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稀貴食物, 히어리 生態에 관한 硏究

        張珍成,崔允慈,姜佑昌,李佶勳,金輝 서울大學校 農業生命科學大學 附屬樹木園 1998 서울大學校 樹木園 硏究報告 Vol.- No.18

        히어리가 생육하는 전국 5개지역에서 총 31개의 방형구조사를 통해 목본식물의 종조성과 흉고직경을 측정하였다. 흉고직경급으로 본 히어리의 개체군 구조는 집단별로 서로 상이한 모습을 보였다. 산청지역은 낮은 경급의 수목보다는 5-6 cm급의 개체가 많았고 포천지역의 경우는 많은 수의 실생묘가 관찰되었고 1-2 cm와 3-4 cm급의 개체가 많았다. 또한 백운산, 뱀사골 그리고 남해지역은 비교적 밀도가 낮은 집단으로 고른 직경급의 분포를 보였다. 현재의 개체군 구조로부터 포천지역은 개체군의 성장에 예측되는 반면 산청지역은 감소가 예측되었다. 히어리가 생육하는 식물군집은 생육지의 위치상으로도 상당히 이질적인 장소들로 구성되어 있다. 백운산지역은 비교적 상당히 큰 분포지였으며 남사면의 산복에 위치하는 건조한 지역으로 신갈나무가 우점을 하는 지역으로 비교적 안정된 천이단계에 도달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나머지 대부분의 지역에 있어서 생육하는 지형은 북사면의 계곡부로 습기가 많고 빛이 매우 부족한 지역이었다. 따라서 히어리의 생육지 요구도의 폭이 넓은 것으로 보여준다. 남해지역과 뱀사골 지역은 조림지에서 생육하는 것이 관찰되어 히어리가 맹아에 의해서 개체군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히어리는 넓게 분포하고 생육지요구폭이 넓고 극히 제한된 수의 개체군을 갖는 유형의 희귀식물로 현재의 생육지와 개체군에 대한 절대적인 보호가 필요하다. From 31 plots of five populations, species composition and DBH class of Corylopsis glabrescens var. totoana (Makino) Yamanaka were investigated. Each population of C. glabrescens var, totoana showed different patterns of class distribution. Since there are many old trees with 5-6 cm diameter and less seedlings, Shan-chung population probably decline population in size in the near future. On the contrary, due to many seedlings in Po-chun population, population may expand in size. Baek-un population showed the unique habitat with large population relatively. Especially in the sunny southern slope and ridge of mountain, Quercus mongolica dominated and maintained a high portion of vegetation there. As the man-made forest, Nam-hae and Baem-sa-gol populations may maintain only by the root sprouts. Generally despite small populations, C. glabrescens var. totoana occurred over a wide geographic range in diverse habitats. This species may not be endangered unless the natural habitat is destructed by human. It is strongly recommended to protect of all sites and populations as the long term strategies for preservation of this species.

      • 香爐峰의 植物相

        全正壹,張珍成,金輝 서울大學校 農業生命科學大學 附屬樹木園 1999 서울大學校 樹木園 硏究報告 Vol.- No.19

        향로봉지역을 중심으로 한 식물상조사를 위하여 1998년 4월부터 9월까지 채집 조사하였다. 향로봉과 그 연봉인 칠절봉, 매봉산에서 채집된 식물은 64과 155속 241분류군이었다. 그러나 향로봉지역이 민간이 통제지역인 관계로 충분한 식물상을 반영할 수 없었다 향로봉과 고도 1000m이상의 그 연봉의 봉우리와 능선 그리고 작은 규모의 계곡에서 일부 아고산성 식물상을 보유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 지역에서 분포가 확인된 특정식물은 5등급은 16분류군, 4등급은 41분류군, 3등급은 25분류군, 2등급은 5분류군 및 1등급은 1분류군으로 모두 88개 분류군이었다. 특히, 향로봉 경우 5등급인 분류군이 10종이 있었고 정밀생태종에 포함되는 일부 4등급종과 나머지 등급을 모두 합쳐 37개 분류군의 특정식물종이 관찰되었다. 특정식물의 종 수와 등급별 평가점수를 곱하여 합산한 산지별 평가점수는 소권역 전체의 총점은 660이고 향로봉이 288점으로 가장 높았고 칠절봉이 146점, 매봉산이 122점 순으로 나타났다. 일부 특정식물종에 대하여 ‘표준조사기록지'에 의한 조사결과 향로봉의 고도 1000m이상지역에 아고산성식생에 분포하는 중요한 특정식물이 집중적으로 생육하는 것으로 관찰되었고 이들 특정종에 대한 위협요인은 거의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The mountain Hyang-ro studied by members of the Arboretum between April and September 1998 is located on the northern margin of south Korea, along the east side of DMZ. A forest area in Hyang-ro is a birch-oak forest in which the dominant trees of the arboreal layer are Quercus mongolica, Acer tschonoskiivar. rubripes, Betula ermanii, B. costata, B. schmidtii, Tilia amurensis and Pinus densiflora Because of the restriction of collections within this military zone, 241 taxa (64 familes and 155 genera) recorded here are only a part of representatives in this community. It is recognized fact that the tendency toward dominant by several subalpine taxa increases as a part of regional flora from above 1,000m altitude. The emphasis has been upon its woody constitutents with respect to community, but the endangered herbaceous taxa are rich in this area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rare and endangered species propos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 冠岳樹木園 所藏標本을 中心으로 한 國內 木本 植物의 分布地와 識別에 대해서(Ⅱ) : Aceraceae 丹楓나무科에 대해서

