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大學院課程學生(또는 專攻醫)選拔方案 : 精神醫學分野를 中心으로

        趙斗英,李定均,禹鐘仁,李符永,洪剛義,金重述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82 신경정신의학 Vol.21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원을 육성코져 하는 의도에서 발달한 1980년도 文敎部 硏究費의 보조를 받아 우리나라에서의 정신의학분야 대학원생을 어떻게 선발하는 것이 최선이냐는 데에 대한 方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둔 것으로, 저자들은 이에 수반하여 이분야 專攻醫의 선발방안도 아울러 연구코져 하였다. 먼저 저자들은 우리나라 현행 대학원생 선발의 예로 서울대학교를 들어 이를 검토한 결과 그 특징으로, 첫째 선발의 주도권이 해당 科(敎室)가 아닌 醫大에 있다는 것과, 두째 서류전형이 없고 면접고사는 형식적인 것에 불과한 반면 영어와 임상의학에 치중된 필기고사가 그 당락을 좌우한다는 사실을 발견·지적하였다. 다음 저자들은 우리나라 현행 전공의선발의 예로 서울대학교병원을 들어 이를 검토한 결과 그 특징으로 첫째 선발의 주도권은 형식상 병원측에 있으나 실제에서는 신경정신과측과 병원측에 양분되어 있었고 그 비중은 科側이 病院側 보다 높다는 인상을 받았다는 것이고, 두째는 이 역시 대학원생 선발과 마찬가지로 서류전형은 없고 영어와 전공과목인 2과목의 필기고사 성적에 그 당락이 좌우됨을 발견하였다. 이같은 우리나라 경우에 비해 Cornell 대학병원 정신과를 예로 든 미국의 전공의 선발과정의 특징은 첫째 서류전형에서 부터 출신의대와 의대성적을 중점 참고하여 탈락이 속출하고, 두째 필기고사는 없으되 다수의 면접위원에 의한 철저하고 엄격한 면접고사에서 최종 당락이 결정된다는 것, 세째 선발의 모든 권한과 책임이 전적으로 해당과에 부여된다는 점이었다. 위와 같은 자료를 준비한 뒤 저자들은 1981년 8∼9월 大韓神經精神醫學會會員으로 있는 專門醫(교수 포함)92명, 專攻醫 94명(대학원생 포함), 도합186명에게「전공의 및 대학원생 선발방안에 대한 질문서」를 발송하여 그 61%인 전문의 59명(전임교수 43명 포함)과 전공의55명(대학원생 49명 포함)도합 114명에게서 회신 받은 것을 종합·평가·분석하여 본선발방안을 작성하였던 바, 현재로서 이 방안은 본연구의 부수목적이었던 신경정신과 전공의선발에는 약간의 무리를 무릅쓰면 즉시 사용할 수 있는 것 임에 비하여 본 목적이었던 대학원생선발에는 그 대학원제도 자체가 지닌 산적한 制度上·運用上의 근본문제로 인하여 즉시 사용은 불가능한 상태임을 알아내었고, 따라서 저자들은 이들 妨害要素 4가지를 제시하면서 대학원 정책입안자들의 高次元的 決斷을 촉구하였다. 이러한 制約이 있음을 前提로 하여 著者들은 다음과 같은 精神醫學分野 大學院課程學生 選拔方案을 제사하는 바이다.―① 학생(전공의) 선발의 모든 권한과 책임은 醫大와 病院이 아닌 科와 敎室이 갖도록 한다. ② 응모에 마감은 해마다 정하되 각 대학원 또는 병원은 각기 독자적으로 다르게 일자를 정하는 것이 좋다. ③ 경쟁율이 높은 대학원 또는 병원은 書類銓衡을 일차적으로 하는 것으로 하되 주로 의대성적·인턴근무·성적·추천서·인턴병원에 관한 사항을 참작토록 한다. ④ 筆記考査는 폐지하던가 시행한다해도 전공과목·임상의학·영어의 3과목으로 제한하며 그 합격율을 최종선발인원의 倍數 이상으로 하도록 한다. ⑤ 面接考査를 철저하고 엄격히 장시간에 걸쳐 多數委員에게서 同一지망자에게 실시토록 하되 지식위주가 아닌 인간성과 자질평가에 주안점을 둔다. ⑥ 선발과정에 있었던 모든 토의·결정사항에 관계되었던 것을 文書化· 機密化하여 半永久 保存함으로써 公正度 유지에 전력을 다한다. No study has been known yet in Korea on evaluation of the students selection system in graduate course while there have been some outspoken critics to the present system in the past several years. Comparison between on-going Korean and American systems was made, and opinions of a group of 59 board-certified leading psychiatrists(including 43 full-time faculty staffs) and 53 psychiatric residents (including 49 graduate course students) on the ideal and best suitable selection system obtained via questionaire method were assessed. On the basis of this assessment, following recommendations were finally made for the future occasions of the selection: 1) Initiatives and whole responsibilities of the selection is preferred be lied in the hands of department of psychiatry instead of medical school authorities. 2) Different application time-limits set for each graduate school are desirable for the conveniences of applicants who want to apply for several places. 3) Preliminary selection on the basis of academic grades in medical school, hospital of the present internship, and recommendation lecters from deans and directors of internship is desirable. 4) Written test for evaluation of medico-psychiatric knowledges seems less important as it does not correctly reveal whole abilities of each applicant. 5) Interview by more than two faculty members for each applicant, not as oral-test style for medico-psychiatric knowledges only, but as evaluation of whole person, is strongly recommended. 6) Those above-mentioned ideas seem highly-reasonable and immediately applicable to the present psychiatric residents selection system without much difficulties, while those could cause severe turmoil in the present graduate school system unless there were some basic and radical changes in medical education system in Korea as to parallel to he international standard.

      • KCI등재

        躁鬱症 躁期 患者의 MMPI 反應

        金重述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83 신경정신의학 Vol.22 No.1

        Too often psychological test responses of the manic patients are found not in accordance with the clinical symptoms or diagnosis. This study is a part of the comprehensive psychometric approach to the methods. MMPI profiles of 13 hospitalized manic patients whose diagnosis was clinically confirmed were reviewed Ma(67T) and Pd(57T) scales proved to be average high-points, making no difference between male(70T for Ma, 58T for Pd) and female(64T for Ma, 57T for Pd) patients. Viewed from the code pattern, Ma was the most frequent(62%) high-point scale among the total patients, but it elevated above 70T for only one-third of them. For more efficient differential diagnosis application of multimodal assessment is needed, preferably using multitrait-multimethod matrix.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