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융합교육(STEAM) 운영 현황 실태 조사 및 미래형 융합교육(STEAM)에 대한 인식 조사

        김현경,김현경,김선경 한국교원대학교 뇌기반교육연구소 2023 Brain, Digital, & Learning Vol.13 No.1

        In this study, the current status of implementation of STEAM education was investigated, and the perception of future STEAM education was investigated. A survey was conducted for teachers of the STEAM Teacher Research Group, and frequency analysis and word cloud keyword analysis were performed on the response data.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With respect to current status of implementation of STEAM education, first, the reason for implementing STEAM education was teachers' voluntary efforts and the necessity for future talent cultivation for all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Second, the difficulties in implementing STEAM education are heavy workload, adjustment of class hours, difficulties in securing budget, and lack of understanding of STEAM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s. For middle schools, the answers are difficulties in curriculum restructuring and collaborating with other teachers, and the lack of program dissemination, while high schools responded to the lack of curriculum reorganization, administrators' understanding and educational expectations. Third, as a learning method for STEAM classes, the student participation type in which students directly solve problems was mainly used, and the student-led type emphasized in future STEAM education was already applied. Regarding the perception of future STEAM education, first, they were well aware of the main contents of future STEAM education, such as nurturing future talent, chemical fusion, student-led, real-life problem solving, and sympathized with the necessity. Second, difficulties related to the implementation of future STEAM education were teacher competency, teacher understanding, culture creation, and realistic burden. Finally, by synthesizing these opinions, the goals for revitalizing future STEAM education are summarized as strengthening teachers' professionalism, forming a consensus, and creating an environment inside and outside the school. As a specific way to achieve this, professional support for teachers, research and selfdevelopment, change of perception,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and institutional support were suggested.

      • KCI등재

        중년 성인에서 혼자 식사하는 행동과 영양소 섭취, 비만 및 대사증후군 연관성 연구 : 2013~2017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김현경,정자용 한국영양학회 2019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52 No.5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s in the nutrient intake and the prevalences of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according to the eating alone behavior in middle-aged men and women. Methods: The data from the 2013~2017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were analyzed. A total of 7,728 adults (3,404 male, 4,324 female) aged 40 ~64 years old were included.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eating alone per day (0, 1~2, and 3 times/day). Dietary data were collected by a 1-day 24-h recall. The nutrient intakes were compared among the three groups. Survey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association of the eating alone behavior with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adjusting for the related confounding variables. Results: In men, eating alone was associated significantly with a lower intake of potassium (p-for-trend=0.048) and lower intake of calories from protein (p-for-trend=0.04). In women, the proportion of subjects consuming energy less than 75% of the estimated energy requirement (p=0.001) and less than the estimated adequate requirement of riboflavin (p<0.001)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eating alone behavior. The eating alone behavior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developing metabolic syndrome (p-for-trend=0.033), increased blood pressure (p-for-trend<0.001), and increased waist circumference (p-for-trend=0.004). On the other hand, in women, however, the eating alone behavior was associated with a decreased risks of developing obesity (p-for-trend=0.02). No association was found between the eating alone behavior and the risk of metabolic syndrome in wome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ating alone behavior is a risk factor for the development of metabolic syndrome in middle-aged Korean men.

      • KCI등재

        이주 근로자에 대한 사회적 지지가 문화적응에 미치는 영향

        김현경 한국산업경제학회 2009 산업경제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지난 20여 년간 이주에 관한 한국 위상에 극적인 변화를 가져온 이주 근로자들의 사회적 지지와 문화적응 정도를 파악함으로서 이주 근로자의 문화적응을 위한 게임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과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이주근로자 160명을 대상으로 자기 응답식 설문조사를 통해 연구대상자들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문화적응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이들의 사회적 지지수준은 3.25로 보통이상의 사회적 지지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화적응은 평균 2.25로 보통 이하의 적응도를 나타내었고 사회적 지지는 문화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주근로자의 한국 문화적응 증진을 위한 복지방안에 대하여 첫째, 이주근로자들의 문화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배경변인에 따른 사회적 지지 강화방안이 요구 되며, 둘째, 이주 근로자들의 문화적응을 위한 지원프로그램 개발과 사내(社內) 복지문화(福祉文化) 전문 인력 등을 통해 사회복지 대상자의 특성에 맞는 차별화된 지원정책이 개발되어야 할 것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Migrant workers in Korea have brought dramatic changes in terms of immigration for the last two decad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level of cultural adjustment by their social support in cultural adjustment to Korean society, and to examine interventions for successful cultural adjustment of migrant workers. In this study, a total of 160 migrant worker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do completed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researchers analyzed these migrant workers’ social support and cultural adjustment in Korea using frequency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ir levels of social support(M=3.25) have a meaningful effect on cultural adjustment(M=2.25). Based on these results, the direction of social policy to improve migrant workers’ cultural adjustment in Korea was discussed: First, settlement support is required for migrant workers or their extended family to reinforce social support, which is a positive factor in their cultural adjustment. Second, differential support policy to fit into the individual welfare recipient should be established through professional workforce development for migrant workers’ internal welfare culture to remove adjustment stress influencing negatively on their cultural adjustment

