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기술기반을 활용한 한국의 문화예술교육 방향성

        한경훈 한국동북아학회 2020 한국동북아논총 Vol.25 No.1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changes in the social environment, this study explored the changes in the culture and art industry at the present time, and examined the status of cultural and art education at domestic and abroad for creating various arts utilizing the cutting-edge technologies. In the rapidly changing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new prospects and various development plans are being presented throughout society, science, education, and arts. In this regard, continuous discourse on the right direction of cultural and arts education and the tasks to be solved is required. Through this comparative study of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Korea's high technology-bas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were examined, and the necessity of changing artist education was suggested so that advanced cases abroad could be utilized as a significant indicator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artist education program. 급변하는 4차 산업혁명 시대는 사회, 과학, 교육, 예술 등 전반에 걸쳐 새로운 전망과 다양한 발전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이 같은 점에서 문화예술교육 분야 또한 미래사회가 지향해야할 올바른 방향과 풀어나가야 할 과제에 대한지속적인 담론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의 개념과 사회 환경 변화를 이해하는 것을 바탕으로 현 시대문화예술 산업의 변화 양상을 탐색하고, 첨단기술 기반의 문화예술 학습과 창작에 필요한 국내외 문화예술교육 현황을 조사하였다. 이와 같은 국내외 대표적 사례들의 비교 분석을 통해 한국의 첨단기술 기반 문화예술교육의 한계와문제점들에 대해 고찰하고, 해외의 선진 사례가 국내 예술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유의미한 지표로 활용되어질 수있도록 교육 변화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EXPLICIT COMPUTATION OF TOMITA-TAKESAKI THEORY IN MATRIX ALGEBRAS

        한경훈 水原大學校 2012 論文集 Vol.26 No.-

        폰노이만 대수의 역사에서 육칠십년대에 한획을 그은 토미타-타케사키 이론을 행렬대수에서 구체적으로 계산해본다. 토미타-타케사키 이론을 다루는 폰노이만 대수 교과서들은 여러권이 있지만 읽기가 매우 난해하고 이론적 기초를 다진후에는 간단한 예에서 계산을 해보지 않은채 바로 Alain Connes 의 단사인자 분류에 촛점을 맞춘다. 따라서 이 논문은 토미타-타케사키 이론을 처음 접하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리라 본다.

      • 良性隆起性病變의 胃內分布像 : 胃 fiberscope 檢査 Fiberscopic Study

        韓京勳,裵忠根,李在禹,鄭俊謨,鄭克守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77 慶北醫大誌 Vol.18 No.1

        慶北醫大附屬病院 胃鏡室에서 1968年 1月부터 1975年 3月初까지 胃 fiberscope 檢査를 받은 實人員 3000例중 良性으로 판단된 隆起性病變은 61例에서 볼 수 있었는 바 그 중 胃潰瘍, 胃癌과 같은 局所性病變을 동반하지 않고 良性隆起性病巢만 있었으며 그 發生部位가 明記된47例를 擇하여 검토하였다. 이 중에 粘膜下種瘍으로 판단된 例가 4例이었고 나머지는 소위 polyp로 판독되었는 바 그 중 4例는 2개씩의 polyp가 있었으므로 polyp 總數는 47개 이었다. 이들 polyp에 대해서 년령층별 및 위부위별 발생상황을 검토 하였는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Polyp의 년령층별 분포상을 보면 40代가 으뜸이고 다음의 50代, 60代의 순이었으며 이들의 평균년령은 50.1세이었다. 2. Polyp의 빈발부위로서는 下1/3部胃(前庭)가 으뜸으로서 全 polyp의 76.6%가 이 부위에서 발생하였었다. 또 前壁, 後壁 小彎, 大彎중에서는 大彎가 가장 빈발하는 부위이었다. 그리고 년령이 많아짐에 따라 polyp의 발생이 上部胃쪽으로 이동하는 것 같았다. 3. 有莖 polyp는 全 polyp의 약 1/3에 해당하였으며 有莖 polyp의 86.7%는 下1/3部胃(前庭)에서 그리고 80.0%가 大彎部에서 발생하였다. 그리고 全 polyp에 대한 有莖 polyp의 比率은 년령이 많아 질수록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으며 60代에서는 全polyp의 2/3가 有莖 polyp이었다. Among 3,000 cases of gastric fiberscopies during the past 7 years and 2 months(from Jan.4,1968-Mar.3,1975) there were 61 cases with benign elevated lesions. Among these, 47 case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excluding those which had other focal pathology such as ulcer or cancer besides the elevated lesions and those description of the site of the elevated lesion was obscure. Aomng the benign elevated lesions submucosal tumor were 4 and polyps were 47 in number. Distribution of these polyps by age groups and site of the stomach were examined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Highest incidence of polyp was seen at the 5th decade and the average age was 50.1 years. 2. About 76.6% of polyps were found at antrum and it appeared that the site of polyp moves towards the proximal stomach as the patient's age increases. 3. Subpedunculated and pedunculated types occupies about 1/3 of the polyps and 80.0% of subpedunculated or pedunculated polyps were seen at antrum. The incidence of subpedunculated and pedunculated types appeared to increase as the patinent's age increases and about 2/3 of the polyp in 7th decade were subpedunculated or pedunculated type.