        장진성,김휘 서울大學校 農業生命科學大學 附屬樹木園 1996 서울大學校 樹木園 硏究報告 Vol.- No.16

        Acer pictum complex is a Far-eastern Asian woody maple that exhibits a broad range of morphological variation and occurs in China, Korea and Japan. In this study morphological analyses of herbarium material were undertaken to determine whether the observed morphological variation was primarily attributable to morphological discontinuities among geographically distributed groups. A multivariate morphometric study of Acer pictum complex (A. pictum Thunb. ex Murray and A. okamotoanum Nakai) in Japan and Korea was undertaken to assess the numbers and ranks of taxa that usefully could be recognized. The results of cluster and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on a matrix of 67 plants by 12 characters indicated that one taxon could be recognized. Although A. okamotoanum and A. pictum of Korea formed somewhat distinct clusters, neither of Acer pictum from Japan or from Korea could clearly be distinguished from populations of A. okamotoanum from Ullung island of Korea. Likewise, individuals of A. takesimense Nakai from Ullung island of Korea were indistinguishable from A. pseudosieboldianum (Pax) Komarov of interior populations of Korea. Variation at the summit of Sung-in on Ullung Island was expressed primarily within populations of A. pseudosieboldianum. Also, A. ginnala Maxim. of Japan and Korea should be recognized within A. tataricum L. due to the continuous leaf morphological variation(the number of leaf lobe). On the other hand, A. tschonoskii Maxim. of Korea and of Japan was morphologically distinct with respect to the number of flowers, middle lobe length, fruit size, petiole length and the number of serration in the middle lobe, although A. tschonoskii of Korea and A. tschonoskii var. autstrale of Japan represented intermediate forms between A. micranthum and A. tschonoskii of Japan. Therefore, A. tschonoskii of Korea and A. tschonoskii of Japan should be separated, such as A. tschonoskii var. rubripes Komarov and A. tschonoskii var. tschonoskii respectively. Finally using a key and a limited sample of Kwanak Arboretum herbarium specimens(SNUA) to the taxa produced from all results, the distribution of the other Korean maples were determined.

