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백제 한성도읍기의 도성체계와 아차산성

        김기섭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14 사총 Vol.81 No.-

        Capital fortress was originally refered to Gwakseong fortress surrounding the city where the king lived. The usual point was that the Royal palace (=the inner fortress) was located in Gwakseong fortress. But in particular period like ‘Warring States Period’ on ancient china, when all states are competing over a period of decades for the purpose of unification, the inner fortress was located separately outside Gwakseong fortress for escape of the king. The main capital fortress of that period were Handan fortress, Imchi fortress and Yeonhado fortress. According to the Samguksagi, Hanseong fortress, the capital fortress of Baekje, was composed of a North fortress and a South fortress. The North fortress is equated with present-day Pungnaptoseong fortress and the South fortress is equated with present-day Mongchontoseong fortress. They would have installed defense in Achasan Mt, where was across from Han River to defend Baekje capital fortress which was located near by Han River. Through the excavation result, it has been known that present-day Achasanseong fortress was built with stone by Silla. Thus it is possible that Achaseong fortress of Baekje would be located around Achasanseong fortress. It might be at the lower area with a view of Pungnaptoseong fortress. We need to consider the excavation for finding Achaseong fortress of Baekje. 도성이라는 말은 본래 중국에서 왕(천자)이 사는 도시를 감싼 곽성(郭城)을 가리켰다. 곽성은 왕이 사는 내성(內城)=왕성(王城)을 감싸는 것이 보통이었지만, 열국(列國)의 전쟁이 잦았던 전국시대에는 왕의 안전을 위해 내성이 곽성 바깥에 따로 자리잡기도 했다. 대표적인 사례가 조(趙)의 한단성(邯鄲城), 제(齊)의 임치성(臨淄城), 연(燕)의 하도성(下都城) 등이다. <삼국사기> 등의 기록에 따르면, 백제의 한성은 북성(北城)과 남성(南城)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북성은 지금의 풍납토성, 남성은 지금의 몽촌토성이다. 강변에 위치한 백제 도성을 안전하게 지키려면 한강 건너편의 아차산에 방어시설을 설치했을 것이다. 발굴조사를 통해 지금의 아차산성은 신라가 쌓은 석성(石城)임이 밝혀졌다. 그렇다면 백제의 아차성(阿且城)은 그 주변지역에 위치했을 개연성이 있다. 아마도 풍납토성이 잘 내려다보이는 높지 않은 곳에 위치한 토성이었을 것이다. 백제 아차성을 찾기 위한 발굴조사가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주홍글자』 소설과 영화의 지향점에 대한 비평 -제3의 대안을 위한 문학의 사회-종교적 책임 가설-

