생각한다. 조합재산의 처분 외의 다른 업무처리에서와 구별하여 물권에 관한 법률의 규정이 우선한다고 보는 것이 적정하고, 조합의 본질과 특성에도 부합해 보인다. 판례는 조합의 단체성을 강조하는 면이 있어 그 연장선상에서 접근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 거래에서는 조합원 전원의 명의로 등기하는 대신 조합원 1인 명의로 등기하는 경우가 자주 보인다. 이는 절차적인 편의를 위한 것이겠지만, 판례에 따르면 이러한 경우 명의신탁의 법리가 적용됨으로써 실제로는 관련 법리가 복잡하고 오히려 분쟁의 소지를 만든다. 특히 승계취득한 토지와 원시취득한 그 지상 부동산에 있어 적용법리가 달라질 여지도 있어 주의를 요한다. 그런데 조합원 1인의 명의로 등기된 경우에 그 등기가 조합업무의 수행을 위하여 조합원들이 합의한 것이라면 달리 볼 수 있다. 즉, 이러한 경우 부동산실명법이 적용되는 명의신탁으로 보지 않고, 조합법을 적용하여 유효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업무집행조합원 1인의 명의로 등기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조합법에 따른 규율로 해결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단독상사근염으로 발현한 비특이성안와염 1예

        한승수,김혜영 대한안과학회 2014 대한안과학회지 Vol.55 No.8

        Purpose: To report a case of idiopathic orbital inflammation presenting with isolated myositis of the superior oblique muscle. Case summary: A 57‐year‐old male presented with pain in his left eye and diplopia for three months. His past history was unremarkable except surgery for a thyroid nodule six months prior. At initial presentation, his corrected vision and intraocular pressure were normal. Biomicroscopy and fundus examination were unremarkable. Nasal side swelling of the left upper eyelid was observed, and 1.5‐mm proptosis of the left eye was revealed on exophthalmometry. Two and four prism diopter right hypertropia were noted at up and right‐up gaze, respectively. Axial and coronal orbital computed tomography (CT) showed enhancement of isolated superior oblique muscle hypertrophy in the left eye. Systemic work‐up was negative for any inflammatory disease. A presumptive diagnosis of isolated myositis of superior oblique muscle was made, and the patient was started on 30 mg of oral prednisolone daily. Pain and diplopia disappeared and proptosis of the left eye decreased to 0.5 mm after one week of treatment. Orbital CT images obtained one month after treatment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size of the left superior oblique muscle. The steroid was tapered for two months, and the patient has shown no signs of recurrence for four months after cessation of treatment. Conclusions: Idiopathic orbital inflammation presenting with isolated myositis of the superior oblique muscle is very rare and has not been previously reported in Korea. A patient presenting with pain and diplopia was diagnosed as having isolated myositis of the superior oblique muscle based on CT scan, and good results were achieved with oral steroid therapy. J Korean Ophthalmol Soc 2014;55(8):1213-1217

      • KCI등재

        항공기 비행에 의한 피해와 민사적 쟁점-대법원 2016. 11. 10 선고 2013다71098 판결

        한승수 중앙법학회 2020 中央法學 Vol.22 No.1

        This article is the study on the recent cases involving aircraft flights (the Supreme Court Decision 2013Da71098 Decided November 10, 2013). In this case, helicopters to and from nearby airfields caused damage to the use of nearby land. Therefore the landowner sought to ban on aircraft passing over his own land and sought compensation for damages. The decision rejected the request to seek to ban as opposed to the appeal, but acknowledged damages. Since the plaintiff did not simply seek damages, he filed the complaint on the basis of ownership (not on the violation of an environmental right). In the process of ruling it, the Supreme Court judged on the plaintiff's claim based on the "the Tolerable Range theory" commonly used in cases of nuisance. The Supreme Court, however, differed on specific criteria for a flight ban and damages claim, and it seems reasonable to differ on the criteria for recognizing illegality to admit such remedies. This conclusion of the Supreme Court can also be accepted from the view of Law and Economics. Regarding compensation for damages, it can be said that the flight of aircraft constituted tort, and the Supreme Court provided the criteria for calculating the amount. That is to say, the judge's active exercise of the right to make clear(“Aufklärungsrecht”) is required, and the damages are actually calculated through him. In the future, the scope of ownership and the way to guarantee it is thought to be discussed more frequently as multiple flying objects such as drones, flying cars are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This case is expected to serve as a constant guide in resolving such cases. 이 글은 최근에 선고된 항공기 비행과 관련된 사건(대법원 2016. 11. 10 선고 2013다71098 판결)의 평석이다. 해당 사건에서는 인근 비행장에 오고가는 헬리콥터로 인하여 인근 토지에 발생한 피해가 문제되었다. 이에 관하여 해당 토지의 소유자는 해당 토지 상공으로 항공기가 통과하는 것의 금지를 구하고, 손해의 배상을 청구하였다. 대상판결에서는 항소심과 반대로 비행의 금지를 구하는 청구는 배척하였고, 손해배상은 인정하였다. 원고는 단순히 손해배상만을 구한 것이 아니므로 (환경권 침해가 아니라) 소유권을 기초로 소를 제기하였는데, 대법원은 생활방해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참을 한도론”(수인한도론)을 바탕으로 원고의 청구에 관하여 판단하였다. 다만 대법원은 비행금지청구와 손해배상청구에 있어 그 구체적인 기준에 차이를 두었는데, 그와 같이 구제수단에 따라 위법성을 인정하는 기준에 차이를 둔 것은 타당해 보인다. 또한 대법원의 이러한 결론은 법경제학적인 관점에서도 수긍할 수 있다. 손해배상과 관련하여서는, 항공기로 인한 침해가 불법행위를 구성하여 불법행위책임이 인정되었는데, 대상판결에서는 그 금액 산정에 관한 기준을 제시하였다. 즉, 법관의 적극적인 석명권 행사가 요구되었는데, 실제 그를 통해서 손해배상액이 산정된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드론이나 플라잉카와 같은 여러 비행물체가 개발되고 상용화되면서 소유권의 범위와 그 보호방법이 보다 자주 논의될 것으로 생각된다. 이 사건은 그러한 사건들의 해결에 있어서 일정한 가이드의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 KCI우수등재