      • ODA 평가체계 연구 - 보건복지분야 사업평가의 시사점

        김현경,이현주,전진아,이소영,박복영,김부열,송민영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6 No.-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한국은 2010년 경제협력개발기구 개발원조위원회(OECD DAC) 가입과 더불어 원조의 규모가 급증했음에도 원조사업에 대한 모니터링과 평가는 예산 규모와 빈도, 환류 차원에서 충분하게 이뤄지고 있지 못하다. 이러한 평가의 미비함은 국제협력사업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는 보건 분야에서도 별반 다르지 않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보건 및 사회정책 분야의 공공정책을 수립하고 평가해 온 오랜 경험을 바탕으로 해당 분야의 국제협력사업 평가의 발전 방향에 대해 고민하고 개선점을 제안할 필요성을 느낀다. 따라서 발전된 평가체계와 보건 및 사회정책 분야 평가사례를 통해 한국의 평가 관련 쟁점과 발전 방향을 찾아보고자 했다. 평가의 목적과 방법론, 최근 엄밀한 정량적인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는 영향평가, 그리고 원조사업을 시행하는 국제기구(예: WHO)와 영국와 일본의 평가개요와 보건복지분야 사례를 통해 한국의 평가체제와 방식에 있어서 개선되어야 할 방향과 이 가운데서도 보건복지분야에 주목해서 짚어볼 만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요약에서는 보건복지분야에 있어서 개선방안에 대해 정리한다. 2. 보건복지분야 기획과 성과관리 개선방안 보건복지분야의 평가가 내실화되고 사업의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과제가 요구된다. 첫째, 보건복지분야 평가의 종합적 기획과 다변화가 요구된다. 현재 평가가 모니터링과 개별 프로젝트의 종료평가에 머물러 있는 경향이 있는 있는데, 일본의 도식화된 평가 단계와 같이 단계별로 평가를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특히 사업기획 단계에서 사업형성 및 사전 타당성 조사를 강화함으로써 수원국의 주체성을 발휘하도록 하고 수원국의 국가정책이나 수요에 맞는 사업을 기획할 필요가 있다. 사업형성의 질을 제고하는 것은 사업 전체의 성과를 좌우한다는 측면에서 사전기획은 매우 중요하며, 여기에 예산과 시간, 인력을 투자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현재와 같이 형식적으로 이뤄지는 중간평가를 내실화하여 중간단계에서 장애요소를 제거함으로써 성과를 제고할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평가의 다변화와 함께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 사업의 다변화이다. 사전기획과 타당성 조사 등을 통해 사업이 개별적인 프로젝트가 아니라 국가 전체 혹은 분야별, 프로그램별 접근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이에 맞는 다양한 형태의 사업이 기획 및 시행될 필요가 있다. 이는 특히 보건분야 개발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빈곤, 복지전달체계와 같은 통합적인 사회안전망 설계가 요구된다는 합의의 확산에 비추어 보건복지분야에 있어서 더욱 요구되는 지점이다. 둘째, 논리모형 접근법과 정량적 평가의 확대가 요구된다. 2014년 메타평가에 따르면, 한국의 원조사업 평가에 있어서 사업의 논리적 연관성을 설명하는 PDM의 논리적 상관관계가 취약하여 성과측정의 실효성이 부족하다. 지나치게 추상적이거나 광범위하고 논리적 연결고리가 약한 접근을 지양하고 논리모형을 내실화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또한 사전조사의 내실화와 사전평가의 확대를 필요로 한다. 그리고 평가의 엄밀성을 높이기 위해 보건 및 사회정책 관련 지표를 사용해 정량적 평가를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저개발국의 경우 객관적인 데이터 수집이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평가의 걸림돌로 작용하는 것이 현실이지만 이는 점차 개선되고 있고 기초선 조사가 강화되면 그 현실성은 더욱 높아진다. 예를 들어, 모자보건 분야의 개발목표에 제시된 계량화된 지표와 WHO의 모자보건 관련 지표 등을 활용하고, 기초선 조사, 종료 후 조사를 강화함으로써 보다 엄밀한 평가를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엄밀한 평가를 확장하여 장기적 영향 또는 파급효과에 대한 평가(impact evaluation)를 강화할 수 있다. 장기적인 파급효과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이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론적인 발전도 상당하다. 사업 전후의 상당기간을 계획하고 추적해야 하므로 예산과 시간, 인력이 투입되어야 하는 방법인 만큼 종합적인 원조사업 평가의 강화와 더불어 영향평가 역시 강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마지막으로, 사업수행 및 평가 시 수원국의 문화 및 젠더 규범을 반영한 보건의료적 접근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모자보건 관련 의료서비스 이용 행태는 국가 및 지역사회의 문화와 젠더 규범에 많은 영향을 받기 때문에, 병원 건립이나 의료인력 파견, 현지 전문의료인 양성 등 물리적인 차원과 더불어 수원국의 문화적·젠더적 접근이 병행되어야 하는 분야이다. 이는 비단 모자보건사업에 국한되지 않으며, 많은 사업이 국가의 사회문화적 배경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사업기획 및 평가에 있어서 다학제적 접근과 이를 위한 다양한 분야 전문가의 참여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ODA evaluation systems and to explore ways to improve current monitoring and evaluation systems of ODA for health and social protection. We look into issues of monitoring and evaluation of ODA for health and social protection. We also review types of evaluation that have been applied to measure the efficiency and efficacy of ODAs. ODA monitoring and evaluation varies by contents and types of ODAs. It includes project evaluation, program evaluation, policy evaluation, sectoral evaluation, thematic evaluation, and country assistance evaluation. This study, especially, focused on the impact evaluation which is recently highlighted in the ODA monitoring and evaluation. Impact evaluation is to put value on whether the ODA actually impacts and/or benefits the recipient`s life well-being not to figure out whether the ODA meets the planned activities. In addition, this study explores what and how a multilateral organization(i.e., WHO) and bilateral donors(i.e., England and Japan) monitor and evaluate ODA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We also analyze the current ODA monitoring and evaluation system in South Korea with a focus on child and maternal health. Findings of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strengthening the capacity for monitoring and evaluation of ODA for health and social protections. This study recommends a more rigorous and objective evaluation scheme. We also need to improve existing feedback system and transparency of monitoring and evaluation.

