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빈곤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에 대한 보호요인의 조절효과

        김순규 한국청소년학회 2009 청소년학연구 Vol.16 No.10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oderating effect of protective factors on school resilience of poor adolescents. For this, the study divided poverty, poverty-related risk factors as risk factors, and use protective factors to contain individual, family, school level. The data for this study came from Korean Youth Panel Survey(KYPS), a prospective longitudinal survey was administered annually by the Korea Institute for Youthe Development(KIYD). The sample used in the research consists of 1st and 2nd year survey for 3,209 junior high 2nd grader. In addition, I used the Mplus program as analysis metho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overty, poverty-related risk factots, protective factors effect on school resilience of poor adolescents. Second, protective factors act as buffers against the negative effects of poverty on school resilience by moderating effect. In conclusion, variou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청소년에게 있어 빈곤은 경제적 어려움 이상으로 발달에 심각한 영향을 주는 요인이다. 이에 빈곤과 관련한 청소년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빈곤이라는 위험상황에서도 성공적으로 적응하는 특성 및 과정으로써 빈곤청소년의 적응유연성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빈곤청소년의 다양한 적응유연성 메커니즘을 설명하지 못함으로써, 실천적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의 발달단계를 고려하여 학교에 초점을 두고, 빈곤에 처한 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에 대한 보호요인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위험요인을 빈곤과 빈곤관련 위험요인으로 분류하였으며, 개인, 가족, 학교차원에서 측정된 보호요인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2003년~2004년도의 한국청소년패널조사(KYPS) 자료(중학생 대상)를 사용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 구조방정식 프로그램인 Mplus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빈곤, 빈곤관련 위험요인, 보호요인 모두 학교적응유연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호요인의 조절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결론에서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살펴보았다.

      • KCI등재

        청소년의 부모애착이 성 태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순규,최혜정,이윤애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5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the parents’ attachment, the adolescent sexual attitudes and his/her self-esteem, and during this process, this study intended to demonstrate the self-esteem’s mediation effect. For these purpos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527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J region, and were analyzed in utilizing the statistical programs of SPSS 19.0 and Amos 19.0. As the results from analyzing the data, it was found that the parents’ attachment and the adolescent self-esteem positively(+) influenced on adolescent sexual attitudes. Additionally, it was interpreted that the self-esteem partly mediated the parents’ attachment and the adolescent sexual attitudes. As the parents’ attachment and self-esteem were higher, the adolescent fomred sounder sexual attitudes, so it was identified that the self-esteem influenced on the adolescent by mediating the parents’ attachment and the sexual attitudes.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developed the discussion and suggested some practical alternatives for helping to form adolescent sound sexual attitudes.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애착과 청소년의 성 태도, 자아존중감의 관계를 규명하고, 이 과정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이론적, 실천적 대안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확인하기 위한 연구문제로는 첫째, 부모애착과 자아존중감은 청소년의 성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부모애착이 청소년의 성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자아존중감이 매개하는가? 이다. 이를 위해 J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고등학교 청소년 572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부모애착과 자아존중감 모두 청소년의 성 태도에 정적(+) 영향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자아존중감은 부모애착과 성 태도에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부모애착과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청소년의 건강한 성 태도가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존중감이 부모애착과 성 태도를 매개하여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에 근거해 논의를 전개하고 청소년의 건강한 성 태도 형성을 돕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 KCI등재

        아동기 성폭력 피해 경험이 있는 대학생의 정신건강과 적응유연성의 관계에서 애착의 조절효과

        김순규 한국청소년학회 2014 청소년학연구 Vol.21 No.9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of parent attach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mental health among university students with childhood experiences of sexual violence. Experience of CSA(Child Sexual Violence) was divided into a slight CSA and a serious CSA, and risk of CSA is mental health problems. Two subjects for inquiry are direct effect of mental health problems and parent attachment to resilience, and moderating effect of parent attachment on the relation between resilience and mental health problems. Objects of the study are 495 University students who go to University in Jellabuk-do,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19.0.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isk of CSA had a direct negative effect on resilience, and parent attachment had a direct positive effect on resilience. Second, parent attachment had a moderating effect to the resilience of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experience of CSA. The moderating effect of parent attachment appeared to be a responsible for a great difference in resilience between University students with more parent attachment and those with fewer such parent attachment. Furthermor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기 성폭력 피해 경험이 있는 대학생의 적응유연성 연구로 부모애착의 조절효과를 파악함으로써 이들을 지원하기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는데 있다. 이에 아동기 성폭력을 경미한 성폭력과 심각한 성폭력으로 구분하고, 성폭력 피해로 인한 정신건강의 문제를 고려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각각의 집단에 따라 정신건강 문제와 적응유연성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정신건강 문제와 적응유연성과의 관계에서 부모애착의 조절효과를 검토하였다. 조사대상은 전라북도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으로 아동기에 성폭력 피해를 경험한 495명이며, 자료는 SPSS 19.0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아동기 심각한 성폭력 집단이 아동기 경미한 성폭력 집단보다 정신건강 문제의 평균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신건강 문제와 적응유연성과의 관계에서 부모애착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면, 아동기 경미한 성폭력 피해 집단의 경우, 정신건강 문제가 적응유연성에 부적 영향을 미치고 부모애착은 적응유연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부모애착의 조절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반면, 아동기 심각한 성폭력 피해 집단의 경우 정신건강 문제가 적응유연성에 부적 영향을 미치고, 부모애착은 적응유연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애착의 조절효과 또한 유의미하였다. 결론에서는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성폭력 피해 대학생을 지원하기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아동의 주거빈곤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김순규 한국아동복지학회 2021 한국아동복지학 Vol.70 No.4