        위약벌과 손해배상액 예정의 구별 기준에 관한 간단한 고찰 - 대법원 2016. 7. 14. 선고 2012다65973 판결의 검토를 중심으로 -

        한승수 한국민사법학회 2019 民事法學 Vol.86 No.-

        대법원 2016. 7. 14. 선고 2012다65973 판결은 소위 “대우조선해양 인수”와 관련된 사건으로, 해당 거래 양해각서에서 별도의 손해배상 없이 위약벌을 지급하기로 한 조항의 성격, 또 그 금액의 감액 가능성이 문제되었다. 1심 및 항소심에서는 별도의 손해배상이 이루어질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거래 상황 등을 고려하여 해당 조항이 위약벌의 약정이라고 판단하고 감액도 부정하였다. 그런데 대법원에서는 별도의 손해배상이 이루어질 수 없는 점을 바탕으로 당사자의 의사를 판단하여 해당 조항을 손해배상액의 예정으로 보고, 민법 제398조 제2항에 따른 감액 가능성을 인정하였다. 환송심에서는 이에 따라 60%로 감액하였다. 위 사안에서 위약벌로 볼지 여부, 또 감액이 필요하다고 볼지 여부에 따라 총 네 가지의 옵션이 있는데(①위약벌- 감액 긍정, ②위약벌- 감액 부정, ③손해배상액의 예정- 감액 긍정, ④손해배상액의 예정- 감액 부정), 원심에서는 ②를 택했고, 대법원에서는 ③을 택했다. 이와 같은 법원의 판단에는 위약벌은 감액이 어렵고, 손해배상액의 예정의 경우에는 감액이 쉽다는 논리가 전제되어 있는 것이 아닌가 의심이 된다. 최근 대법원의 판례들에서 손쉬운 감액을 위하여 손해배상액의 예정을 넓히고 있는 경향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기도 한다. 거꾸로 계약 당사자들은 위 조항을 마련함에 있어서도 그와 같은 인식을 바탕으로 감액 가능성을 조금이라도 줄이고자 위약벌로 명시한 것으로 추측된다. 실제 별도의 손해배상 가능성은 손해배상액 예정과 위약벌의 구별 실익 중 하나로 이해되는 만큼 대상 판결에서의 결론은 일응 수긍할 수 있다. 다만 보다 깊숙이 사안을 들여다보면 구체적 타당성의 입장에서 완전히 동의하기 어려운 점이 발견된다. 첫 번째로는 당사자가 명확하게 위약벌로서의 효과의사를 의욕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부정할 수 있는가 하는 점이다. 기존의 판례에 따르면 여러 요소를 종합하여 판단하여야 하는데, 그 점을 고려하면 하급심에서 본 것과 같이 대상 판결 사안에서는 위약벌로 볼 수 있지 않을까 싶다. 두 번째로는 감액이 필요한 만큼 부당한가의 문제이다. 해당 조항은 다른 수많은 조항의 협상과 더불어 정해진 것이다. 그리고 해당 조항에서의 금액은 전체의 5%에 그친다. 대상 판결은 지나치게 후견의 여지를 넓히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대법원의 태도를 바탕으로 실무를 처리하는 입장에 불확실성을 가져다주지 않을까 우려된다. This article is a note to the recent decision of the Supreme Court(Supreme Court Decision 2012Da65873 decided July 14. 2017.) which deals with the distinction between liquidated damages clause and penalty clause. In this case, the matters on the nature of the clause that was supposed to pay penalty without compensation for the damages and the possibility of reducing the amount are discussed. The first trial and the appellate court found that the clause is a penalty clause and rejected the reduction of the amount, considering the circumstances of the transaction, even though separate compensation for damages is not possible. However, the Supreme Court judged the parties' intentions based on the fact that no separate compensation could be made, and considered the clause as the liquidated damages clause, and acknowledged the possibility of a reduction in the amount pursuant to Article 398 paragraph 2 of the Korean Civil Code. As a result, the amount of compensation for damages was reduced to 60 percent of the promised amount. It is seemed that in the base of this decision there must be logic that the amount of penalty is difficult to reduce though it is easy to reduce when the amount is deemed as the liquidated damage. In fact recent Supreme Court decisions tend to regard various forms of clause as a liquidated damages clause for easy reductions. Based on the court's attitude, it is understood that the parties to this case contract are stipulated as penalty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a reduction. In fact, the possibility of separate compensation for damages is understood to be one of the actual factors to distinguish the liquidated damages from penalty, so that the conclusion of the Supreme Court is quite persuasive. But considering the concrete facts it is difficult to completely agree with the conclusion of Supreme Court in this case. The first is whether the court can deny the intention of an effect as a penalty, even though the parties clearly intends to do so. According to existing precedents, the judgment should be made by compiling various factors, so that as seen in the lower court the clause has to be seen as a penalty clause. Secondly, it is the question of whether the amount is unfairly high and requires a reduction. The clause is established with negotiations on a number of other clauses. And the amount in that clause is only 5 percent of the total contract amount. It is seemed that this judgment made too much room for follow-up intervention. Such an attitude is feared to bring uncertainty to the position of dealing with actual affairs based on the attitude of the Supreme Court.