      • KCI등재

        헌법상 재산권 보장과 저작재산권 제한규정의 정합성에 관한 연구

        김현경 한국저작권위원회 2013 계간 저작권 Vol.26 No.2

        우리 헌법은 모든 국민의 재산권은 보장되며, 재산권의 행사는 공공복리에 적합하도록 하되, 공공필요에 의한 재산권의 수용·사용 또는 제한 및 그에 대한 보상은 법률로서, 정당한 보상을 지급하도록 규정하고 있다(헌법 제23조). 지적재산권이 현대사회에서 갖는 경제적인 역할과 중요성, 비교법적 고찰 등에 비추어 볼 때 저작재산권은 헌법 제23조의 재산권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재산권의 제한에 따른 보상 여부의 결정에 있어서도 헌법상 원리가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저작권법은 학교교육 목적 등에의 이용, 영리를 목적으로 하지 아니하는 공연·방송, 도서관등에서의 복제 등 저작재산권에 대한 일정한 제한을 규정하고 있으며 이러한 제한에 대하여 법률에서 보상을 인정하고 있는 경우도 있으나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보상을 인정하고 있지 않은 저작재산권 제한의 경우 헌법상 재산권 규정과의 정합성이 문제된다. 보상이 전제되지 않은 규정이 의미하는 바가 보상을 하지 않아도 되는 것인지, 보상을 규정하지 않은 것인지 불명확하다. 즉 헌법 제23조제1항제2문과 제2항에 해당된다 할지라도 보상이 불필요한 사회적 기속성에 따른 제한인지 조정적 보상이 필요한 사회적 기속성에 따른 제한인지 불명확하다. 또한 저작재산권의 일반적 제한규정이라고 할 수 있는 저작물의 공정한 이용(제35조의3)의 경우에도 이러한 문제점은 그대로 존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논점을 기반으로 본 논문에서는 헌법상 재산권 제한에 따른 보상과 관련된 이론들(경계이론과 분리이론)을 검토하였다. ‘경계이론’과 ‘분리이론’은 각각 논리적 강점과 약점을 모두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어떠한 견해가 타당한지를 필자가 단정적으로 판단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이들 견해 중 어떠한 견해를 취하든 저작재산권을 제한하기 위해서는 비례원칙에 의한 정당화가 필요하다는 점에서는 실질적으로 차이가 없다. 따라서 저작재산권을 제한하는 경우 보상 지급 여부에 대하여는 헌법상 비례원칙에 입각한 재검토가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