      • KCI등재

        대학생의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스포츠 태도의 매개효과

        한경훈,문경지,노수림 한국청소년학회 2018 청소년학연구 Vol.25 No.1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self-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ports attitude in this relationship. A total of 174 university students completed a survey that consisted of measures of physical self-efficacy, sports attitude, and life satisfaction. Correlation and multi-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se variables. A bootstrap approach (Preacher & Hayes, 2008) was used to assess the mediating effect of sports attitude.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full mediation effect of sports attitud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self-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ediating role of sports attitude is important to improve life satisfaction, and indicate that the life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improves when positive sports attitudes are formed through beliefs of individual physical abilities. 본 연구는 대학생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이들 간의 관계에서 스포츠 태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174명을 대상으로 신체적 자기효능감, 스포츠 태도, 그리고 삶의 만족도를 측정하였다. 세 변인들 간의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고, 매개효과 분석을 위해 Preacher와 Hayes(2008)가 개발한 SPSS macro를 사용하여 bootstrap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신체적 자기효능감, 스포츠 태도, 삶의 만족도 간에 정적 상관이 있었고,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스포츠 태도는 삶의 만족도를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효과 검증 결과, 스포츠 태도 매개변인 투입 후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삶의 만족도에 가지는 직접 효과가 사라지는 스포츠 태도의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데 있어 스포츠 태도의 역할이 매우 중요함을 시사한다. 개인의 신체적 능력에 대한 신념을 통해 긍정적 스포츠 태도를 형성하였을 때 대학생들의 긍정적 삶의 만족도가 향상된다고 볼 수 있다.

      • 糖尿病의 認識度

        韓京勳,柳三連,尹榮佶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79 慶北醫大誌 Vol.20 No.1