      • KCI등재

        우리법상 公序 條項에 관한 개괄적 비교- 민법, 국제사법 및 민사소송법의 규정을 중심으로

        한승수 중앙법학회 2019 中央法學 Vol.21 No.1

        Article 103 of the Korean Civil Code declares that legal acts against public order and good morals are invalid. This is described as a typical general clause and is called a public policy clause. As to which case is a violation of the public order and good morals, it is introduced in a way that classifies existing cases. By the way, the provision referring to public policy can be found not only in Civil Code, but also in International Private Law Act and Civil Procedure Act. For example, the provisions of Article 10 of International Private Law Act on cases where foreign law is governed and the provisions of Article 217 of the Civil Procedure Act on the recognition and enforcement of the foreign judgment. Contrary to the fact that public policy under Civil Code is considered as ‘domestic’ public policy, public policy under International Private Law Act and Civil Procedure Act are so-called ‘international’ one, with differences between the two. Despite the nuances that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give in their expression, the two notions are both based on the concepts of the country concerned, that is to say, Korea in the Korean law. But the two concepts have differences in certain context or function. In this paper, the differences between international and domestic public policy under the above mentioned clauses are analyzed in terms of function, timing of judgment, and role. It may be considered to be the same in nature, since it all means public policy of th same country, but I think the above differences in individual matters will have a real impact. However, since these concepts differ in their application areas, it is unlikely that the actual confusion will be significant if the differences are recognized in a broad sense. The above study is comprehensive and is only the first step in further research in the future. Based on this, it is expected that research will continue in earnest. 민법 제103조는 “善良한 風俗 기타 社會秩序에 위반한 사항을 내용으로 하는 법률행위는 무효로 한다.”라고 선언하고 있다. 이는 公序 조항으로 지칭되는데, 그 내용이 무엇인지는 더 이상 구체적으로 설명되고 있지 않으며, 그 구체적인 적용요건은 변화하는 사회를 반영하여 법원에 위임하고 있다는 점에서 민법상 대표적인 일반조항으로 꼽힌다. 그 내용은 판결례의 분류를 통해 파악되는 것이 일반이다. 그런데 우리 법체계에서는 공서 조항으로 꼽히는 것을 국제사법이나 민사소송법에서도 찾을 수 있다. 국제사법의 규정(국제사법 제10조)은 준거법에 관한 것이고 민사소송법의 규정(민사소송법 제217조)은 외국판결등의 승인 및 집행에 관한 것인데, 여기에서의 공서는 소위 국제적 공서로서 민법상의 공서, 소위 국내적 공서와 구별된다. 국제적 공서는 그 표현에도 불구하고 법정지법의 공서를 의미하는데, 구체적으로는 국내적 공서와 그 의미, 개념 나아가 그 기능에 있어 상당한 차이가 있다. 이 글에서는 다소 큰 그림으로서 국내적 공서와 국제적 공서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그에 따라 위 조항들을 바탕으로 그 개념, 기능, 판단 시기, 효력 등을 살펴보았다. 그 출발점은 같지만, 실제로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공서의 개념은 항상 변할 수밖에 없다. 사회의 법의식이 변하기 때문이다. 또한, 그 변화는 국내적 공서와 국제적 공서에 있어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그 변화를 인식하고 공서의 개념을 적용함에 있어서는 두 개념의 차이를 넘어서 활용영역에서의 차이도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