        This case study examined children’s experience of housing poverty with the aim of informing social welfare policies to alleviate this problem. Previous research has been limited to qualitative studies examining the seriousness of housing poverty in relation to child development. However, to address the problem of children living in housing poverty, more studies are needed to examine the children’s experience. Therefore, we collected data from nine children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analyzed the data qualitatively. Consequently, we derived six thematic categories and 16 subcategories. The six thematic categories were “discomfort as normal,” “unsafe surrounding environment,” “hiding housing conditions due to shame,” “spending more time outside the home,” “becoming more mature compared to peers,” and “looking forward to better housing.” On the basis of the results, we suggest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resolving the problem of children living in housing poverty. 본 연구는 사회복지적 차원에서 아동의 주거빈곤을 해결하기 위한 정책적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해 아동의 주거빈곤 경험을 살펴보았다. 그동안 아동의 주거빈곤 연구는 대부분 양적연구를 중심으로 주거빈곤이 아동발달에미치는 심각성을 검토하는데 초점을 두고 이루어졌다. 그러나 아동 주거빈곤의 심각성과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당사자인 아동의 주거경험을 면밀하게들여다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주거빈곤 9가구에 살고 있는 아동 9 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으며,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통해 자료를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아동 인터뷰에서 16개의 하위범주와 6개의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6개 상위범주는 “불편함이 일상이 되어버림”, “주변이 안전하지 않음”, “숨기고 싶은 공간이 됨”, “집이 아닌 집밖에서 많은 시간을 보냄”, “일찍 철이 들어 버림”, “더 나은 공간을 기대함”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근거로 아동의 주거빈곤 해소를 위한 사회복지적 함의를제안하였다.

      • KCI등재

        빈곤청소년의 심리, 사회적 적응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김순규,이재경 한국청소년학회 2007 청소년학연구 Vol.14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mpirically the effectiveness of mentoring program as intervention strategy for adolescents in poverty. Especially, It focused on psychosocial adjustment of Mentoring program for poor children. Mentoring Program was run for one year. It examined psychosocial adjustment(self-esteem, aggression, school adjustment) of mentoring program on 8 mentee by Wilcoxon Matched-Pairs Signed-Ranks Test. Results, Mentoring program effect on increase of self-esteem and observe of school-rule of adolescents in poverty. But anger and interesting on school are not significant.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this study recommended mentoring program as effective practice strategy for psychosocial adjustment of adolescents in poverty. 본 연구는 멘토링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빈곤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을 돕기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 효과성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1년간 이루어진 멘토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빈곤청소년 8명을 대상으로 심리사회적 적응을 나타내는 자아존중감, 공격성, 학교적응 관련 설문지를 사전·사후에 걸쳐 실시하였다. 그리고 윌콕슨 부호순위 검증을 통해 효과성을 분석한 결과, 멘토링 프로그램은 빈곤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의 학교규범 준수에 유의하게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멘토링 프로그램이 빈곤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을 돕는데 중요한 실천전략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간접전극 양극산화에 의한 다공성 실리콘의 형성

        김순규,장준연,Kim, Soon-Kyu,Chang, Joon-Yeon 한국진공학회 2006 Applied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 Vol.15 No.3

        Si기반 고주파집적회로의 차단재로서 간접전극 양극산화법으로 형성된 다공성 Si을 활용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전류밀도, 시간에 따른 기공의 크기와 깊이등을 조사하였고 기공 도입 전,후 Si의 격자상수 변화를 측정하여 유발되는 내부응력의 크기를 평가하였다. 기공의 크기와 깊이는 대개 전류밀도와 시간에 따라 증가하였다. 기공이 형성됨에 따라 Si의 격자상수가 증가하여 약 8MPa의 압축응력이 유발되었다. 간접전극 양극산화법으로 형성된 다공성 Si은 공정이간단하고 기공으로 유발되는 내부응력의 크기가 작아 Si YLSI공정 적합성이 우수하므로 고주파 직접회로의 효과적인 차단재로서 적합한 재료로 판단된다. This study explored the possibility of porous Si (PS) formed by indirect electrode anodization used for effective isolation material for 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s (RFIC).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current density and reaction time on the porosity size and depth, and X-ray diffraction of bulk Si and porous Si to evaluate the change in lattice parameter. Porosity size and depth usually increases with an increase in the current density and reaction time. PS increases the lattice parameter of Si compared to the bulk Si which causes the compressive stress of around 8 MPa. PS formed by the method is believed to be suitable for isolation material for RFIC because it is simple process as well as good compatibility to Si VLSI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