        김기섭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9 한국종교 Vol.46 No.-

        이 논문은 영미문학 작품의 최고봉 중 하나라고 일컬어지는 『주홍글자』 소설과 이를 각색한 영화의 지향점을 비교 분석하여 문제를 제기하고 그에 대한 대안을 찾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공통성에 초점을 두고 먼저 분석하되 두 작품을 각각 저자의 창의성이 반영된 별개의 작품이라고 인정하고 차이점의 분석과 비평을 하기로 한다. 나다니엘 호돈의 소설은 청교도주의에 대한 직접 비판은 없지만 주인공 헤스터 프린을 통해 간접적으로 비판적 시각에서 문제점을 드러내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롤랑 조페의 영화는 소설과 비교하여 배경, 등장인물, 모티프, 이야기 구성이 대체적으로 동일하다는 유사성을 인정한다. 하지만 펜으로 쓴 소설과 카메라로 쓴 영화는 근본적으로 장르가 다를 뿐 아니라 세부 이야기 내용도 일부 다르게 각색되어 있다. 영화가 소설 저자의 드러나지 않은 행간을 미세하게 읽어내서 더 직설적이고 과감하게 표출하고 있는 측면이 더 강하다는 점을 문학 이론적으로 검토한다. 먼저 두 작품의 배경이 되는 시간인 17세기, 공간으로서는 뉴잉그랜드, 패러다임인 청교도주의라는 상황을 다루고 이어서 두 예술 작품이 공통적으로 나타낸 인물의 성격과 사회적 관계라는 양면에서 분석한다. 그리고 두 작품 이야기의 차이점을 항목별로 정리해 보고 종합하여 분석해 본다. 이로서 작품 안에서 공시적 공감을 추구한다. 최종적으로 비평가 입장에서 두 작품의 지향점에 대한 문제 제기와 비평을 시도한다. 이로서 작품 밖에서의 통시적 비판과 대안도 동시에 추구한다. 여기에서는 기존의 문학 비평들이 주로 했던 작품 안에서의 문학 작품에 대한 분석적 비평에서 좀 더 나아간다. 콜린 윌슨의 『아웃사이더』나 알베르 까뮤의 『이방인』에 등장하는 인물과의 대비, 마틴 루터 95개 조항 반박문의 종교 자체에 대한 외향적 비판 방식과의 차이 비교, 문학 작품으로서 성경의 관점에 대한 작품의 입장 분석 등을 통해 외연을 넓혀서 검토해본다. 이를 통해 작품 밖으로부터 작품에 대하여 가질 수 있는 요구와 압력의 잠재적 가능성을 탐색한다. 그래서 작품의 지향점이 공통적으로 종교 자체의 정면 비판에 대해서 침묵하고 있는 근본적 문제점을 제기한다. 작품에 대한 문제 제기와 현재적 의문을 종합해 문학은 사회적 책임 중 특히 종교적으로도 일정 부분 비판, 견제, 대안 제시의 책임을 지고 있다는 점을 제시한다. 그것은 청교도주의와 같은 전통적인 종교 개념에서는 물론 마틴 루터의 종교개혁 시대, 조선과 고려시대, 그리고 오늘날 종교 개념을 확장하여 시민종교 등을 포함하여 확장된 종교 개념인 종교 또는 신념(religion or belief) 전체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좀 더 넓게 사유의 위상을 확장한다면 작품과 유사한 시대인 조선시대의 유교 사회에도 유교 종교개혁이나 문학에 의한 종교적 변화가 있었다면 조선은 멸망이 아닌 다른 발전의 길을 갈 수도 있었을 것이라는 잠정적 가설을 설정해 보고 이를 증명하는 후속 연구도 충분히 가능할 것이라고 본다. 따라서 이를 일반화시켜 제3의 대안을 위한 문학의 사회-종교적 책임 가설을 설정하여 그 성립의 타당성과 근거를 작품 내외에서 제시한다. 그 연장선상에서 종교문맹의 문제점에 대하여 인문학적 종교교육의 필요성을 하나의 응용 가능한 범주로 제시하면서 특별히 『주홍글자』와 같은 영미문학... This thesis seeks to analyze the novel The Scarlet Letter which is regarded as a major work of modern English literature and its movie adaptation, posing the problem, and searching for an alternative. Focusing on commonality is accordingly the first approach to analysis, and the difference is the next for more analysis and criticism recognizing that they are isolated respectively containing each creativity. Not directly criticizing Puritanism, Nathaniel Hawthorne’s novel indirectly looks on problems with a critical eye through the protagonist Hester Prynn.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Roland Joffe’s movie generally follows the novel faithfully in terms of background, characters, motifs, and the story’s structure. There are some differences regarding adapted details between the novel written by pen and the movie created by camera. Within reason, literary theory deals with the points of the movie directly by audaciously exposing things by reading between the lines in the novel. Presenting the context such as the time period, the 17 Century, the place, New England, and the paradigm Puritanism is followed by the bilateral analysis between the characters’ personalities and their social relations in the two works. Doing so, it tries discern the synchronic sympathy with the works. It furthers lists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and comes to a comprehensive analysis and eventually poses questions and makes criticisms as a critic. Furthermore, it simultaneously pursues diachronic criticism and its alternative. This goes further than previous criticisms that mostly stayed within the work. Perspectives are expanded and contrasts and comparisons can be made between characters in different works such as Colin Wilson’s The Outsider or Albert Camus’ The Stranger; the extroverted criticizing way to the very religion of Martin Luther’s 95 theses, the attitude embedded in the work with the point of view that the Bible is literature, etc.. Through which the potential possibility of demand and pressure from the outside of the work is also searched for. Eventually the direction points to that those two works are commonly silent about squarely criticizing the Puritanism per se results in the fundamental issue. Comprehending the problems raised and presenting questions, the findings indicate that literature should take social, particularly religious, responsibility for presenting criticism, restraint, or its alternative. That can also be applied to Martin Luther’s age of Reform, the Joseon or Koryo period, and the enlarged modern concept of religion or belief including civil religion as well as the traditional concept of religion like Puritanism. Expanding the topology of thinking, the same research is seemingly possible enough by establishing the temporary hypothesis that the Reform of Joseon Confucianism or religious change caused by contemporary literature could have presented Joseon with an alternative to maintain society in a prosperous manner. So for the third alternative generalized to solve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 hypothesis of the socio-religious responsibility of literature takes a position to provide the feasibility and its rational and reasonable basis. As an applied example for this issue’s extension to solve the problem of religious illiteracy, the necessity of non-confessional religious education in an applied category particularly draws a strong possibility of non-confessional English Bible Study with English literature like The Scarlet Letter. By which this article’s criticism tries to expose a face of fundamentally limitless possibility of literature with proof hopefully expecting it to be a well-established the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