      • 2009년도 중국 섬서와 사천의 식물표본 탐사

        김휘,임효인,장계선,장진성,전정일 서울大學校農業生命科學大學附屬樹木園 2010 서울大學校 樹木園 硏究報告 Vol.- No.27

        From May 23rd to 30th in southern Shaanxi and from July 20th to 31st in western Sichuan, our team consisting of four members conducted the plant exploration two times to collect plant survey project. Two provinces were selected because it has diverse temperate species, however, no range wide survey has been attempted before by Korean taxonomists. The goal of our group is to collect diverse vascular plant specimens. A total of 1,340 specimens were collected of 102 families, 205 genera and 443 taxa of vascular plants. Our collections include Rosaceae and three endemic genera including Dipteronia, Clematoclethra and Berneuxia and 191 taxa as endemic species, and good additional specimens of many representative woody plants were taken from Sichuan and Shaanxi. One copy of our collections were given to PE as an agreement. 섬서성 남부 지방에서 2009년 5월 23일~30 일, 사천성 서부 지방에서 2009년 7월 20 일~31일에 걸쳐 4명으로 구성된 조사팀이 식 물채집을 위한 식생조사를 2차례 수행하였다. 조사지역으로 선택된 섬서성과 사천성 지역은 다양한 온대수종이 분포하고 있지만 이전에 한 국의 분류학자들에 의해 광범위한 조사가 시도 된 적이 없다. 본 조사의 목적은 다양한 관속식 물의 표본을 채집하는 것이었다. 총 102과 205속 443분류군 1,340점의 관속식물표본이 채집되었다. 가장 많이 수집된 과는 장미과 (124점)였으며 속별 종수로 가장 많이 수집된 분류군은 산딸기속(16개 분류군)이었다. 연구 기간 중 조사된 중국 고유의 과는 없었으며 고 유속의 경우 Dipteronia, Clematoclethra, Berneuxia 등 3속, 고유종의 경우 총 191개 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이는 전체 수집종 443분 류군중 43.1%에 해당하는 것으로 국내의 식물 상에 비해 고유종 비율이 높았다. 또한 이 외에 도 추가적으로 많은 대표적인 목본식물들에 대 해서 양호한 상태의 표본이 확보되었다. 본 조 사의 채집품들마다 한 개의 사본은 협의에 따 라 중국과학원 북경식물연구소에 넘겨주었다.

      • KCI등재

        天機論의 사회적 성격 일고찰-洪世泰를 중심으로

        김휘 한중인문학회 2021 한중인문학연구 Vol.70 No.-

        Although Hong Se-tae did not dream of a transformation while witnessing all kinds of absurdities in society, he has been making lifelong efforts to pay attention to reality and to improve awareness and status of the Yeohang Literature. His creative activities were when Yeohang Literature emerged in literary history. His poetry museum of Cheon-gi is In addition to distinguishing the aesthetics and completeness of literature from the aspect of literary aesthetics, Yeohang Literature presents the possibility to point out the creative propensity through the mind of lust by arguing for equality of personality and social status. With this connection, Yeohang Literature and Sadaebu Literature have secured another evaluation horizon. In addition, the social function of Yeohang Literature was further strengthened by distinguishing social status and class and introducing it into the category of literary theory. In a word, the truth of the Holy Spirit and the heart of the lust were enriched by the inner circle of Cheon Ki-ron, which was claimed by the Yeo Hang-man, and provided another theoretical basis for further and in-depth research on the Yeo Hang-hak Altar and leaving it in the history. Although the Yeohang writers, including Hong Se-tae, have only limited advancement in creativity and techniques, rather than actively seeking to resolve the contradictions of the social and political inequality of the times. I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restoration of human individuality and self-awareness in the historical stage of the late Joseon Dynasty. 洪世泰는 비록 당대 사회의 온갖 부조리를 목격하면서 변혁까지는 꿈꾸지 않았지만 현실을 주목하고 閭巷계층과 그 문학에 대한 인지도와 위상을 향상시키는 데 필생의 노력을 해왔던 인물이다. 洪世泰가 창작활동을 전개하던 때는 문학사적으로 閭巷문학이 擡頭하던 시기였다. 洪世泰의 天機論적 詩學觀은 閭巷文學에 대해 문예미학의 측면에서 性情之眞을 통한 미학적 풍격과 문학의 완성도를 가려 볼 수 있도록 하는 외에 無慾의 心性을 통한 창작성향도짚어볼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러한 연고로 閭巷文學과 士大夫문학은 또 하나의 평가지평을 확보했다고 할 수 있는바 閭巷人들이 慾望의 有無를 통해 사회적 신분과 계층을 가리고 나아가 이를 文藝理論의 範疇에까지 도입한 것은 閭巷文學의 사회적 효용을 조명하는 데이론적 근거로 될 것이다. 한마디로 性情之眞과 無慾의 心性은 閭巷人들이 주장한 天機論의내포를 한층 풍부히 했고 閭巷文學을 보다 폭넓고 심도 있게 연구하는 데 또 하나의 이론적근거를 제공한 것으로 된다. 洪世泰를 망라한 閭巷문인들은 비록 처했던 시대의 신분적 불평등을 망라한 제반 모순을 정치적ㆍ사회적 안목으로 觀照하기는 했지만 적극적인 해결을 모색하기보다는 문예적으로 연화시켜 창작성향에 그쳤다. 비록 제한된 先進性밖에 띠고 있지 않지만 無慾의 心性을 통한 人格平等 주장과 인간 도덕성의 고양은 조선후기라는 역사적 단계에서 사회적 인간으로서의 個性회복과 도덕의식을 깨우치는 데서 적극적인 추진역할을 발휘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