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한국어 능력과 사회적 지지가 한국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김순규,이주재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2010 한국가족복지학 Vol.15 No.1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linguistic ability and social support on adjustment among women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According to pre-studies, linguistic ability and social support are very important factors on adjustment among women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Especially, the study was classified according to adjustment-psychological adjustment, social adjustment and acculturation. The study was based on a survey of 208 women living in Jeonnam, and the data was analyzed by the Amos 5.0 program. The results show that linguistic ability effects on only acculturation in the affirmative, while social support influences on psychological adjustment, social adjustment and acculturation in the affirmative. Therefore,we can confirm the importance of social support in assisting in the adjustment among women of multicultural families living in Korea. In conclusion, this study introduced strategies to help in the adjustment among women of multicultural families living in Korea. 본 연구는 최근 한국사회에 증가하고 있는 국제결혼 이주여성들의 한국생활 적응과 관련하여 한국어 능력과 사회적 지지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국제결혼 이주여성들의 한국생활 적응을 돕기 위한 대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생활 적응은 심리, 사회, 문화적 적응으로 세분화 하였으며, 이주여성들의 한국생활 적응과 관련하여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언어능력(한국어)과 사회적 지지를 살펴보았다. 국제결혼 이주여성들이 한국생활 적응과 관련하여 직면한 문제점으로 언어문제와 사회적 지지체계 부족을 지적할 수 있으며, 이들의 적응을 돕기 위한 다양한 서비스 또한 크게 언어능력 향상과 사회적 지지체계 형성을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전남지역을 중심으로 국제결혼 이주여성 208명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인 Amos 5.0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언어능력은 이주여성의 문화적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적 지지는 심리, 사회, 문화 적응 모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앞으로 점점 늘어나는 이주여성들의 한국생활 적응을 돕는데, 사회적 지지체계가 중요한 요인임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이주여성의 한국생활 적응을 돕기 위한 포괄적인 사회복지 지원 대책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아동의 주거빈곤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김순규 한국아동복지학회 2021 한국아동복지학 Vol.70 No.4

        This case study examined children’s experience of housing poverty with the aim of informing social welfare policies to alleviate this problem. Previous research has been limited to qualitative studies examining the seriousness of housing poverty in relation to child development. However, to address the problem of children living in housing poverty, more studies are needed to examine the children’s experience. Therefore, we collected data from nine children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analyzed the data qualitatively. Consequently, we derived six thematic categories and 16 subcategories. The six thematic categories were “discomfort as normal,” “unsafe surrounding environment,” “hiding housing conditions due to shame,” “spending more time outside the home,” “becoming more mature compared to peers,” and “looking forward to better housing.” On the basis of the results, we suggest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resolving the problem of children living in housing poverty. 본 연구는 사회복지적 차원에서 아동의 주거빈곤을 해결하기 위한 정책적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해 아동의 주거빈곤 경험을 살펴보았다. 그동안 아동의 주거빈곤 연구는 대부분 양적연구를 중심으로 주거빈곤이 아동발달에미치는 심각성을 검토하는데 초점을 두고 이루어졌다. 그러나 아동 주거빈곤의 심각성과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당사자인 아동의 주거경험을 면밀하게들여다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주거빈곤 9가구에 살고 있는 아동 9 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으며,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통해 자료를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아동 인터뷰에서 16개의 하위범주와 6개의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6개 상위범주는 “불편함이 일상이 되어버림”, “주변이 안전하지 않음”, “숨기고 싶은 공간이 됨”, “집이 아닌 집밖에서 많은 시간을 보냄”, “일찍 철이 들어 버림”, “더 나은 공간을 기대함”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근거로 아동의 주거빈곤 해소를 위한 사회복지적 함의를제안하였다.

      • 지금 해외에선 - 흔들리는 미국 수리과학 '권위'

        김순규,Kim, Sun-Gyu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1999 과학과 기술 Vol.32 No.6

        미국의 수리과학은 세계 주도적 위치에 있기는 하지만 막대한 재원의 뒷받침이 없이는 그 위치를 유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그동안은 공산권 등에서 이민온 수학자들이 세계적 권위를 유지해 왔지만 직장도 적고 봉급도 낮을 뿐만 아니라 박사학위를 받는데도 너무 시간이 많이 걸려 대학원생들이 외면하고 있기 때문에 미국의 수리과학은 갈수록 흔들리고 있는 실정이다.

      • KCI등재후보
      • 지금 해외에선 - 평준화와 동등의 문제점

        김순규,Kim, Sun-Gyu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1999 과학과 기술 Vol.32 No.2

        우리나라 교육은 너무나 동등과 평준화를 내세워 키워야할 인재를 제대로 키우지 못했고 세계적인 대학과 연구소를 세우지도 못한 것이 현실이다. 우수한 학생에게는 그에게 맞는 과목을 가르쳐야 평등이지 모든 학생에게 같은 것을 가르친다고 평등이 되는 것은 아니다. 신입생을 선발하고 교수를 채용하는 일은 완전히 학교측 자율에 맡겨야 한다. 획일적인 동등ㆍ평준화 아래선 일류대학 육성과 세계적 과학자ㆍ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할 수 없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