        糖尿病患者의 糖尿病에 對한 知識과 態度를 把握하기 爲하여 慶北醫大附屬病院 糖尿病診療室을 訪問한 男子患者 178名, 女子患者 109명(合計 287名)에서 著者들이 作成한 說問紙를 利用하여 다음과 같은 結果를 얻었다. 1. 對象患者의 年齡은 40代가 120例(41.8%)로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50代, 30代의 順이었으며 男女의 比는 1.63 : 1로서 男子가 훨씬 많았다. 2. 患者의 體重(現在)은 標準體重의 範圍內에 있었던 例가 152例(53.0%)로서 過半數였고 過體重은 89例로서 31.0%를 차지하고 있었다. 3. 病歷은 1年에서 3年사이가 가장 많아 94例로서 32.3%였고 3年에서 4年사이가 84例(293.3%), 1年末滿이 79例(29.55)의 順이었다. 또한 入院經驗은 全例의 過半數가 入院한 經驗이 있었으며 赤是 1回가 가장 많아 116例로서 全例의 40.4%를 차지 하였다. 4. 患者의 家族歷을 보면 家族가운데 6代以內(親外家包含) 糖尿病患者가 있었던 例가 53個(18.5%)였다. 5. 糖尿病의 發見動機를 보면 糖尿病 症狀으로 發見된 例는 79例로서 全例의 27.5%였으며 全例의 約 3/4은 他疾患 定期檢斷 等으로 알게된 例였다. 6. 糖尿病의 知識習得經路는 醫師 및 看護員을 通해서 알게되었다는 例 가장 많아서 189例로 소例의 65.9%였다. 7. 糖尿病에 關한 比較的 定確한 知識은 症狀에 對한 것이 가장 높아 267例(93%)가 알고 있었으며 그 다음이 合倂症, 糖檢査法, 原因, 正常血糖値였으며 꼭 알아두어야 할 基本治療法에 對해서 食餌療法과 運動療法이라고 쓴 例는 單 22例여서 7.7%로서 가장 낮았다. 8. 食餌療法에 關하여는 許容된 熱量內에서 分기配食을 해야 하다고 알고 있었던 例는 157例로서 過半數를 넘었으나 이를 올바르게 實施할 수 있는 能力을 가졌는지를 알기 위한 食品交換表를 자기 마음데로 쓸 줄 아는 例는 74例로서 全例의 1.4을 약간 上廻하고 있었다. 9. 低血糖에 對해서는 인슈린을 쓴 經驗을 가진 例가 158例 였는데 低血糖에 對해서 잘 알고 있었던 例가 45例로서 26.6%에 不過했으며 全體的으로 보아 잘 알고 있었던 例는 49例로서 17.1%밖에 되지 않고 있었다. 또한 糖尿病性昏數는 우리나라에서 흔히 볼 수 없어서인지 잘 알고 있었던 例는 極少數인 10例에 不過하여 全體에서 3.5%라는 매우 낮은 率을 보이고 있었다. 10. 발管理(foot care)는 130例에서 잘 알고 있었고 이는 全例에 過半數도 못되는 形便이었다. 11. 敎育에 參考를 하기 위해 糖尿病의 治療(管理)時으 溫點粘을 調査해본 結果 赤是 人間 의 基本慾求의 抑制인 食餌療法이였다는 回答이 단연 1位로서 230例나 되어 全例의 4/5를 넘었다. 12. 敎育時에 參與度를 보기 爲한 調査에서는 180例가 敎育을 받은 적이 있어서 전례의 62.7%를 차지하고 있었다. 以上의 結果로 미루어 보아 糖尿病의 啓은 아직 草創期에 머물고 있는 印象이었으며 하루 빨리 全國各種病院에서라도 患者를 爲한 糖尿病敎室이 開設되었으면 하는 마음 간절하다. Knowlege and attitude of diabetics toward their illness were investigated in 287 cases who were randomly sampled from our diabetic clinic by questionnair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Highest incidence was observed in the age group of forties, followed by fifties and thirties, and male were affected more frequently than female (1.63:1). Overweight was noted in 53% of patients. Sixty per cent had their illness less than 3 years duration and half of them experienced hospital admission. About their knowledge toward diabetes, half of patients were aware of it's causes, 93% it's symptoms, 70% it's complications, 60.6% urine sugar testing, 28.2% normal blood sugar level. Especially about diabetic complications, 17.1%(49 cases) know about hypoglycemia and only 3.5%(10 cases) about diabetic coma. And approxmately 45% of them were orientied in the necessity of foot care. Approximately half of the patients recognized importance of diet, but only 25.8%(74 cases) know about KDA Exchange Diet Planning. One of most frequent and important points concerning about diabetic care has been brought up by these questionnaires; “Following diabetic diet strictly as prescrived by physician.”

      • KCI등재

        A Cross-sectional Study of Nutrient Intake for Korean Women with Menopause and Metabolic Syndrome

        한경훈,김성훈,송관영,한성희,김도희,Han, Kyung-Hoon,Kim, Sung-Hoon,Song, Kwan-Young,Han, Sung-Hee,Kim, Doh-Hee The Korean Society of Food and Nutrition 2015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8 No.6

        Menopausal status and hormonal changes are important factors related to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women. Nutrient intake is also a risk factor for metabolic syndrome. Although, postmenopausal status and hormonal changes result in a 60% increased risk for metabolic syndrome, there has been no method to elucidate the effects of nutrient intake on metabolic syndrome following menopau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nutrient intake by menopausal women on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ll data were obtained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7-2009. Menopausal women showed a 1.8-fold increase in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Metabolic syndrome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values in calcium, iron, vitamin A, carotin, retinol and riboflavin intake than those of normal group in premenopausal women. In postmenopausal women,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rude fiber, calcium, iron, potassium, riboflavin and niacin. Indeed, different patterns of nutrient intake were observed by menopausal status and metabolic syndrome. As menopause cannot be controlled, a diet with adequate nutrient intake may be useful to control the rapid increase in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due to menopau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